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성연-
dc.contributor.author성정원-
dc.creator성정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9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9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5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9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50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어머니의 취업여부와 자녀발달단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죄책감과 어머니 관련 변인, 맥락 관련 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주된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 및 전통적 어머니역할 인식, 그리고 배우자지지 만족도, 사회적지지 만족도 및 보육기관 만족도가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머니의 취업여부와 자녀발달단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11곳의 어린이집에 다니는 영아(0~36개월 미만)와 유아(36~60개월 미만)를 둔 어머니 318명이며 자기보고용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어머니의 양육죄책감 척도는 선행연구(김기현․강희경,1997; 노현정, 2003; 백영숙, 2007; Mann & Thornburg, 1987)를 참고하는 한편, 본 연구자가 인터넷 조사와 면접을 통해 척도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3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는데 어머니가 자녀와 함께 있는 시간이 부족하거나 직접 돌보지 못하는 것에 대한 죄책감을 의미하는 돌봄 부족으로 인한 죄책감, 자녀에게 화, 짜증을 내는 등 부정적인 양육행동을 한 것에 대한 죄책감을 의미하는 부정적 양육행동으로 인한 죄책감, 부모역할이 미숙하다고 생각한 것에 대한 죄책감을 의미하는 미숙한 부모역할로 인한 죄책감을 포함한다. 또한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은 Hewitt과 Flett(1991)의 완벽주의 성향 척도를 조복희 외(2000)가 수정한 완벽주의 성향 척도의 일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전통적 어머니역할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양명숙(1993)의 질문지를 사용한 편은숙(2004)의 전통적 어머니역할 인식 척도를 사용하였다. 배우자지지 만족도는 현온강․조복희(1994)의 부모 역할 만족도 척도 중 배우자지지 만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사회적지지 만족도와 보육기관 만족도는 각각 권영희(2010)와 박희숙(2000)의 설문지를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측정하였다. 연구문제 분석을 위해 독립 t-test 및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모는 비취업모보다 돌봄 부족으로 인한 죄책감이나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이 높았고 보육기관 만족도도 높았던 반면, 전통적 어머니역할에 대한 인식은 비취업모가 취업모보다 높았다. 한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보다 돌봄 부족으로 인한 죄책감이 높았다. 둘째,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죄책감과 관련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각각 살펴본 결과, 취업모의 경우는 전통적인 어머니역할을 인식할수록 양육죄책감이 컸다. 이외에도 배우지지지 만족도가 낮을수록 부정적 양육행동으로 인한 죄책감이나 미숙한 부모역할로 인한 죄책감을 더 크게 느꼈다. 한편, 비취업모의 경우는 돌봄 부족으로 인한 죄책감과 부정적 양육행동으로 인한 죄책감은 어머니 연령이 낮을수록 높았던 반면, 미숙한 부모역할로 인한 죄책감은 어머니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높았다. 셋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죄책감과 관련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각각 살펴본 결과,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모두 취업모일수록 돌봄 부족으로 인한 죄책감이 컸다. 한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행동으로 인한 죄책감은 자녀 월령이 높을수록, 미숙한 부모역할로 인한 죄책감은 어머니 연령이 낮을수록 높았다. 반면,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행동으로 인한 죄책감과 미숙한 부모역할로 인한 죄책감은 전통적인 어머니역할을 높게 인식할수록 높았다. 넷째,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죄책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각각 살펴본 결과, 취업모의 경우는 돌봄 부족으로 인한 죄책감, 부정적 양육행동으로 인한 죄책감, 미숙한 부모역할로 인한 죄책감을 가장 잘 예측해주는 변인은 전통적 어머니역할 인식이었다. 즉, 전통적 어머니역할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취업모는 돌봄 부족으로 인한 죄책감, 부정적 양육행동으로 인한 죄책감, 미숙한 부모역할로 인한 죄책감이 높았다. 한편, 비취업모의 경우는 양육죄책감 하위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없었다. 다섯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각각 살펴본 결과,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경우는 자녀 월령이 높을수록, 보육기관 만족도가 높을수록, 사회적지지 만족도가 낮을수록 부정적 양육행동으로 인한 죄책감이 높았으며, 취업모일수록, 어머니의 연령이 적을수록, 전통적 어머니역할 인식이 높을수록 미숙한 부모역할로 인한 죄책감이 높았다. 한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경우 전통적 어머니역할 인식은 양육죄책감을 가장 잘 예측해주는 변인으로 나타나 전통적 어머니역할 인식이 높을수록 돌봄 부족으로 인한 죄책감, 부정적 양육행동으로 인한 죄책감, 미숙한 부모역할로 인한 죄책감이 높았다. 그 외에도 취업모일수록, 보육시간이 길수록, 완벽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보육만족도가 낮을수록 돌봄 부족으로 인한 죄책감이 높았고, 어머니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미숙한 부모역할로 인한 죄책감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은 어머니의 취업여부와 자녀발달단계에 따라 그리고 양육죄책감의 하위요인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달랐다. 특히 취업모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경우 3가지 양육죄책감 모두 어머니가 전통적 어머니역할에 대한 인식을 많이 하는 경우 특히 양육죄책감이 높았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을 예측하는 변인들이 어머니의 취업여부와 자녀발달단계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어머니의 양육죄책감 에 관한 이해에 이론적인 기여를 하였다고 본다. 