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성연-
dc.contributor.author손영지-
dc.creator손영지-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39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39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48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9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48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성격과 양육행동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성격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보는 한편, 어머니의 성격이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간의 관계에서 중재적 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또한, 탐색적 수준에서 외향성의 하위요인들을 요인분석하여 사교적인 외향성, 활동적인 외향성, 온정적인 외향성으로 요인명을 정하고 양육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5∼6학년에 재학중인 350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여, 양육행동, 양육스트레스, 성격에 관한 질문지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김문정(2003)의 아동보고용 질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어머니의 보고로, Abidin(1990)이 제작한 ParentingStress Index(PSI)를 신숙재(1997)가 번역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성격도 어머니의 보고로, NEO-PI-R(Costa & McCrae, 1992)을 우리문화에 익숙한 언어로 번역하고 타당화작업을 한 안창규와 채준호(1997)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서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분석과 중다회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성격 및 양육행동간의 관계에는 대체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온정·수용 양육행동을 보이는 반면,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거부·제재 양육행동을 보였다. 또한 어머니의 성격은 신경증이 높을수록 거부·제재 양육행동을 보이는 반면, 사교적인 외향성 및 온정적인 외향성이 높을수록 온정·수용 양육행동을 보였다. 다음으로 어머니가 신경증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모든 하위요인 즉, 일상적 스트레스, 자녀의 기질로 인한 스트레스, 자녀와의 관계로 인한 스트레스, 학습기대와 관련된 스트레스 모두 높았다. 반면, 어머니의 성격이 사교적인 외향성이 높을수록 그리고 온정적인 외향성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모든 하위요인 즉,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 자녀의 기질로 인한 스트레스, 자녀와의 관계로 인한 스트레스, 학습기대와 관련된 스트레스 모두 낮았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성격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성격보다 온정·수용 양육행동을 보다 잘 예측하였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간의 관계에서 성격의 중재적 역할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사교적인 외향성과 활동적인 외향성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상호작용하여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어머니의 학습기대와 관련된 스트레스는 어머니의 사교적인 외향성과 상호작용하여 어머니의 온정·수용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자녀의 기질로 인한 스트레스는 어머니의 사교적인 외향성과 상호작용하여 어머니의 허용·방임, 거부·제재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어머니의 자녀와의 관계로 인한 스트레스와 학습기대와 관련된 스트레스는 어머니의 활동적인 외향성과 상호작용하여 어머니의 허용·방임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온정적이고 수용적인 양육행동은 성격보다 상대적으로 양육스트레스에 의해 보다 예측되었다. 그러나 어머니의 사교적인 외향성과 활동적인 외향성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상호작용하여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어머니의 사교적인 외향성과 활동적인 외향성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간의 관계를 중재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신경증과 외향적인 성격을 중심으로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요인분석을 한 외향성이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간의 관계에서 중재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보다 직접적으로 성격과 양육행동간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among maternal parenting stress, personality and parenting behavior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 mother's personality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 This study concentrated on neuroticism and extraversion of personality. This study conducted surveys on 350 5th~6th grade children and their mothers about mother's parenting behavior, parenting stress and personality. Correlational analyses among the variable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data. When mediating effects were identified, Two-Way ANOVA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all the three variables (maternal parenting stress, personality and parenting behavior have been identified.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relative effect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personality have on parenting behavior, maternal parenting stress better predicted warmth parenting behavior than personality. Thir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ediation effect of person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 interactions between mother's sociable extraversion, active extraversion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affected the mother's parenting behavior. In conclusion, Maternal warmth parenting were predicted by parenting stress but not by personality. However, Maternal sociable extraversion and active extraversion were mediated in relation with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 This study that concentrated on neuroticism and extraversion of personality examined relationship with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 By confirming the mediating relationship which factorial analysised extraversion has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 meaningful direct analysis of personality and parenting behavior to define and measure materna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has been enabl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Ⅱ.이론적 배경 5 A.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 5 B.성격과 양육행동간의 관계 7 1. 성격의 구성요소 7 2. 성격요인들과 양육행동의 관계 8 C.양육스트레스, 성격, 양육행동간의 관계 11 Ⅲ.연구 문제 14 IV.연구 방법 15 A.연구대상 15 B.측정도구 17 1. 어머니의 양육행동 17 2.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17 3. 어머니의 성격 18 C.자료절차 및 자료분석 21 V.연구결과 22 A.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성격과 양육행동간의 관계 22 B.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성격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25 C.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간의 관계에서 성격의 중재적 역할 27 1.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온정수용 양육행동간의 관계에서 사교적인 외향성의 중재적역할 28 2.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허용방임 양육행동간의 관계에서 사교적인 외향성과 활동적인 외향성의 중재적역할 30 3.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제재 양육행동간의 관계에서 사교적인 외향성의 중재적역할 35 VI.논의 및 결론 37 A.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성격과 양육행동간의 관계 37 B.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성격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41 C.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간의 관계에서 성격의 중재적 역할 42 참고문헌 47 부록 51 Abstract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776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성격의 중재효과-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among Maternal Parenting Stress, Personality and Parenting Behavior : The mediation effect of Personality-
dc.creator.othernameSon, Young Ji-
dc.format.pageix, 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아동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