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1 Download: 0

唐代 여성의 化粧에 관한 연구

Title
唐代 여성의 化粧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Women's Facial Make-Up(化粧) during the Tang Dynasty
Authors
김지연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나영
Abstract
이 논문은 당대[唐代, 618~907] 여성의 화장(化粧)과 관련하여 벽화와 출토 유물, 그 외 각종 회화자료 등을 토대로 지역별, 시기별 차이점 및 변화 추이를 고찰한 것이다. 연구 대상 지역은 서역과 인접한 위치의 ‘투 루 판[吐魯番]’, 당(唐)의 수도 ‘시안[西安, 長安]’, 그리고 투 루 판과 시안을 잇는 ‘둔 황(敦煌)’의 세 지역으로 하였다. 현재 중국에서는 고대 화장을 설명함에 있어 다양한 용어들을 혼용하여 사용하는데, 근래에 이를 개념의 정립도 없이 인용하여 혼란이 되고 있다. 따라서 올바른 용어 선택으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용어 선택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얼마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가?’, ‘그 의미의 범주가 얼굴을 꾸미는 데에 적절한가?’이다. 그러한 점에서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얼굴을 꾸미는 개념’ 으로 사용되고 있는 ‘화장(化粧)’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할 것으로 여겨진다. 당대의 화장 문화는 국제적 ㆍ 개방적 사회문화 속에서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높아짐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였다. 화장법의 종류를 살펴보면, 미분(米粉)이나 연분(鉛粉)으로 얼굴을 하얗게 분 화장 하였고, 먹[黛]을 사용하여 다양한 눈썹화장을 하였다. 연지(胭脂)를 사용하여 붉게 볼 화장을 하기도 하였으며, 연 지ㆍ단 주(丹朱)ㆍ오 고(烏膏) 등으로 붉거나 검게 입술 화장을 하였다. 그 외에 이마의 머리털 언저리를 황색으로 칠하거나 황색의 장식품을 미간에 붙이는 액 황(額黃)과 미간에 여러 가지 무늬를 그려 넣거나 부착하는 화전(花鈿)이 있었다. 그리고 눈 옆의 관자놀이 부분에 마치 흉터와 같은 형태로 연지를 이용하여 세로로 붉게 칠하는 사 홍(斜紅), 양쪽 입가에 보조개처럼 작은 점을 찍는 장 엽 (妆靥) 등이었다. 지역별 분석의 결과, 투루 판은 서역에 인접한 지리적 위치의 영향으로 서역 풍의 화려한 화장법을 다양하게 사용하였으며, 둔 황의 화장은 대체로 수수하고 단정하였다. 시안은 당시의 수도였던 만큼 투 루 판의 화려한 화장과 둔 황의 수수한 화장이 공존하였다. 이 세 지역의 벽화와 유물에서는 화려한 눈썹화장, 붉은 볼 화장, 작고 도톰한 입술화장, 화전은 공통적으로 나타난 반면, 액 황 이나 사 홍, 장 엽은 쉽게 찾아볼 수 없었다. 시기별 분석의 결과, 투 루 판과 둔 황, 시안의 세 지역의 유물과 회화에서 볼 수 있는 화장은 당 후기로 갈수록 점점 화려해지고 다양해졌다. 초당(初唐) 시기의 투 루 판에서만 볼 수 있었던 화려한 화장은 성당(盛唐)의 시안과 중 당(中唐)의 둔 황에서도 나타났다. 만당(晩唐)에 가까워질수록 화장이 화려한 것에는 토번에서 유래된 시세 장(時世粧)과 통혼(通婚) 등으로 맺어진 이민족의 영향도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지금까지 당대의 일반적인 화장법으로 전해졌던 다양한 눈썹 화장 ㆍ 볼 화장 ㆍ 액 황 ㆍ 화 전 ㆍ 사 홍 ㆍ 장 엽 등 당대 화장법은 지역 및 시기에 따라 수용 정도나 기법, 형태 면에서 차이가 있었다. 지역적으로는 교류가 원활했고 이민족의 이동이 많은 지역일수록, 시기적으로는 당 후기로 갈수록 화장이 더 다채로워지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다양한 형태의 눈썹화장과 붉게 칠한 볼 화장, 작고 도톰한 입술화장 및 화전은 당 전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지속적으로 발전해나가며 한 시대를 풍미하였던 화장 문화를 이루어 나갔다. 그러나 액 황과 사 홍 및 장 엽 은 쉽게 볼 수 없는데, 이를 통해 많은 종류의 화장법을 당대 모든 사람들이 받아들이고 일반적으로 사용하였던 것이 아니라, 화장의 종류에 따라 약화되기도 하고, 쇠퇴하기도 하는 경우도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선행연구에서의 단편적인 당대 화장 방법의 고찰에서 나아가 문헌, 벽화, 회화, 유물 등을 통해 보다 실증적(實證的)인 측면에서 구체적인 화장 기법과 형태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지역별 ㆍ 시기별 고찰을 통해 당시 화장법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보다 더 다양한 유물 자료와 문헌 자료의 보강을 통해 앞으로 더 나은 후속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해 본다.;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differences and changes in women's make-up[化粧] during the Tang(唐) Dynasty[618~907] according to regions and periods based on murals, artifacts, and all varieties of paintings. Three regions were chosen for the study, which include: "Trupan[吐魯番]," adjacent to the countries bordering on Western China, "Xi'an[西安, 長安]," the capital of Tang, and "Tunhuang[敦煌]," connecting Trupan with Xi'an. In modern China, various terms are used to explain ancient make-up. Confusion has been observed recently in the terms without any establishment of concepts, which calls for the selection of right terms for ongoing research. Som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 selecting the right terms are: "How general is the term used?" and "Is the scope of its meaning applicable to touching up the face?" Considering those elements, "make-up[化粧]," which