또한 어머니의 전통적 어머니역할 인식이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규명함으로써 어머니들이 갖는 양육죄책감을 비롯한 심리인적 부담감을 경감시켜 줄 수 있는 방안을 시사하였다는데 실용적 의의가 있다.;The main focus of the research study was to look at variables regarding the mother's parenting guilt and variables related to the mother, and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xt-related variables, depending on the mother's employment status and the child's developmental stage.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318 mothers of infants (0~36 months) and toddlers (36~60 month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on mother's parenting guilt, mother's perfectionism, mother's traditional role recognition, Spouse support satisfaction, Social support satisfaction and care center satisfaction.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research questions.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ed: First, employed mothers and mothers of infants showed higher parenting guilt through lack of care. Second, employed mothers more aware of mother's traditional role recognition showed higher levels of parenting guilt. In addition, lower spouse support increased parenting guilt of negative parental behaviors and of inexperienced parental roles Third, employed mothers of both infants and toddlers had higher parenting guilt coming from lack of care. For mothers of infants, guilt through negative parental behaviors were higher as the children were older, and guilt through inexperienced parental roles were higher as the mothers were younger. Meanwhile, for mothers of toddlers, guilt through negative parental behaviors and inexperienced parental roles were higher as mothers had higher awareness of mother's traditional role recognition. Fourth, for employed mothers, the variable most predictive of guilt through lack of care, negative parental behaviors, and inexperienced parental roles was the mother's traditional role recognition. Fifth, Employed mothers, younger mothers, and greater mother traditional role recognition led to higher levels of guilt coming from inexperienced parental roles. Meanwhile, for mothers with toddlers, recognition of mother's traditional role was the best predictive variable of parenting guilt, hence higher recognition of mother's traditional role led to higher guilt through lack of care, negative parental behaviors, and inexperienced parental roles. This present research has identified that factors predictive of mother's parenting guilt differentiates depending on the mother's employment status and child's developmental stage and has further contributed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mother's parenting guilt. It also has established mother's recognition of their traditional roles as an important factor to predict parenting guilt, and therefore has practical significance to inform a plan to reduce the mother's parenting guilt and/or psychological burde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5 A. 양육죄책감 5 B. 양육죄책감에 관련된 변인 7 1. 자녀발달단계 및 자녀 월령 7 2. 어머니 관련 변인 9 3. 맥락 관련 변인 13 Ⅲ. 연구문제 및 용어정의 18 A. 연구문제 18 B. 용어정의 18 Ⅳ. 연구방법 21 A. 연구대상 21 B. 조사도구 24 C. 조사절차 31 D. 자료분석 32 Ⅴ. 연구결과 34 A. 기초분석: 어머니 취업여부와 자녀발달단계에 따른 사회인구학적 변인간의 차이 34 B. 어머니 취업여부와 자녀발달단계에 따른 연구변인에서의 차이 36 C. 어머니 취업여부와 자녀발달단계에 따른 자녀 월령, 어머니 관련 변인, 맥락 관련 변인 및 어머니의 양육죄책감간의 상관관계 39 D. 어머니 취업여부와 자녀발달단계에 따른 자녀 월령, 어머니 관련 변인, 맥락 관련 변인이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50 Ⅵ. 논의 및 결론 56 A. 어머니 취업여부와 자녀발달단계에 따른 연구변인에서의 차이 56 B. 어머니 취업여부와 자녀발달단계에 따른 자녀 월령, 어머니 관련 변인, 맥락 관련 변인 및 어머니의 양육죄책감간의 상관관계 58 C. 어머니 취업여부와 자녀발달단계에 따른 자녀 월령, 어머니 관련 변인, 맥 락 관련 변인이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63 참고문헌 70 부록 - 질문지 78 ABSTRACT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1525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보육기관에 다니는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죄책감과 관련된 변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어머니 취업여부와 자녀발달단계에 따른 비교-
dc.title.translatedMother's parenting guilt related variables : Depending on the mother's employment status and the child's developmental stage-
dc.creator.othernameSung, Jung-Won-
dc.format.pageix, 9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아동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