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도현심-
dc.contributor.author김아연-
dc.creator김아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8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8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5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9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587-
dc.description.abstract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private education experiences, ego-resiliency, parents ․peer attachment that affect the daily stress level of children. This research also investigated whether or not the children's ego-resiliency, parents and peer attachment play moderating roles between children's private education experiences and daily stress. The research data was collected from a total of 354 5th and 6th graders(172 boys and 182 girls) who were attending elementary school in Seoul and Gyeong-gi Do. Data were collected using six kinds of questionnaires regarding private education experiences, ego-resiliency, parents․peer attachment and daily stress of children. All of the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children themselves.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had a higher level of parents-related stress when they spent more time on private education weekly. However, The number of private education that children received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children's daily stress level. Second, children had a lower level of parents-related stress when they more attached to their mother and father, then had a lower level of peer-related stress when they more attached to their peer. Also, children had a lower level of academic-related stress when they more attached to their mother. Fin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children's private education experiences and parents․peer attachment on children's daily stress. That is, children's private education experiences, parents and peer attachment had significant impacts on child's daily stress individually. This research investigated children's private education experiences to have more comprehensive concept included after-school classes as private education, then found that as a predictor of the children's daily stress, children's private education hours for one week plays more important role than the number of private education. Moreover, by distinction between mother and father, this research found that children's attachment to their mother was greater effect than children's attachment to their father. This research holds the academic and pragmatic significance as it has broadened the range of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s daily stress, and can be used for developing the intervention program for reduction in daily stress of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사교육 경험, 자아탄력성 및 부모․또래애착이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이 사교육 경험과 일상적 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각각 중재적 역할을 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및 경기도에 위치한 초등학교 5, 6학년에 재학 중인 354명의 남녀 아동들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아동의 사교육 경험을 측정하기 위해 사교육과 관련된 연구들(김보용, 2008; 이소현 외, 2010)에 근거하여 아동이 현재 받고 있는 사교육 가짓수와 시간을 조사하였다.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한미현과 유안진(1995)의 척도를, 아동의 자아탄력성은 Block과 Kremen(1996)의 척도를 한현아(2007)가 번안한 것을, 아동의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은 Raja, McGee와 Stanton(1992)이 개정한 IPPA-개정본(IPPA-R)을 김수희(2009)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산출하고, 단순 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당 사교육 시간이 많을수록 아동은 부모관련 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하였다. 반면, 사교육 가짓수는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를 유의하게 예측하지 않았다. 둘째,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이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아동은 어머니 애착과 아버지 애착이 높을수록 부모관련 스트레스를 덜 경험하였고, 또래애착이 높을수록 또래관련 스트레스를 덜 경험하였다. 또한, 어머니 애착이 높을수록 학업관련 스트레스를 덜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대한 사교육 경험과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즉, 아동의 사교육 경험과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은 일상적 스트레스에 개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교 내 방과 후 교육을 사교육의 범주로 포함하여 보다 포괄적인 개념으로 사교육 경험을 조사하였고,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를 예측하는 사교육 경험으로 사교육 가짓수 보다 주당 사교육 시간의 의미가 더 크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부모의 성별을 구분하여 어머니 애착이 아버지 애착에 비해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상대적으로 더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이를 완화시키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학문적․실용적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6 A. 일상적 스트레스의 개념 6 B. 아동의 사교육 경험과 일상적 스트레스 7 C. 아동의 자아탄력성,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과 일상적 스트레스 9 1.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일상적 스트레스 9 2. 아동의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과 일상적 스트레스 11 D. 아동의 사교육 경험과 일상적 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의 중재적 역할 13 Ⅲ. 연구문제 및 용어정의 16 A. 연구문제 16 B. 용어정의 17 Ⅳ. 연구방법 19 A. 연구대상 19 B. 조사도구 21 C. 조사절차 및 자료분석 24 Ⅴ. 연구결과 26 A. 예비분석 26 B. 아동의 사교육 경험이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29 C.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이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31 D. 아동의 사교육 경험과 일상적 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 및 부모또래애착의 중재적 역할 탐색 34 Ⅵ. 논의 및 결론 36 A. 아동의 사교육 경험이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36 B.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이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37 C. 아동의 사교육 경험과 일상적 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 및 부모또래애착의 중재적 역할 탐색 43 참고문헌 46 부록 - 질문지 59 ABSTRACT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353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아동의 사교육 경험, 자아탄력성 및 부모·또래애착과 일상적 스트레스 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s of Children's Private Education Experiences, Ego-Resiliency and Parents · Peer Attachment to Children's Daily Stress-
dc.creator.othernameKim, A Youn-
dc.format.pagevii, 7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아동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