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8 Download: 0

북한이탈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

Title
북한이탈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
Other Titles
Perceived Social Support by Mothers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 and Acculturative Stress as Related to Mothers' Parenting Efficacy
Authors
이지선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도현심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ree things in the case of mothers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 1) the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of acculturative stress on the parenting efficacy, 2) the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the acculturative stress, and 3) the mediating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in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efficacy. In addition, to examine these three effects,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defected mothers from North Korea were utilized as control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others who have defected from North Korea having children of school age, residing in Seoul and Gyeong-gi do.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by using three kinds of questionnaires and the snowball sampling method was applied for data gathering.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of mothers was measured by using the scale based on the Park’s work(1985). The acculturative stress was measured by using the scale of Lee’s(1996), which is the modified version of Acculturative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Student(Sandhu and Asrabi, 1994). The parenting efficacy was measured by using the scale developed by Kim(2008) which is the modified version of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PSOC)(Gibaud-Wallston & Wandersman, 1978).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eries of statistical tests: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by using SPSS program.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shows higher parenting efficacy when the North Korea defected mothers apperceive they are being supported by material of those social support. Second, of those acculturative stresses, discrimination and homesickness were negatively related to parenting efficacy for defected mothers from North Korea. Third, the higher the perceived material support of North Korean defected mothers sensed, the lower the perceived sense of discrimination was, and the more psychological support North Korean defected mothers sensed, the lower the stress from homesickness was. Finally, among acculturative stress, the perceived sense of discrimination complete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ve support and parenting efficacy. Therefore, the higher the informative supports North Korean defected mothers sensed, the lower the stress of being discriminated. Furthermore, among acculturative stress, discrimination and homesickness complete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upport and parenting efficacy. This means the more psychological support North Korean defected mothers receive the less stress they will experience from discrimination and homesickness. Psychological support was positively related to parenting efficacy, as well.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when develop counseling and programs to increase parenting efficacy, it is necessary not only offer direct material support but also make efforts to alleviate sense of discrimination from acculturative stress and homesickness. This study has two contributions. First of all, it can be applied and extended in the rising issues of North Korean defected mothers and pedagogy of their children. Second, it can be utilized for future research as an empirical data.;본 연구의 주목적은 북한이탈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및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가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사회적 지지와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북한이탈 어머니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통제변인으로 선정하여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경기지역에 거주하는 학령기 자녀를 기르는 97명의 북한이탈 어머니들이며, 눈덩이 표집(snowball sampling)을 통해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는 박지원(1985)의 사회적 지지 척도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이소래(1997)의 척도를 수정하여 측정하였다. 문화적응 스트레스 척도는 Acculturative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Student(Sandhu & Asrabai, 1994)를 기초로 한 이소래(1997)의 척도를 수정하여 측정하였다. 양육효능감은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PSOC)(Gibaud-Wallston & Wandersman, 1978)를 기초로 한 김도희(2008)의 척도를 수정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산출하였고, 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통제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이탈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중 물질적 지지를 많이 받는다고 지각할수록 양육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북한이탈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중 차별감과 향수병의 스트레스를 덜 받을수록 양육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북한이탈 어머니가 물질적 지지를 많이 받는다고 지각할수록 차별감의 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났고, 심리적 지지를 많이 받는다고 지각할수록 향수병의 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 중 차별감은 정보적 지지와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하여, 정보적 지지를 높게 지각할수록 어머니들은 차별감의 스트레스를 덜 받았으며 나아가 높은 양육효능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문화적응 스트레스 중 차별감과 향수병은 심리적 지지와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하여, 심리적 지지를 높게 지각할수록 어머니들은 차별감과 향수병의 스트레스를 덜 받았으며 나아가 높은 양육효능감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남한사회에서의 경제적 어려움과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북한이탈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향상을 위해, 직접적으로 돕는 행위의 물질적 지지의 중요성과 더불어 양육효능감 증진을 위해 상담이나 프로그램 개발 시,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차별감이나 향수병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수반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또한 아동학을 비롯한 여러 관련분야에서 증가하고 있는 북한이탈 어머니와 아동에 대한 관심과 후속 연구를 위한 실증적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