is most widely used as the "concept of touching up the face," can be a good and proper choice. During the Tang Dynasty, make-up culture developed in diverse forms according to the increasingly rising social status of women in the international and open social culture. As for the make-up techniques, they would powder the face white with Mibun[米粉] and Yeonbun[鉛粉] and apply diverse eyebrow make-up with kohl[黛]. They would also use a rouge for reddish cheeks and a variety of materials including a Yeonji(胭脂), Danju(丹朱), and Ogo(烏膏) to produce red or dark lips. In addition, there were other make-up techniques such as Aekhwang(額黃), which is to paint the edge of the forehead in yellow or attach a yellow ornament to the middle of the forehead, Hwajeon(花鈿), which is to paint or attach various patterns to the middle of the forehead, Sahong(斜紅), which is to paint the temples by the eyes in a vertical scar-like shape with a rouge, and Jangyeop(妆靥), which is to make small dots at the sides of the mouth like dimple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by region, Trupan employed the gorgeous make-up techniques imported from the countries bordering on Western China in various ways under the influence of its geographical intimacy to the countries. Tunhuang's make-up was mostly simple and neat. Being the capital of the empire, Xi'an had the coexistence of Trupan's gorgeous make-up and Tunhuang's simple make-up. The murals and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three regions present splendid eyebrow make-up, red cheek make-up, small and plump lip make-up, and Hwajeon, but the examples of Aekhwang, Sahong, and Jangyeop were scarc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by period, the make-up in the artifacts and murals of the three regions became more and more splendid and diverse towards the end of the Tang Dynasty. Trupan's exclusive gorgeous make-up in the early Tang[初唐] showed up in Xi'an in high-Tang[盛唐] and Tunhuang in mid-Tang[中唐]. The increasingly gorgeous make-up toward late-Tang[晩唐] can also be explained by the influences of other peoples with whom they made relations through Sisejang(時世粧) and intermarriage[Tonghon, 通婚] imported from ancient Tibet[吐蕃]. The diverse eyebrow make-up, cheek make-up, Aekhwang, Hwajeon, Sahong, and Jangyeop, which have been regarded as parts of the common make-up regime during the Tang Dynasty, turn out to have differences in acceptance, technique, and form according to the regions and periods. The make-up became more and more diverse in the regions where exchanges were abundant along with the migrations of other peoples toward the late Tang. In particular, the make-up regime consisting of eyebrow make-up of diverse forms, red cheek make-up, small and plump lip make-up, and Hwajeon continuously evolved in many different fashions across the empire and created a make-up culture that overwhelmed an era.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few examples of Aekhwang, Sahong, and Jangyeop, which suggests that people did not accept or generally apply all of the many kinds of make-up techniques those days. Some of them grew weak or faded. The study analyzed make-up techniques and forms more specifically in an empirical aspect through literature, murals, paintings, and artifacts beyond the fragmentary examination of Tang's make-up techniques in the previous studies. It thus presents the results of multilateral analysis of their make-up techniques according to regions and periods. The study results will hopefully lead to follow-up study with the reinforcement of more diverse artifacts and literature materia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