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말복-
dc.contributor.author이지선-
dc.creator이지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56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56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68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8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686-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aimed to contemplate the meaning of illusionism in the digital image era from the perspective of media aesthetics. As a perceptual quality of dance movement mediated by digital image media, illusionism, here, connotes a meaning of a new media reality as simulacre. Through the discussion on illusionism, this study cognizes the importance of media aesthetics that are used in dance in the era, and interprets mediating characteristics of dance as a moving image. To this end, the study discussed the meaning of media aesthetics of illusionism with a focus on three artists Lmieux.Pilon 4D Art, Recoil Performance Group, and Richard Lord representing the digital technology trend after the 2000s. Before discussing the work, the study understood the changes in perception and cognition mediated by media and sought for the new metaphysical value evaluation about illusionism by examining philosophical flow about the concept of illusionism and discussing major issues of media aesthetics. The discussion on illusionism in dance regards the perception of dance movement and the structure of acceptance as body, space-time, and interaction and focuses on expanded reality of three factors affected by digital image media. Moreover, the study interpreted how three concepts such as body, space-time, and interaction are defined by characteristics of respective media technologi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hree artists' recent representative works 「NORMAN-A Tribute to Norman McLaren」(2007), 「Body Navigation」(2008), and 「Waterfall」(2002). The meaning of illusionism in media aesthetics of dance shown in the three works is explained as the plural subjectivity as image corporeality, multilateral, flexible and complex space-time, and the expansion of synesthetic perception by real-time interaction due to virtual projection technology, real-time motion capture, and computer game type graphical user interface. As the three works are affected by a type of digital image, they are re-meditated by realistic illusionism and can be interpreted as a simulacre illusionism of the reality expanded by digital reproduction-technology and synthesis. Besides, as each work is reconstructed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the media aesthetic meaning of dance illusionism is completed and designated in a large frame of interactive illusionism. Through the three works, the discussion on dance illusionism in the digital image media era implies that physical dynamic of dance is the most basic synesthetic sensology that shows the reality of today's simulation media and establishes the identity of a new world. In addition, the body expanded by digital medial technology and the dance and movement concept of expansion caused by space-time points out convergence of art centering on dance in the digital image media era. The dance in the digital image media era is out of traditional, aesthetic frame, and has the dance factors are in art and around our life. Such the ubiquity of dance suggests that identical meaning of artworks in the digital image media is defined from the meaning of the interpretative and participatory process instead of the importance of art itself. Despite the discussion on limited works and characteristics of media technolog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focuses on the use of a new media and the changes in dance, art concept itself in terms of artistic discussion of dance that has considered movement as a sole media of art. Furthermore, the illusionary value of dance can be accepted as an important emotional code in the digital image media era and the study expands the area of dance by discussing creative activities that are located in the boundary of art. The discussion on illusionis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edia aesthetic of dance in various and mixed discussions on art after postmodernism can be suggested as a perspective to investigate dance art in the area of aesthetics expanded in the digital image media era.;본 연구는 디지털 영상매체 시대 춤에 나타난 환영성의 의미를 매체미학적 관점으로 고찰하였다. 