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나영-
dc.contributor.author한지희-
dc.creator한지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9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9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13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96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137-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문헌 조사를 통해 18세기부터 신식 세탁 문화가 유입되기 이전인 20세기 초의 의복 관리법을 대상으로 하여 세탁과 세탁 후의 손질 및 방충(防蟲)․관리․보관․재생 법에 대해 종합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세탁이 자연하천에서 이루어졌다. 추운 겨울을 제외하고는 풍부하고 질 좋은 수자원으로 인해 세탁용수의 보급에 문제가 없었으며 의복을 청결히 하는 습속이 있었다. 전통적인 세탁 방식은 의복의 색채, 의복의 종류, 오염의 종류 및 소재, 지역별로 차이가 있었다. 먼저 의복의 색채에 따라서는 백의(白衣)인가 유색의(有色衣)인가에 따라 세제(洗劑)의 종류가 달랐으며, 의복의 종류에 따라서도 세제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오염을 제거하는 방식에는 일상생활에서 묻을 수 있는 각종 얼룩이 총망라되었으며, 얼룩 제거에 쓰인 재료는 각종 식물의 열매, 잎, 껍질, 뿌리의 즙에서부터 동물의 기름이나 뼈, 광물(鑛物), 식(食)재료 등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였다. 소재에 따른 세제로는, 견직물의 경우 잿물이 함유한 알칼리 성분에 취약한 점을 고려하여 콩을 간 물이나 쌀뜨물, 생선 물 등을 사용하였으며, 마직물에는 매화나무의 잎이나 쌀뜨물, 면직물에는 각종 식물을 태워 얻은 잿물을 이용하였다. 모피, 융단 및 가죽 옷은 돼지 발굽을 끓인 연기나 붕 사(硼砂)에 씻거나 술과 곡물가루를 이용하여 세탁하였다. 지방에 따라 세탁 방식과 세제도 차이가 나타났다. 제주도 외의 지역에서는 볏짚, 콩 짚, 메밀 대, 서 속(黍粟)대, 참깨 나 뭇 대, 들깨 나 뭇 대, 참나무, 뽕나무, 도토리나무, 풋나무 잎, 낙엽, 잡초 등을 잿물의 원료로 사용하였으며, 제주도의 경우는 잿물 이외에도 달 개비를 뜻하는 고 냉이 멀 리 줄, 참깨 잎, 뽕잎, 저 슨 살이 쿨 등 식물의 잎을 비벼 세탁하거나, 우뭇가사리 등의 해조류를 이용하기도 하였다. 세탁 후 푸새 작업에는 다양한 곡물가루로 쑨 풀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의복의 색과 지역, 소재 및 용도에 따라 풀의 재료를 달리했다. 푸새 후 이어지는 다듬이질은 의복의 소재와 입는 시기에 따라 방법이 다른 것이 특징이다. 견직물의 경우 주로 겨울에 입기 때문에 올과 올 사이에 틈이 없게 조직을 치밀하게 두드렸다. 마직물은 여름에 입는 특성상 올과 올 사이의 틈으로 공기가 잘 통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견직물보다 약한 강도로 두드렸다. 시기적으로 견직물은 더울 때, 마직물은 겨울에 다듬는 것이 권장되었다. 입기 전 마지막 손질이라고 할 수 있는 다림질은 ‘쟁 을 친다’ 고 표현하였으며, 다듬이질과 마찬가지로 의복을 입는 시기와 소재에 따라 방법을 달리했다. 쟁 을 치게 되면 통풍이 잘 되기 때문에 주로 여름에 입는 옷에 적용되었다. 의복의 보관을 위한 손질에는 방충(防蟲)․관리․보관 방법 등 내용이 다양하였다. 방충(防蟲)법의 경우는 옷장 안에 식물의 잎이나 그 재를 두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가죽이나 모피, 비단의 방충(防蟲)에는 특별히 생선의 뼈나 식물의 꽃, 잎 등을 가루 내어 사용하였다. 관리법의 경우 담비 털과 쥐 털은 막대로 털을 두드리고 햇볕에 자주 쏘여 관리하며, 우의(雨衣)와 우모(雨帽)는 식물의 즙을 표면에 바르는 방식으로 방수성을 높여 사용하였다. 신발은 동식물에서 추출한 기름이나 밀랍으로 관리하였다. 보관 법에는 향이 있는 다양한 성분의 물질을 일정한 비율로 섞어 옷상자 안에 발라두거나, 의복에 향을 부여하는 의향(衣香)법을 사용하였다. 과거에는 의복의 재생이 당연시 되었는데, 낡은 의복은 이불이나 걸레, 행주, 아이들의 옷, 포대기, 기저귀, 생리대 등으로 재생되었다. 남존여비(男尊女卑) 사상의 영향으로 여성의 의복을 재활용하는 것은 부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하의(下衣)에 대한 부정적인 관념도 존재해 이를 재활용하는 것은 꺼렸다. 세탁 및 손질․재봉․저장 도구의 경우 선호하는 재료 및 관리 방식을 알 수 있었다. 세탁 및 손질 도구의 경우 다듬이 판의 재료로는 강화도의 애석(艾石)이나 박달나무, 다듬잇방망이의 경우는 대추나무나 대나무를 선호하였다. 빨랫줄을 뜻하는 형승(桁繩)은 질경이[檾]나 마실[麻絲]을 사용할 것이 권유되었으며, 빨 랫 대를 뜻하는 형간(桁竿)에는 주로 대나무가 쓰였다. 재봉 도구인 바늘은 호도(胡桃)의 껍질을 태운 재로 녹슬지 않게 관리하였다. 저장 도구로는 궤나 함, 장(欌)이나 농(籠), 반닫이, 동 고리가 있었으며, 오늘날의 반짇고리에 해당하는 도구로 채 상(彩箱)과 유상(柳箱)이 있었다. 본 논문은 기존 선행연구에서 더 나아가 좀 더 많은 문헌 자료를 수집하여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은 내용이나 주목 받지 못한 사실들을 총체적으로 정리하여 고찰한 것이다. 