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원형중-
dc.contributor.author김종순-
dc.creator김종순-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50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50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77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8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77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통합방법 연구로 등산참여자를 대상으로 여가활동 전문화, 장소애착, 환경태도 및 친환경행동의 관계를 양적연구로 구명함과 동시에 참여자의 체험 내용을 기술하여 의미를 파악하는 질적 연구로 등산참여자의 여가활동 전문화와 장소애착 그리고 친환경행동의 중심적인 기저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등산경험과 친환경행동에 대한 양적연구와 질적 연구의 통합된 결론을 내림으로써 한국적 등산경험과 친환경행동을 해석하는데 보완적이고 새로운 현상을 발견하고자 함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순차적 양적-질적 통합방법’을 통해 첫째, 등산참여자의 여가활동 전문화, 장소애착, 환경태도, 친환경행동 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의 표집방법은 유의추출표집으로 하였으며, 서울의 산 5곳(강북의 서쪽인 북한산, 강북의 동쪽인 도봉산, 강남의 서쪽인 관악산, 강남의 동쪽인 청계산 그리고 중앙에 위치한 남산)을 중심으로 등산로 입구에서 실시되었다. 총 473명의 응답 내용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고, SPSS 12.0을 이용한 단순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및 탐색적 요인분석, AMOS 7.0을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경로분석이 사용되었다. 둘째, 등산참여자의 여가활동 전문화, 장소애착 그리고 친환경행동의 경험 내용과 의미를 탐색하기 위해 현상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5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준거 지향적 방법의 의도적 표집과 스노볼 표집방법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우선 함축된 범주 단위들은 부호화를 시도하고, 부호화된 자료로부터 선정된 의미단위를 비교하여 소영역으로 분류하고 이를 더 큰 주제로 포괄할 수 있는 중영역으로, 다시 이것을 비교하여 큰 주제의 대영역으로 통합하는 단계를 거치면서 범주를 구성하였다. 추가 면담이나 자료 수집이 진행됨과 동시에 이러한 분류체계를 반복적으로 확인하면서 새로운 용어와 주제가 나타날 경우 수정·보완하는 작업을 지속적으로 거쳤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두 가지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연구결과와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등산참여자의 등산경험과 친환경행동 관계에 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활동 전문화(헌신)가 환경태도 및 친환경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소애착이 환경태도에 영향을 미치며 친환경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태도가 친환경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장소애착이 환경태도에 영향을 미치며, 환경태도가 높을수록 친환경행동이 보다 긍정적이라는 것을 나타내준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등산참여자의 등산경험과 친환경행동 현상에 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등산참여자의 여가활동 전문화와 장소애착 경험 내용과 의미를 분석한 결과 등산경험에서 여가활동 전문화는 「순화된 전문화」로, 장소애착은 「노닐 만한 산수」로 경험의미가 도출되었다. 둘째, 등산참여자의 친환경행동 경험에 대한 범주화 내용과 의미를 분석한 결과 등산참여자의 친환경행동은 우선 「배움」으로 경험유형을 분류하였는데 ‘친환경 정보의 공유와 확산’을 그 내용으로 한다. 그리고 「친환경다움」으로는 ‘있는 그대로 자연체험’, ‘심미적 조우’, ‘사회변동의 첨단지대’, ‘여가향유와 환경보존 사이’라는 4가지 측면으로 경험의 유형을 나뉘었다. 마지막으로 「소극적 친환경행동」은 ‘이기적 무관심’과 ‘고급자의 변칙’으로 경험의 유형이 범주화 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통합 논의한 결과 등산경험을 통해본 여가활동 전문화는 ‘친등산 사회의 예외적 전문화’로 장소애착은 ‘장소선택의 유연성’으로 친환경행동은 ‘지속가능한 여가환경 모색’으로 그 특성이 밝혀졌다. 등산경험과 친환경행동을 통해본 한국적 등산의 의미로 한국 등산참여자의 분류가 시도되었으며 야외활동 전략이 제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에서는 첫째, 근대 도시화에 대한 이해를 통해 기존 양적연구에 대한 한국적 여가특성과 해석에 활용되어야 한다. 둘째, 기술등반을 하는 등산참여자를 대상으로 등산경험과 친환경행동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친환경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변인 적용이 요구된다. 넷째, 국내 등산 연구에 맞는 여가활동 전문화, 장소애착 척도 개발과 검증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한국 등산연구에 있어 회피적 여가 참여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여섯째, 야외활동교육에 대한 재조명과 평생교육으로의 확대를 위한 대안제시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mixed method research in order to clarify the relationships among leisure activity specialization, place attachment, environmental attitude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 of Korean mountain-climbing participants. To explore the fundamental meaning of Korean mountain-climbing participants, the researcher utilize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 simultaneously.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earcher established the path analysis by utilizing 'sequential quantitative-qualitative mixed method' to investigate the participants' leisure activity specialization, place attachment, environmental attitude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 The survey was performed through purposive selection method and was administered at the entrance gates of 5 different places in Seoul Metropolitan area’s mountains. Specifically, there were Mt. Bukhan located in west of north area of the Han river, Mt. Dobong located in east of north area of the Han river, Mt. Gwanak located in west of south area of the Han river, Mt. Cheonggye located in east of south area of the Han river and Mt. Nam which is in central area in city of Seoul. The total number of questionnaire researcher collected and used for quantitative analysis was 473, a simpl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by SPSS program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ath Analysis by Amos