여기서 환영성이란 디지털 영상매체의 매개에 의한 춤 움직임의 지각적 속성으로 시뮬라크르로서의 새로운 매체적 실재성의 의미를 내포한다. 이러한 환영성 논의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영상매체 시대 춤에 활용되는 매체의 미학적 중요성을 인식하고, 움직이는 영상이미지로서의 춤의 매개적 특성을 해석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대 이후 디지털 기술경향을 대표할 수 있는 세 예술가 르미유.필론 4D아트(Lmieux.Pilon 4D Art), 리코일 퍼포먼스 그룹(Recoil Performance Group), 리처드 로드(Richard Lord)의 작품을 중심으로 환영성의 매체미학적 의미를 논의하였다. 작품 논의에 앞서 환영 개념에 대한 철학사적 흐름을 살피고 매체미학적 주요관점들을 논의함으로써, 매체의 매개에 의한 인식과 지각의 변화를 이해하고 환영성에 대한 형이상학적 가치평가가 새롭게 조명될 수 있음을 모색하였다. 춤에 있어서 환영성의 논의는 춤 움직임 지각과 수용의 구조를 신체, 시공간, 상호작용으로 보고 이에 매체미학적 논의의 관점을 적용하여, 디지털 영상매체의 매개에 의한 춤의 확장된 실재성으로서 탈신체, 탈시공간, 상호작용이라는 논의의 틀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세 예술가의 최근 대표작 「노만: 노만 맥라렌을 위한 헌정 NORMAN-A Tribute to Norman McLaren」(2007), 「바디 네비게이션 Body Navigation」(2008), 「폭포 Waterfall」(2002)의 분석을 통해 탈신체, 탈시공간, 상호작용 세 개념이 각각의 매체기술의 특성에 의해 어떻게 의미화 되고 있는지를 해석하였다. 세 작품에 나타나는 춤의 매체미학적 환영성의 의미는 각각 가상 프로젝션(virtual projection) 기술과 실시간 모션캡처(real-time motion capture) 기술, 컴퓨터게임 형식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기술에 의해, 이미지신체로의 복수적인 주체성, 다차원적이고 유연한 복합적 시공간성, 실시간 상호작용에 의한 공감각적 지각의 확장으로 해석되었다. 이 세 작품은 디지털 영상이라는 형식으로 춤을 매개하고 있다는 점에서 모두 사실주의적 환영의 속성을 재매개하면서, 디지털 기술복제와 합성을 통한 확장된 실재성으로서 시뮬라크르적인 환영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었다. 또한 각 작품이 극장환경에서의 기술적용에서 설치환경, 그리고 디지털 매체환경으로 소급되어 갈수록 춤 환영성의 매체미학적 의미는 상호작용적 환영이라는 큰 틀 안에서 완성되고 규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세 작품을 통한 디지털 영상매체 시대 춤 환영성에 대한 논의는 춤이 가진 신체적 역동성이야 말로 오늘날 시뮬라시옹적 매체현실을 드러내어주고 그로부터 새로운 세계의 정체성을 정립시켜주는 가장 근본적인 복합감각적 감성의 논리(sensology)로 받아들여 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디지털 매체기술에 의해 확장된 신체와 시공간으로부터 비롯되는 춤과 움직임 개념의 확장은 디지털 영상매체 시대 춤을 중심으로 예술의 융합(convergence)현상을 지적해 준다. 디지털 영상매체 시대의 춤은 전통미학적 테두리에서 벗어나 예술과 삶의 곳곳에서 춤적 요소들을 발견할 수 있게 하며, 이 같은 춤의 편재성은 예술작품의 존재 자체가 중요하다기보다 해석과 참여적 과정에서의 의미로부터 디지털 영상매체 시대 예술작품의 정체적 의미가 규정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한정적인 작품과 매체기술특성에 대한 논의에도 불구하고, 움직임을 유일한 예술의 매체로 여겨왔던 춤의 예술론적 논의에서 새로운 매체의 활용과 그로 인한 춤 예술개념 자체의 변화에 주목하고, 춤의 환영적 가치가 디지털 매체시대 중요한 감성적 코드로 받아들여질 수 있으며, 예술의 경계에 놓여 있는 창작활동들을 춤의 논의 안으로 끌어들임으로써 춤의 영역을 확장시켰다는 데에 그 의의를 둔다. 포스트모던 이후 예술에 대한 다양하고 혼재된 논의 속에서 춤에 대한 매체미학적 관점의 환영성 논의는 디지털 영상매체 시대 확장된 미학의 영역 안에서 춤 예술을 규명해낼 수 있는 하나의 관점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방법 및 제한점 9 Ⅱ. 디지털 영상매체 시대의 환영성 12 A. 환영성의 개념적 이해 13 1. 예술의 시각적 재현과 환영성 14 2. 디지털 가상과 환영성 20 B. 매체미학적 이론의 틀 26 1. 매체형식의 변화와 지각의 확장 26 2. 디지털 매체의 특성과 매체의 변증법 34 Ⅲ. 춤의 매체미학적 환영성 논의 41 A. 춤의 예술적 환영성 41 B. 춤의 매체 수용과 움직임 지각의 변화 48 1. 춤의 매체 도입과 전개 48 2. 매체적 시공간에서의 움직임 지각 64 C. 춤에 활용된 디지털 매체의 특성과 매체의 재매개 70 1. 탈신체 71 2. 탈시공간 76 3. 상호작용 81 Ⅳ. 현대 춤 사례를 통한 분석 86 A. 르미유.필론 4D아트(Lmieux.Pilon 4D Art) 87 1. 예술가 소개 및 작업 경향 87 2.노만: 노만 맥라렌을 위한 헌정 NORMAN-A Tribute to Norman McLaren(2007) 작품분석 91 B. 리코일 퍼포먼스 그룹(Recoil Performance Group) 109 1. 예술가 소개 및 작업 경향 109 2.바디 네비게이션 Body Navigation(2008) 작품분석 112 C. 리처드 로드(Richard Lord) 129 1. 예술가 소개 및 작업 경향 129 2.폭포 Waterfall(2002) 작품분석 132 Ⅴ. 결론 149 참고문헌 157 Abstract 1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4473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디지털 영상매체 시대 춤의 환영성에 관한 고찰-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Illusionism of Dance in the Digital Image Media Era-
dc.creator.othernameLee, Ji Sun-
dc.format.pagexi, 174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과-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