View : 7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종훈-
dc.contributor.author안미연-
dc.creator안미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0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0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02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97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02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 service that would improve the residential living experience of single person households aged between mid-20 to mid-30. Noteworthy information found through literature review is that most single person households live close to each other in a densely crowded area but failed to form a community with each other due to lack of communication which naturally leads to mental loneliness and insufficient information causing various everyday difficultie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n online/offline linked service which will promote active communication, help form communities among single person households and solve psychological isolation for a better everyday life quality amongst single person households. In addition, a verified mobile application prototype is proposed that will act as the medium for producing the core contents for the service. Firstly in this study, as theoretical background, demographic study and literature survey was carried out on single person households. Characteristics showed that single person households were formed by economic/academic activities and mainly chose to reside in the urban area. Also, single person households were active online communicators showing proficiency in using internet or any kinds of digital devices. Along with such characteristics of single person households, we have found through a community communication case study that communication methods were shifting from posting a message on a bulletin board to mobile internet boards. This predicts a positive possibility in the improvement in forming a community between single person households. Also,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concepts on ‘User Experience’ and ‘Service Design’ were clarified to offer the basis for design for a verified service. Secondly, the targeted mid-20 through mid-30 users in this study were mostly skilled, intermediate web users. Total of five(5) users were recruited for FGI(Focus Group Interview). User experience modeling workshop and ethnographic interview centered in depth-interview were conducted to them. Most recruiters actively communicated with their mobile devices during their commuting hours. By contrast, none of the recruiters had any communication experience within their residential area. Communications that did exist within local area were mostly about sharing goods and local information. Basically everybody agreed on necessities of forming a community. However the recruite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characters of which one group were more concerned about privacy exposure while the other group were more positively open-minded about creating a community. Thirdly, based on the results of survey, the actual service concept and scenario could be developed. Meaning, a specific online and offline connecting service with which single person households can share information and exchange goods had been derived through the study. The final output is a mobile application acting as the medium for producing the core contents for the service. Fourthly, the development of the mobile application was carried out by the process of general user interface design process which featured html prototype in Iphone3G through Function Definition, Information Architecture, Use flow and Wireframes. In addition usability testing was evaluated through the method of Thinking aloud Protocol and Post-Event Protocol by usability test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most UT participants answered that the major functions (ex: News, Message, Neighbors, Setup) were easy to use, choosing answers such as ‘the functions are easy to use’ and ‘easy to use with familiar UI.’ As for GUI(Graphic User Interface), UT participants chose ‘simple and familiar layout,’ ‘unified color,’ ‘great readability’ and ‘simple and familiar icons.’ However, some respondents suggested ‘Search’ and ‘Location-Based Functions’ to be added. Significant opinions such as ‘If the proposed service concept is actually applied it would help me make friends around my residential area’ were analyzed, and added that it would be helpful in forming a local community in the single-household residential area, enhancing residents’ feeling of isolation. Through this study, the needs of communication for single person households aged between mid-20 to mid-30 living in the urban area were identified, through that mobile application prototype was developed and evaluated to enhance bonding and unity among isolated single person households. A further study is expected with expanded user groups on studying online/offline connection user linkage of the proposed service.;본 연구는 20대 중반~30대 중반의 1인1가구세대를 주요타깃으로 하여 거주지에서 생성되는 경험에 있어서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시켜줄 수 있는 서비스를 디자인하여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문헌조사를 통해 주목할 점은 대부분 1인가구원들이 밀집지역에서 거주하지만 가구원들간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이 부재하여 지역 공동체를 형성하지 못하고 그로 인한 심리적 외로움과 거주지 지역에서의 정보의 습득이 매우 저조해 일상에서 겪는 어려움이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거주지 내 1인가구세대간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을 증진시켜 공동체를 형성해주고 심리적 유대감을 통해 소외감과 고립감을 해소시켜 1인가구의 일상생활 만족도를 높여줄 수 있는 온·오프라인 연계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또한 해당 서비스에서 콘텐츠를 생성하는 핵심가치 매개체로써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검증하였다. 연구 내용은 첫째, 이론 배경으로써 1인1가구의 인구통계학적 고찰과 문헌조사를 행하였다. 1인가구의 특징으로 학업과 경제활동으로 인한 1인가구가 형성되었으며, 주로 도심에 거주지를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1인가구세대는 인터넷사용과 디지털기기사용에 익숙하며,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에 적극적인 특징을 보였다. 1인1가구세대의 특징과 더불어 공동체 커뮤니케이션사례연구를 통해 커뮤니케이션의 방식이 전통적 방식인 게시판 활용 등에서 모바일인터넷을 통한 방식으로 한 단계 진보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거주지 내에서의 공동체 형성에 긍정적인 수단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전망할 수 있었다. 또한 이론적 배경으로써 사용자경험디자인과 서비스디자인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될 서비스 설계와 검증에 대한 기초를 마련하였다. 둘째, 사용자 조사로 본 연구의 주요 타깃층인 20대 중반~30대 중반으로 컴퓨터 중급이상의 활용자로 정의하였다. 모집된 사용자는 총 5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사용자경험모델링 워크샵을 통한 FGI와 에스노그라피 인터뷰(ethnographic interview)중심으로 In-depth Interview를 수행하였다. FGI에 참여한 대다수는 직장 및 출퇴근 이동시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해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을 도모하고 있었으며, 그에 반해 거주지 내 다른 1인구성원과의 커뮤니케이션은 부재하였다. 거주지 내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요구사항은 주로 거주지 반경 내 지역정보와 물품나눔이었다. 기본적으로 커뮤니티 형성에 대한 긍정적인 욕구는 동일하였으나 개인사생활 노출이 제한적이기를 바라는 소극적인 그룹과 좀 더 적극적으로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자 하는 두 그룹으로 나뉘는 행태를 보였다. 셋째, 앞선 사용자 조사와 결과를 토대로 실제 서비스 컨셉과 시나리오를 세울 수 있었다. 이는 구체적으로 거주지 내 가구원간의 물품교환 및 거주지관련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온·오프라인 연계 서비스가 도출되었고 해당 서비스의 최종 산출물로써 실제 콘텐츠를 생성하는 핵심 매개체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제작되었다. 넷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제작은 일반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프로세스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기능 정의, 메뉴구조, Use Flow, 화면 상세 템플릿 제작과정을 통해 아이폰3G에 html형태의 프로토타입으로 탑재하였다. 아울러, 앞서 수행된 사용자 조사 참여 대상자에게 Thinking Aloud Protocol과 Post-Event Protocol의 방법론을 통해 사용성평가를 수행하였다. 수행결과, 주요기능인 뉴스·메시지·이웃들·설정은 전반적으로 ‘기능이 간편하고 편리하다’, ‘익숙한 UI로 사용하기 어렵지 않다’는 반응이었고 GUI 평가 역시 간결하고 익숙한 레이아웃, 컬러의 통일감, 높은 가독성, 익숙하고 심플한 아이콘사용이라는 반응을 얻었다. 그러나 검색·위치기반기능 등이 추가되었으면 좋겠다는 의견도 있었다. 제안된 서비스 컨셉에 대해서 실제로 이용된다면 ‘일상생활 속 지역정보를 얻기 편리할 것 같다’, ‘실제로 사용하면, 거주지 내에서도 친구가 생길 것 같다’라는 유의미한 의견은 해당 서비스가 1인1가구세대 간 커뮤니티를 활성화시켜 거주지 내 공동체를 형성하고 소외감 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 도심거주 20대중반~30대중반 1인1가구세대의 거주지중심의 활발한 커뮤니케이션 요구사항을 파악하였고, 지역공동체 형성을 통한 소속감과 유대감을 증진시켜주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토타입의 제작 및 평가가 수행되었다. 향후 사용자부류의 확대와 제안된 서비스를 사용함에 있어 온·오프라인 사용자 행태간 연계성에 따른 후속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1.1. 연구의 의의 및 목적 1 1.2. 연구방법 및 내용 2 2. 이론적 배경 4 2.1. 1인1가구 세대의 고찰 4 2.1.1. 1인1가구 현황 및 추세 4 2.1.2. 1인1가구 라이프스타일 특성 8 2.2. 동공간적 커뮤니케이션 사례 13 2.3. 모바일 환경과 트렌드 22 2.3.1. 스마트폰의 급증과 주요사용자 22 2.3.2. 주요 사용자층의 모바일 이용행태 24 2.3.3. SNS와 커뮤니케이션 29 2.4. 서비스디자인과 사용자경험디자인 31 2.4.1. 서비스디자인 정의 32 2.4.2. 서비스디자인과 사용자경험디자인의 비교 33 2.4.3. 사용자경험디자인의 평가방법 35 3. 사용자 조사 36 3.1. 조사 계획 및 설계 36 3.2. 조사 참여자 모집 및 수행 37 3.3. 분석 방법 38 3.4. 결과 분석 39 4. 사용자 요구사항 도출 48 4.1. Service Concept 48 4.2. Persona 및 Scenario 50 5.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제안 53 5.1. Information Architecture 53 5.1.1. 기능 정의 53 5.1.2. 메뉴 구조 54 5.1.3. Use Flow 54 5.2. Graphic User Interface 56 5.2.1. UI 제작가이드라인 56 5.2.2. GUI 템플릿 58 5.3. 사용성평가 65 5.3.1. 평가 설계 및 수행 65 5.3.2. 결과 분석 66 5.3.3. 평가 제한사항 69 6. 결론 및 제언 70 참고문헌 73 ABSTRACT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148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거주지 공동체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를 위한 서비스 제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도심거주 20~30대 1인1가구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Proposal of Service to Promote Communication in Residential Community : Focusing on the members of single person households ages 20-30s living in urban area-
dc.creator.othernameAn, Mee Youn-
dc.format.pagex, 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UX(UserExperience)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UX(User Experience)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