추후 보다 다양한 문헌들이 입수되어 전통적인 의복 관리 풍속의 방법이 더 많이 밝혀지기를 바란다.;This paper is on the methods of washing, trimming, moth-prevention, preservation, storage and recycling based on a survey of the clothing maintenance method of the period from 18th century till 20th century before modern culture was introduced through a survey on literature. In the past, washing was affected in both aspects of time and place. Since washing was done at rivers such as streams or ditches due to insufficiency of water facilities inside each house, people did not wash actively in cold winter time. Traditional ways of washing were different each other depending on cloths' color, cloths, contaminant, material and region. First, depending on cloths' color,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white cloths and colored cloths in detergents. Second, different detergents were used for washing depending on cloths. Third, There existed various methods of eliminating contaminant depending on its kind. The kinds of contaminants suggested in the literatures are all kinds of various stains contaminated in daily life and there were variety of detergent materials for eliminating stains such as juice of leaf, peel, bark or root of various plants, grain powder, animal oil or bone, minerals, food material, etc. As for the washing materials and methods depending on fabric material, the juice of grinded bean, the waste water left over from washing rice, tofu-water(remaining water after producing bean curd), the liquid from fermented fish, etc was used for washing silk fabrics in consideration that they are vulnerable to alkaline ingredient of lye. For hemp fabrics, people used the water from boiled Japanese apricot or the waste water left over from washing rice and for cotton fabrics, people used the lyes obtained from burning various plants. For the cloths of fur, rug or leather, people washed them in smoke of boiled pork hock or borax, or using liquor and grain powder. The materials and methods for washing were different depending on region. In all the regions except Jeju Island, people used rice straw, bean straw, buckwheat stem, millet stem, sesame tree stem, oak tree, mulberry tree, acorn tree, leaves of oak tree, fallen leaves, weeds, etc. as a raw material of lye. In Jeju Island, people made washing not only by using lye but also by rubbing together with the juice from leaves of plants such as spiderwort, sesame, mulberry, Jeosonsalikool, etc. or using seaweeds such as agar-agar. The first process of trimming after washing was starching work .The material of starch was mainly powder of grain, but the method and usage were different depending on region even if same material is used. Pounding work(smoothing starched cloth by beating it with wooden sticks) after starching work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material and wearing period of cloths. As for silk cloths, people beat the cloths densely not to make any room between the plies because they were worn in winter time mainly. In case of hemp cloths, as long as they were worn normally in summer time, people beat the cloths with less power than for silk ones because it was important to mak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plies. Silk cloths were beaten in hot weather, and hemp cloths, pounding work in winter time was recommended. Ironing that can be called as the last trimming before wearing was also expressed as 