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도현심-
dc.contributor.author최은지-
dc.creator최은지-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8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8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5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96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574-
dc.description.abstract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working mother's job satisfaction, social support,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 including a mediating role of parenting stress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parenting behavior.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support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parenting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227 working mothers of children aged 3-5, currently attending day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Do.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five kinds of questionnaires regarding job satisfaction, father's involvement in child-rearing, day care quality,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 All of the questionnaires were rated by working mothers themselves.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Pearson's correlation, simple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orking mothers who had high job satisfaction were more warm/accepting and less permissive/neglecting and rejecting/restrictive. Second, as the level of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among factors of parenting stress was higher, working mothers' parenting were lower warm/accepting and higher permissive/neglecting and rejecting/restrictive. In addition, as the level of difficult temperament among factors of parenting stress was higher, working mothers' parenting were higher rejecting/restrictive. Third, working mothers experienced less parenting stress when they had higher job satisfaction. Fourth, mediating roles of parenting stress in relation of job satisfaction and parenting behavior were found. The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was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warm/accepting. It also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rejecting/restrictive. It played a complete mediating role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permissive/neglecting. In addition, difficult temperament was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rejecting/restrictive. Finally, moderating roles of father involvement in child-rearing in relation of job satisfaction and parenting stress were found. Father involvement in recreational activity moderated the impact of job satisfaction on working mothers' parental distress and difficult temperament. Moreover, father involvement in discipline and school-related activity moderated the impact of job satisfaction on working mothers' parental distress. However, moderating roles of day care quality in relation of job satisfaction and parenting stress were not found. In conclusion, working mothers' parenting stress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parenting behavior. However, mediating effect had differential influences on three dimensions of parenting behaviors. This study also found that father's involvement in child-rearing moderated the impact of job satisfaction on parenting stress. In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father involvement in child-rearing was more influenced than day care quality. This study holds academic and prac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broadens the range of understanding for working mothers.;본 연구의 목적은 취업모의 직업만족도, 양육 스트레스 및 양육행동 간의 관계를 비롯하여 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가 직업만족도와 양육행동 간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취업모의 직업만족도와 양육 스트레스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중재적 역할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에 위치한 9개의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3-5세 자녀를 둔 227명의 취업모들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취업모의 직업만족도는 이선희(2007)가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양육 스트레스는 Abidin(1990)의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PSI/SF)을 번안・수정한 김민정(2008)의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취업모의 양육행동은 김문정(2003)의 척도를 사용하였고, 아버지 양육참여도는 조숙인(2010)이 사용한 척도를 어머니 보고용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보육기관의 질은 임미리(1997)가 사용한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변인들 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단순회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모의 직업만족도가 높을수록 온정・수용적 양육행동은 많이 나타내었고, 허용・방임적, 거부・제재적 양육행동은 덜 나타내었다. 둘째, 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 중 부모-자녀간 역기능적 상호작용이 높을수록 온정・수용적 양육행동은 덜 나타내었고, 허용・방임적, 거부・제재적 양육행동은 많이 나타내었다. 또한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에 대한 양육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거부・제재적 양육행동을 많이 나타내었다. 셋째, 취업모의 직업만족도가 높을수록 부모의 고통, 부모-자녀간 역기능적 상호작용,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에 대한 스트레스는 낮았다. 넷째, 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 중 부모-자녀간 역기능적 상호작용은 직업만족도와 온정・수용적 양육행동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 역할을, 직업만족도와 허용・방임적 양육행동 간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 역할을, 그리고 직업만족도와 거부・제재적 양육행동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 역할을 하였다. 양육 스트레스 중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은 취업모의 직업만족도와 거부・제재적 양육행동 간의 관계에서만 부분 매개 역할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지지의 중재 효과에 있어서 아버지 양육참여도 중 여가활동참여도는 취업모의 직업만족도가 양육 스트레스 중 부모의 고통,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에 미치는 영향을 중재하였고, 아버지 생활지도참여도와 학습지도참여도는 취업모의 직업만족도가 양육 스트레스 중 부모의 고통에 미치는 영향을 중재하였다. 그러나 아버지 가사활동참여도의 중재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사회적 지지 중 보육기관의 질은 그 하위요인 모두 취업모의 직업만족도와 양육 스트레스간의 관계에서 중재적 역할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취업모를 대상으로 한 통합적 접근이 부족한 상황에서 취업모의 환경체계인 직장, 가정, 배우자, 보육기관 등을 모두 고려하여 취업모에 대한 이해를 높인 데 큰 의의가 있다. 또한 취업모의 직업만족도는 양육 스트레스를 매개로 하여 직・간접적으로 긍정적, 부정적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혀 취업모의 직업에 대한 영향이 가정 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사회적 지지의 중재효과에서 보육기관의 영향보다는 아버지 양육참여도가 더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밝혀짐에 따라 일과 가정생활의 병행으로 인한 취업모의 어려움을 완충시켜주기 위해서는 부부공동양육이 매우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7 A. 취업모의 직업만족도, 양육 스트레스 및 양육행동 간의 관계 7 1. 취업모의 직업만족도와 양육행동 7 2. 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행동 8 3. 취업모의 직업만족도와 양육 스트레스 9 4. 취업모의 직업만족도와 양육행동 간의 관계에서 양육 스트레스의 매개적 역할 11 B. 취업모의 직업만족도와 양육 스트레스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중재적 역할 11 1. 사회적 지지의 개념 11 2. 취업모의 직업만족도와 양육 스트레스간의 관계에서 아버지 양육참여도의 중재적 역할 13 3. 취업모의 직업만족도와 양육 스트레스간의 관계에서 보육기관의 질의 중재적 역할 15 Ⅲ. 연구문제 및 용어정의 18 A. 연구문제 18 B. 용어정의 20 Ⅳ. 연구방법 22 A. 연구 참여자 22 B. 조사도구 25 C. 조사절차 및 자료분석 30 Ⅴ. 연구결과 32 A. 예비분석 32 1. 취업모의 직업만족도, 양육 스트레스 및 양육행동 간의 상관관계 32 2. 취업모의 직업만족도, 사회적 지지 및 양육 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 33 B. 취업모의 직업만족도, 양육 스트레스 및 양육행동 간의 관계 36 1. 취업모의 직업만족도와 양육행동 간의 관계 36 2. 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행동 간의 관계 36 3. 취업모의 직업만족도와 양육 스트레스간의 관계 37 4. 취업모의 직업만족도와 양육행동 간의 관계에서 양육 스트레스의 매개적 역할 38 C. 취업모의 직업만족도와 양육 스트레스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중재적 역할 44 1. 취업모의 직업만족도와 양육 스트레스간의 관계에서 아버지 양육참여도의 중재적 역할 44 2. 취업모의 직업만족도와 양육 스트레스간의 관계에서 보육기관의 질의 중재적 역할 52 Ⅵ. 논의 및 결론 61 A. 취업모의 직업만족도, 양육 스트레스 및 양육행동 간의 관계 61 1. 취업모의 직업만족도와 양육행동 간의 관계 61 2. 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행동 간의 관계 62 3. 취업모의 직업만족도와 양육 스트레스간의 관계 63 4. 취업모의 직업만족도와 양육행동 간의 관계에서 양육 스트레스의 매개적 역할 64 B. 취업모의 직업만족도와 양육 스트레스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중재적 역할 65 참고문헌 70 부록 79 ABSTRACT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274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취업모의 직업만족도, 사회적 지지, 양육 스트레스 및 양육행동 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among Working Mother's Job Satisfaction, Social Support,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
dc.creator.othernameChoi, Eun Ji-
dc.format.pageix, 9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아동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