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도현심-
dc.contributor.author조숙인-
dc.creator조숙인-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33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33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4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9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40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취업 및 문지기 역할이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롯하여, 어머니의 취업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간의 관계와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간의 관계가 각각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과 취업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지역의 5개 유치원 및 어린이 집에 다니는 만 3-5세 유아의 부모 345쌍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어머니의 취업 관련 사항을 조사하기 위해 김기원(2009)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은 기준과 책임, 어머니의 정체성 확인 그리고 차별화된 가족 역할의 세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Allen과 Hawkins(1999)의 척도를 번안하여 측정하였다. 아버지의 양육참여도는 여가활동, 생활지도, 가사활동, 학습지도과 같은 네 가지 양육활동을 포함하는 최경순(1992)의 척도를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용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예비분석을 위해 t검증을 실시하고,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분석에서는 어머니의 취업 및 문지기 역할이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각각 단순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에 대한 어머니의 취업과 문지기 역할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고자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모가정의 아버지는 비취업모의 경우에 비해 가사활동과 자녀 학습지도 활동에 더 많이 참여하였다. 둘째, 어머니 문지기 역할의 각 하위요인들은 아버지 양육참여도의 다양한 활동에 각기 다른 영향을 미쳤다. 즉, 어머니가 기준과 책임의 경향성이 강하고, 가정일을 잘 수행하는 것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려는 경향이 적을 경우, 아버지는 여가활동에 덜 참여하였다. 어머니가 가정을 잘 돌보는 것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려 하는 경향이 적고, 남녀 성역할에 대한 구분이 뚜렷한 경우에는 아버지가 생활지도 활동에서 낮은 참여도를 보여주었다. 어머니가 가정일에 강한 책임을 가지고 있고, 정체성 확인의 경향이 적으며, 가족의 성역할에 대한 구분이 분명할수록, 아버지의 가사활동 참여도가 낮았다. 어머니가 가정일을 홀로 수행하려 할 때, 아버지가 자녀의 학습지도에 적게 참여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버지 양육참여도에 대한 어머니의 취업과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아버지의 여가활동, 생활지도 및 가사활동 참여도는 어머니의 취업 여부보다는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의 영향에 의해, 아버지 학습지도 참여도에는 어머니의 취업에 의해 더 커다란 영향을 받았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문지기 역할을 개념화한 연구가 드문 가운데 어머니의 취업 및 문지기 역할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간의 관계를 통해 어머니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았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아버지의 양육참여도를 서로 다른 네 가지 활동으로 구분함으로써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이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의 각 영역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다는 점에서 학문적 · 실용적 의의가 있다.;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others’ employment and maternal gatekeeping (i.e., mothers’ attempts to restrict and exclude fathers from child care and involvement with children) on father involvement.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interaction effect of maternal employment and maternal gatekeeping on father involvement. Subjects were collected with a sample of 345 parents of children aged 3-5, currently attending kindergartens and preschools located in the city of Seoul and suburban areas. Maternal employment and job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by the scale of Ki-won Kim(2009). Maternal gatekeeping was measured based on Allen and Hawkins(1999). The Inventory of Father Involvement(Choi, 1992) was used for evaluating four dimensions of father involvement including recreational involvement, discipline, housework and school-related involvement.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simpl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athers in dual-earner families were significantly more involved in housework and school-related activities than those of single-earner families. Second, fathers whose wives maintained their ultimate responsibility for family work and had less desire for external validation of the maternal role were less involved in leisure activities with their children. When mothers believed that family work is only for women and they didn't try to seek external validation of their identity, fathers were less involved in discipline-related activities. As mothers were more eager to manage child care and chores by themselves as well as had conservative gender roles and less depended on external judgement about how well they dealt with child care and other housework, the level of paternal involvement in house chores became declined. The more mothers were responsible for family works and child care, the less fathers participated in school-related activities for their children. Third, father involvement in recreational activities, discipline, and housework was affected more by maternal gatekeeping than by mothers' employment status. In contrast, father involvement in school-related activities was more influenced by mothers' employment than by maternal gatekeeping. Lastly,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mothers' employment and maternal gatekeeping on father involvemen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mothers' employment, maternal gatekeeping and father involvement. This study found that mothers' employment and maternal gatekeeping had differential influences on four dimensions of father involvement activities. Because the concept of maternal gatekeeping is rarely discussed in Korea, this research holds academic and pragmatic significance in that it has broadened the range of understanding for maternal gatekeeping that affects father involve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6 A.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6 B. 어머니의 취업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8 C.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10 1.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11 2.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12 D. 어머니의 취업 및 문지기 역할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취업 혹은 문지기 역할의 역할 15 Ⅲ. 연구문제 및 용어정의 17 A. 연구문제 17 B. 용어정의 18 Ⅳ. 연구방법 20 A. 연구대상 20 B. 조사도구 22 C. 조사절차 27 D. 자료분석 27 Ⅴ. 연구결과 29 A. 예비분석 29 B. 어머니의 취업이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30 C.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이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32 D.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에 대한 어머니의 취업과 문지기 역할의 상호작용 효과 34 Ⅵ. 논의 및 결론 36 A. 어머니의 취업이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36 B.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이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37 C. 어머니의 취업 및 문지기 역할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취업 혹은 문지기 역할의 역할 40 참고문헌 43 부록-1. 어머니용 설문지 50 부록-2. 아버지용 설문지 55 ABSTRACT 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6769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어머니의 취업 및 문지기 역할이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Mothers’ Employment and Maternal Gatekeeping on Father Involvement-
dc.creator.othernameCho, Sook In-
dc.format.pagevii, 5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아동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