'setting Jaeng' and its method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ime of wearing the cloths and their materials just like beating work. Since ironing made the cloths being well ventilated to be suitable to wear in summer. The treatment methods to preserve cloths, such as moth-prevention, preservation, storage and restoration, were diversified. As for moth-prevention method, people used a way to put leaf of plant or lye. in closets, and maintaining them with dried bone of fish, flowers, leaf of plant was considered to be effective as moth-prevention methods for leather, pur or silk. As for preservation method, marten or rat pur was preserved after beating them with a stick and having them dried under the sun often, and in case of raincoat or rain hat, people used a method to put juice of a plant on the surface to increase the waterproof. For shoes, people used lard or oil. As storage methods, people used a cloth-perfume method that people made a material by mixing things of various ingredients and put the mixed material on boxes of cloths. In the past, recycling was considered normal. Worn-out cloths were recycled as bedcloths, cloths for child, carrier blankets, etc. However, recycling of woman cloths was not recommended due to the idea of predominance of men over women, and pants were also avoided. For the tools of washing, trimming, sewing and storage, there were preferred materials and methods. As for washing and trimming, granite or birch of Ganghwa Island was preferred for a plate of pounding work, and jujube tree or bamboo was preferred for bats of pounding work. Plantain or hemp was recommended for cloths line and bamboo was mainly used for the poles of cloths line. Needle, a tool of sewing, was preserved with ash of walnut shell to keep from rust. For storage tools, there were coffers, chests, closets, wardrobes, cabinets and wicker trunks and for the tool sewing box, there were Chae-sang(彩箱) and Yu-sung(柳箱). This paper went further beyond the conventional studies on clothing maintenance methods to a survey on literatures so as to investigate comprehensibly the traditional maintenance methods for cloths which have not been in a spotlight before. Obtaining more diversified literatures to make further studies on the traditional maintenance methods for cloths are desirable in fu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목적과 의의 1 B. 연구 범위와 방법 3 Ⅱ. 세탁 5 A. 세탁의 시기 · 장소 및 방법 5 1. 세탁 시기 5 2. 세탁 장소 8 3. 세탁 방법 11 B. 의복의 색채별 세탁 13 1. 白衣 14 2. 有色衣 17 C. 의복의 종류별 세탁 21 1. 笠子와 巾類 21 2. 생리대 23 3. 이불 24 D. 오염의 종류별 세탁 25 1. 먹[墨] 26 2. 기름[油] 27 3. 칠(漆) 29 4. 피[血] 30 5. 기타 오염 30 E. 소재의 종류별 세탁 37 1. 직물류 37 2. 모직과 갖옷 39 F. 지역별 세탁 재료의 차이 40 Ⅲ. 의복 손질 44 A. 세탁 후 손질 44 1. 푸새 44 2. 다듬이질 51 3. 다림질 55 B. 의복 보관을 위한 손질 60 1. 방충(防蟲) 60 2. 관리 65 3. 보관 70 4. 재생 73 5. 도구 76 Ⅳ. 결론 및 제언 85 참고문헌 88 ABSTRACT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12564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문헌으로 본 한국 전통 의복 관리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Korean Traditional Laundry and Maintenance Methods for Clothing in Literature-
dc.creator.othernameHan, Jee-Hee-
dc.format.pagex, 9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