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7 Download: 0

기독교 무용교육의 실태에 관한 연구

Title
기독교 무용교육의 실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Christian Dance Education
Authors
이혜미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은경
Abstract
현대 사회는 과학의 발달로 인해 삶이 풍요롭고 다채로워졌다. 이처럼 삶이 풍요로워짐에 따라, 예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수요 역시 늘고 있다. 사람들은 늘어 난 여가시간을 활용하기 위해 극장이나 공연장 또는 미술관 등을 찾고, 더 다양한 문화생활을 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을 따르듯 예술은 더욱 발전하고 다양한 작품을 대중들에게 선보이고 있다. 그러나 과학의 발달은 삶의 풍요를 가져다 준 반면, 물질문명을 최고 가치로 여기는 이기주의와, 도덕적 기준을 상실한 비인간화를 초래함으로 인간의 본성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예술은 이러한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좋은 매개체이다. 그러나 지금은 예술도 많이 상업화되어 시장성을 완전히 배제하고 생각할 수 없게 되었다. 언제부터인가 예술 작품이 사고 팔리는 예술 시장에서 수요가 높은 상품이 되려면 무조건 새로워야 한다는 사고가 자리 잡기 시작했다. 최근 들어 많은 경우, 그 새로움이라는 것이 곧 자극이거나 충격이어야 한다는 생각이 팽배하다. 폭력적이고 자극적인 내용이 주목을 받고 그래야만 상품의 가치를 인정받고 이익을 창출하게 된다고 여긴다. 문제는 이러한 예술 작품이 대중들에게 문화생활로만 끝나지 않고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예술계 전체로 확대시켜 기정사실화 할 수는 없지만, 그저 간과할 수도 없는 문제다. 예술은 대중과 더 친밀해지기 원하고 있으며 예술이 경제적 이익을 배제하고 창작될 수 없는 한 이는 예술이 줄 수 있는 무서운 악 영향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대 속에 기독교 예술의 역할과 기능이 더욱 중요해진다. 도덕적 잣대가 바로 선 기독교 예술이 영역을 더 넓히고 발전함으로 이런 사회적 문제들을 해소하며, 인간이 기본적으로 누려야 할 정신적 행복과 심리적 안정을 주는 일을 감당해야 한다. 이는 이천 년 전, 예수가 이 땅에 와서 복음을 전할 때 주린 자에게 먼저 빵을 주고 아픈 자에게 먼저 아픈 곳을 치유해 주었던 일과 같다고 이야기할 수 있다. 기독교 예술은 현대 문화․예술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기독교 예술을 통해 현대인들의 아픔과 상처를 치유하고 회복해야 한다. 기독교 예술에서 무용은 심신이원론으로 인해 소외되고 타 예술에 비해 더딘 발전을 이루었다. 하지만 문화선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독교 무용은 주목 받고 있고 기독교 무용을 교육하는 기관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기독교 무용교육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기 전에 교육기관의 설립과 교육과정 시행이 이루어 짐으로서 그 동안 설립되었던 교육기관이 폐지되거나 과정이 사라져 버리는 경우도 생기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기독교 무용교육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게 이루어져야 하겠지만 아직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조사와 국내 기독교 무용교육이 실시되고 있는 기관 6 곳의 209명을 대상으로 기독교 무용교육의 목표 및 만족도와 요구 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기독교 무용교육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 무용교육의 목표는, 기독교 예술로서 문화․예술의 방향성을 제시하며 선교를 통한 기독교적 봉사 실천을 이루는 것이 최우선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둘째, 기독교 무용교육의 만족도에 대한 결과, 교육 내용에 대해서는 대학교육과 전문교육, 사회(평생)교육 모두, 영적인 성장을 돕고 앞으로의 비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학교육의 경우, 전문교육과 사회(평생)교육에 비해 전문성과 영성에 대해 만족할 만큼 다루고 있지 못하며 기독교 예술가로서의 사명감에 대한 교육도 대체로 잘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육 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대학교육과 전문교육, 사회(평생)교육 모두, 교육이 수준, 단계별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기독교 무용에 대한 문헌 및 시청각 자료 구비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무용 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전문교육과 사회(평생)교육에 비해 대학교육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기독교 무용교육의 요구 도에 대한 결과, 교육 내용에 대해서는 대학교육과 전문교육, 사회(평생)교육 모두, 기독교 무용에 대한 이해를 돕는 전문적인 교육과정을 필요로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으며, 영성 훈련에 대한 요구도 역시 높게 나타났다. 이에 비해 대학교육은 영성과 사명성에 대해서는 요구도가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대학교육과정의 수강자 과반수가 비기 독 교 인이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대학교육을 통해 기독교 무용에 대한 비기독교 수강자들이 긍정적인 의식의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미루어 본 결과, 기독교 무용교육을 통한 전도․선교의 가능성을 볼 수 있다. 그리고 교육 환경에 대한 요구 도는 더 전문적인 강사진을 원하며 강의 역시 더 다양하고, 수업이 수준별로 나눠지기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강의의 수강 인원이 너무 많지 않기를 원한다는 요구가 많았는데 이는 수준별 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연결시켜 보았을 때 더 자세한 교육을 받기 원하는 심리로 파악 할 수 있다. 넷째, 기독교 무용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지도는 낮은 편이며 분야별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과정의 개발이 시급하고, 신학대학에 기독교 무용과 신설 및 일반대학에 기독교 무용 관련 강의 개설 등의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기독교 무용교육의 발전•성장을 위해서는 문화•예술, 종교계의 적극적인 지원과 기독교인 예술가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기독교 무용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 대중들에게 접할 기회 마련, 전문적인 인재양성을 위한 기독교 무용 교육기관과 교육과정이 개발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기독교 무용교육은 기독교 예술로서 문화․예술의 방향성을 제시하며 선교의 한 방법으로 복음전파에 기여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독교 무용교육이 발전되기 위해서는 문화․예술, 종교계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무엇보다 기독교인 예술가들의 참여가 필요하다. 