program were performed. In case of qualitative analysis, the researcher administered in-depth interviews with 5 different subjects and the method utilized for this step was a purposive authority citation method and snowball approach and it was considered as a proper methodology to meet the research purpose. Primary analyses were to classify the responses of the interviewee and subsequent encoding process. Selected meaning units processed through comparisons were classified as small, middle, and large categories through a series of data reduction processes. An additional interviews and data clarification processes were administered as needed. Within paucity of the research data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this study came to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it was found that loyalty (specialization) showed an insignificant influence on behavioral attitude and actual behavior. Second, place attachment indica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behavioral attitude but not on pro-environmental behavior. Third, environmental attitude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a pro environmental behavior. The researcher came to a conclusion that these findings verified that place attachment influenced on environmental behavior attitude and more positive tendency as higher environmental attitude. For the case of qualitative analysi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findings were deduced. First, the results of leisure specialization and place attachment indicated the Korean recreational mountain climbers purported ‘lessened specialization’ in specialization and ‘enjoying and appreciation’ in the area of place attachment. Second, in the analysis of classification and meaning of a pro environmental behavior, the subjects showed a ‘learning’ meaning which indicates an understanding of a common property and dissemination of common thoughts. Third, ‘a pro environmental’ factor was deduced through the meanings of 'a pure nature experience', 'aesthetical encounters', 'zone for the social changes', and 'enjoying leisure and nature prevention'. Finally, a passive pro-environmental behavior was classified as 'selfish nonchalance' and 'deviant behavior of professional elite'. On the basis of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the researcher concluded that recreational Korean mountain climbers ‘ leisure specialization’, ‘place attachment’and ‘a pro environmental behavior’could be named as ‘simple generalization’, ‘flexible place selection’ and a linear circulation of mountain climbing and environment’accordingly. For further study,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the subsequent research on Korean recreational mountain climbers should focus on the development of urbanization and peculiar Korean life styles. Second, a more advanced professionals' climbing behavior should be dealt with the same procedures for the comparison and social understandings. Third, a more verifiable variables should be added through a more rigorous review of literature and related studies. Fourth, scale development for the place attachment and leisure specialization should be made. Fifth, a further study on avoidance leisure participation theme is strongly recommended. Sixth, an expansion of education for outdoor recreation and life-long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serious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8 C. 용어의 정의 9 Ⅱ. 이론적 배경 11 A. 등산과 환경 11 1. 등산과 도시화 11 2. 등산대중화와 환경갈등 16 3. 등산과 환경행동 21 B. 여가활동 전문화 36 1. 여가활동 전문화의 개념과 활용 36 2. 여가활동 전문화와 환경 40 C. 장소애착 42 1. 장소애착 개념과 활용 42 2. 장소애착과 환경 45 D. 환경태도와 친환경행동 46 1. 태도와 환경행동의 관계 47 2. The New Environment Paradigm(NEP)과 환경행동 54 Ⅲ. 연구절차 및 방법 57 A. 연구절차 57 1. 연구 설계 단계 58 2. 연구 분석 단계 60 3. 연구결과 및 논의 단계 63 B. 연구방법 63 1. 등산참여자의 등산경험과 친환경행동 관계 64 2. 등산참여자의 등산경험과 친환경행동 현상 82 Ⅳ. 등산참여자의 등산경험과 친환경행동 관계 91 A. 모형의 적합도 91 B. 모형의 구조적 관계 92 1. 등산참여자의 여가활동 전문화, 장소애착, 환경태도 및 친환경행동 모형결과 92 2. 등산참여자의 여가활동 전문화, 장소애착, 환경태도 및 친환경행동 인과효과 97 Ⅴ. 등산참여자의 등산경험과 친환경행동 현상 99 A. 등산참여자의 등산경험 99 1. 여가활동 전문화 : 순화된 전문화 99 2. 장소애착 : 노닐만한 산수 103 B. 등산참여자의 친환경행동 105 1. 배움 106 2. 친환경다움 109 3. 소극적 친환경행동 118 Ⅵ. 통합 논의 125 A. 친등산 사회의 예외적 전문화 125 B. 장소선택의 유연성 129 C. 지속가능한 여가환경 모색 131 1. 환경태도 함양 131 2. 야외활동 교육 134 Ⅶ. 결론 및 제언 137 A. 결론 137 B. 제언 140 참고문헌 142 부록1. 설문지 160 부록2. 심층면담 질문지 165 Abstract 1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051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등산경험과 친환경행동을 통해본 한국적 등산의 의미-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Mountain Climbing Experience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 as Perceived by Korean Recreational Mountain Climbers-
dc.creator.othernameKim, Jong Soon-
dc.format.pageix, 169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학과-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