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8 Download: 0

사회경제적 지위 및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기 여학생의 성취동기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사회경제적 지위 및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기 여학생의 성취동기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Socioeconomic Status, Parental Parenting Attitudes Predicting adolescent girls'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Efficacy : Comparision between Alpha girls' group and General girls' group
Authors
오혜진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성연
Abstract
본 연구는 성취나 자기효능감에서 특별히 우수한 능력을 나타내는 여학생들과 그렇지 않은 일반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이와 관련된 변인을 규명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두었다. 이를 위해 알파걸 집단과 일반 여학생 집단을 선정하여,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및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기 여학생의 성취동기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여,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알파걸 집단과 일반 여학생 집단으로 구성되며, 서울, 경기 지역, 2개의 특수목적 고등학교와 1개 일반 고등학교 1, 2학년 여학생 372명 중 알파걸 집단으로 분류된 여학생 100명과 비교집단인 일반 여학생 집단으로 분류된 여학생 100명, 총 200명이며 모든 자료는 청소년기 여학생의 자기보고에 의해 수집되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측정하기 위해서 이숙(1988)의 방법에 따라 부모의 교육수준을 점수화하였고 부의 직업수준은 통계청(2002)에서 제시한 8단계 사회경제분류를 기준으로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가정의 총수입 또한 점수화하여 측정하였다. 부모의 양육태도는 오성심과 이종승(1982)이 제작한 부모양육태도 척도 중 '성취지향' 및 김진희(1989)가 사용한 부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 척도를 수정하여 측정하였다. 성취동기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Murray(1938)와 McClelland(1987), Weiner(1974)와 Herman(1970)의 성취동기 검사를 기현주(2004)가 수정, 번안한 '성취동기' 검사를 사용하였다. 자기효능감 척도는 Shere, Maddux, Mercan date, Pretice, Jacobs & Rogers(1982)가 제작한 척도를 김현숙(2001)이 청소년에 맞게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문제 분석을 위해서는 변인들 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독립표본 t-test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알파걸 집단과 일반 여학생 집단 간의 청소년기 여학생이 지각하는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부모의 양육태도와 성취동기 및 자기효능감의 수준 차이를 비교한 결과, 알파걸 집단의 여학생들이 일반 여학생 집단의 여학생들에 비해, 아버지의 교육수준, 아버지의 직업수준 및 월 평균소득이 더 높았으며, 어머니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더 많고, 성취동기와 자기효능감의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부와 모의 양육태도 및 성취동기, 자기효능감 간의 상관관계가 알파걸 집단과 일반 여학생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계수를 산출한 결과, 알파걸 집단은 부의 교육수준, 부의 직업수준 및 월 평균소득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았으며, 부모가 성취지향적으로 양육하고 부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많다고 지각할수록 성취동기와 자기효능감이 높았다. 또한 부의 직업수준이 높을수록, 부모가 성취지향적으로 양육하고 어머니와의 개방적인 의사소통이 많았고, 월 평균소득이 높을수록 부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많고 어머니가 성취지향적으로 양육한다고 지각하였다. 한편, 일반 여학생 집단은 부의 직업수준이 높고 월 평균소득이 높을수록 성취동기가 높았으며, 부모가 성취지향적으로 양육하고 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많다고 지각할수록 성취동기와 자기효능감이 높았다. 또한 부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아버지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많고, 월 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아버지가 성취지향적으로 양육한다고 지각하였다. 셋째, 사회경제적 지위 및 부모의 양육태도가 알파걸 집단과 일반 여학생 집단의 여학생의 성취동기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성취동기 또는 자기효능감을 종속변인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알파걸 집단은 부모가 성취지향적으로 양육하고 어머니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많다고 지각할수록 성취동기가 높았으며, 부의 교육수준과 월 평균수입이 높고 부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많다고 지각할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았다. 반면에 일반 여학생 집단은 부모가 성취지향적으로 양육한다고 지각할수록 성취동기가 높았으며, 모의 교육수준이 높고 부모가 성취지향적으로 양육한다고 지각할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았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아버지의 교육수준, 직업수준 및 월 평균소득은 알파걸 집단의 성취동기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며,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 정도는 알파걸 집단의 성취동기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알파걸 집단과 일반 여학생 집단 간 차이를 구체적으로 규명함으로써 뛰어난 능력을 갖춘 딸을 성장시키는데 있어,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확인함으로써 학업성취만을 지향하는 현대의 부모들에게 실제적인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 of socioeconomic status, parenting attitudes and adolescent girls'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efficacy between the highly competent Alpha girls' group(top 5%) and comparision group randomly-selected from the rest 95% in terms of competent. Data were collected via questionaires from 200 Korean high school girl students who were composed of 100 alpha girls' group and 100 genernal girls' group( M age= 16.05, yrs).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regression and Cronbach's α.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the comparision group, in the highly competent alpha girls' group showed higher father's education levels, father's occupation levels, economic status and higher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efficacy, and percieved higher open communication with mother. Second, in the highly competent alpha girls' group, father's education levels, father's occupation levels, economic status were positively related to alpha girls' self-efficacy. Also, parental achievement-encouraging parenting attitudes and open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ere positively related to alpha girls'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efficacy. while showing in comparision group, father's education levels, economic status were positively related to genernal girls' achievement motivation. also, parental achievement-encouraging parenting attitudes and open communication with mother were positively related to genernal girls'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efficacy. Third, in the highly competent alpha girls' group, parental achievement-encouraging parenting attitudes and open communication with mother were positively related to alpha girls' achievement motivation. Father's education levels, economic status and open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ere positively related to alpha girls' self-efficacy. while showing in comparision group, parental achievement-encouraging parenting attitude were positively related to genernal girls' achievement motivation. Mother's education levels and parental achievement-encouraging parenting attitude were positively related to genernal girls' self-efficacy. The current study conforms the importance of open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for daughters' competence such as academic achievement and leaderships.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father's influences such as father's education levels, father's occupation levels, economic status make positive contribution to daughters'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efficac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