그리하여 기독교인 예술가들의 협력 속에 기독교 무용이 더 활발해 져서 성공적이고 활기찬 문화선교를 이루고 현대 문화․예술에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Modern society has become multifarious and diverse due to the richness of life owing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With such richness,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art. Many people spend their free time attending theaters and exploring various cultural activities. Following this trend, art continues to develop by providing the public with a wide variety of masterpieces. The advancement of modern technology has contributed to the richness of life, yet has brought on inhumane materialization, which has a significant impact on human nature. Art is the medium that can alleviate this phenomenon. However, as art is becoming more commercialized, we need to take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art market. The art market, where artwork is bought and sold, encourages the idea of producing new provocative work to the public. According to observations, provocative art pieces depicting acts of violence attract the most attention and produce profits. One of the main problems with this is that such artwork does not add to cultural life, but rather influences one's personal life. Imitating violent artwork often leads to a life of crime and as more of these pieces accumulate, the public does not recognize the seriousness of this situation. One can argue that such problems are not regarded as problems with the art world as a whole, but it also cannot be overlooked. Art strives to reach out to the public; however such adverse effects are unavoidable unless these art pieces are created for no economic value. During these times, the role of Christian art becomes more important. Christian art, with proper ethical standards, can solve the aforementioned problems and offer psychological bliss and stability to our society. Jesus provided bread to the hungry and healed the sick prior to preaching the Gospel. Christian art must do the same before spreading the Gospel to the public. Furthermore, it must provide a new direction for modern culture, as well as cure the agony of mankind. Dance in Christian art has been neglected for years due to the concept of mind-body dualism. However, increasing interest in cultural missionary work has attracted more attention to Christian dance, which in turn has led to the establishment of Christian dance institutions. Because these institutions were founded prior to the study of Christian art, some were shut down or their curriculums were suspended as they lacked a certain system. In order to resolve these issues, a study on Christian dance education is crucial; however the current state is unsatisfactor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future road maps for Christian dance education. This thesis surveyed 209 attendees of 6 internet-registered Christian institutions providing a dance education curriculum. The survey included the Christian dance education curriculum's goal, the content of the courses,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program, and suggested improvements and directions for further growth.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First, providing Christian service through mission work with cultural and artistic direction is perceived as the foremost goal of the Christian dance education curriculum. Second, a Christian dance education curriculum assists in spiritual growth and has a positive influence on one's future visions. However, post-secondary institutions don’t provide sufficient professional instruction nor do they emphasize commitment as a Christian artist. Also, it was revealed that all forms of post-secondary institutions maintain curriculums without different levels and they lacked the proper literature and audio/visual aids to teach Christian dance. The satisfaction level of 'Dance facilities' revealed that colleges provide a better environment for learning than professional institutions. Third, curriculums that assist in the understanding of Christian dance is needed and demanded for spiritual training. In contrast, the demand for spirituality in post-secondary institution was comparatively low; the reason being that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in these institutions are non-Christians. On the other hand, Christian dance brings positive change in the minds of non-Christian students, thus it can benefit as a missionary work. There is a high demand for diverse educational content and better qualified instructors. There is also a high demand for smaller classes in order to provide a better learning environment. Different levels of classes can provide more detailed education. Fourth, the social awareness of Christian dance is quite low and it is imperative to develop professional and systematic curriculums. The College of Theology should start a Christian dance department and general colleges should also offer Christian dance related courses. In addition, cultural/religious circles must provide active support and Christian artists must participate with more enthusiasm. It is imperative to improve social awareness about Christian dance and to open institutions that can train talented artists with a Christian dance curriculum. As illustrated by the examples above, Christian dance provides cultural/artistic direction and contributes to the spreading of the gospel as a means of missionary work. In order for Christian dance education to improve, cultural and religious support, especially from Christian artists, is imminent. This will help trigger the growth of Christian dance education and finally provide the proper direction to achieve successful and energetic missionary work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