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2 Download: 0

프레젠테이션 효능감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기초연구

Title
프레젠테이션 효능감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기초연구
Other Titles
Presentation self-efficacy of Office Professionals
Authors
방유진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제사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명옥
Abstract
인간은 태어나면서 타인과 끊임없이 관계를 맺으면서 살아가고 성장하기 때문에 사회적 유능성은 인간발달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사회적 유능성은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온전히 유지·형성되며, 프레젠테이션과 같이 자신의 생각을 적절하게 전달하고 상대방의 공감과 이해를 이끌어 내는 과정을 통해 증진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사회적 유능성을 발휘하기 위한 효과적인 도구로서 프레젠테이션의 중요성은 날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비서는 정보를 수집, 가공, 처리하는 스태프로서 상사의 성공인 프레젠테이션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껏 학술연구로 이루어지지 않은 비서직 종사자의 프레젠테이션 능력과 사회적 유능성간의 관계를 규명코자 한다. 한편, 자기효능감은 현재와 과거의 행동을 유추함은 물론 미래의 행동까지도 예언할 수 있게 하는 바, 프레젠테이션에 관한 지식·기술의 활용능력 자체보다 프레젠테이션을 잘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의미하는 프레젠테이션 효능감에 초점을 두었다. 이에 본 연구는 비서직 종사자의 프레젠테이션 효능감이 사회적 유능성을 발휘하는 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기초연구수행에 그 목적을 둔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프레젠테이션 효능감은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컨텐츠기획, 자료제작, 전달로 하위개념을 조작하였고, 비서직 종사자의 사회적 유능성은 문헌연구 및 사전 설문을 바탕으로 민감성, 개방성, 갈등관리능력, 자기표현능력으로 하위개념을 조작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하여 비서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SPSS 19.0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의 타당성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레젠테이션 효능감의 세가지 하위개념과 사회적 유능성의 네가지 하위개념의 평균값을 사용한 단순회귀분석에서 프레젠테이션 효능감은 사회적 유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 즉, 프레젠테이션 효능감은 사회적 유능성을 예측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연구문제에 분석을 위하여 프레젠테이션의 하위개념과 사회적 유능성의 하위개념간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컨텐츠 기획 효능감은 사회적 유능성의 민감성, 개방성, 갈등관리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자기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무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제작 효능감은 사회적 유능성의 갈등관리능력을 제외한 민감성, 개방성, 자기표현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전달 효능감은 개방성과 자기표현능력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만 민감성과 갈등관리능력에는 무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레젠테이션에 관한 실태연구를 분석한 결과, 비서직 종사자의 경우 프레젠테이션의 교육 및 실제 업무의 비중은 컨텐츠 기획 단계보다는 자료제작과 전달 과정에 집중되어 있었다. 그리고 비서 스스로 프레젠테이션 능력이 사회생활에 미치는 영향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믿고 있으며, 좀 더 적극적이고 프레젠테이션 업무의 범위를 다양하게 넓히고자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기업의 핵심인재로서 비서직 종사자에게 다양한 프레젠테이션 업무와 교육의 기회가 주어진다면 좀 더 충실한 역할수행과 업무 발전을 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비서직 종사자의 프레젠테이션과 사회적 유능성의 관계를 조사한 최초의 연구로 큰 의미를 가지며 향후 비서학 연구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프레젠테이션 효능감의 하위요인과 사회적 유능성의 하위요인과의 각각의 연관성을 파악함으로써 비서의 사회적 유능성을 향상시키고 효율적인 업무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할 수 있다. 셋째, 비서직 종사자가 인지하는 프레젠테이션의 중요성을 결과로 이끌어 냄으로써 비서직 종사자 개인적으로 프레젠테이션 능력 신장의 계기가 되어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으며 유능한 인력으로 나아가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넷째, 조직 또는 인사관리자는 이 결과를 인재양성 및 인적자원의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추후 프레젠테이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도구 개발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사회적 유능성은 주로 교육학분야에서 아동의 사회성 발달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 과제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조직생활을 하는 직장인의 대상으로 사회적 유능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Every human being lives in the constant relationship with people since they were born. Many people believe that the social competence is able to develop through the social interaction, and its ability is necessary to have as a member of the human society. The social competence is formed and maintained through the efficient communication. Furthermore, the social competence is improved through the process of presenting opinions and understanding what the others meant to deliver their messages. For this above reasons, the importance of presentation has been increased as one of efficient methods to appeal the social competence. The presentation is a typical communication method for processing data and delivering key message. Especially, professional secretary has important roles not only collecting data and processing information but also assisting successful presentations of their boss. Therefore, the presentation ability to the professional secretaries is standing out in nowadays. In addition, recently, there is increasement of the attention on the ‘self efficacy,’ stands for self confidence that is able to fulfill the subjects rather than simply use the knowledge and technology. Because the ‘self efficacy’ is able to analogize present and past performance; moreover, it can predict the future performan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efficiency of presentation impact to the social competence among the secretarial worker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presentation efficacy’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is controlled by three subsectors which are contents planning, data forming and message delivering. Besides, the ‘social competence’ of the secretarial workers is controlled by four subsectors such as responsiveness, openness, conflict management ability and self presentation ability based on the bibliographic search and previous survey. For the analysis, survey has been conducted among secretarial workers and the data has been examined by using the SPSS 19.0 statistic package which is integrated with methodologies such as feasibility study,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etc.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presentation efficacy has positive impacts on the social competence at the sim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the average of three subsectors of presentation efficacy and four subsectors of social competence. In other words, presentation efficac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to predict social competence. Secondly, as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the presentation subsectors and social competence subsectors, the efficacy of contents planning impacts positively on the social competence such as sensitivity, openness, and conflict management ability. However, it doesn’t impact on self presentation ability. Data forming efficacy impacts on the social competence including sensitivity, openness, and self presentation ability, but except conflict management ability. Delivering efficacy impacts positively on openness, self presentation ability, but doesn’t impact on sensitivity and conflict management ability. Thirdly, as the result of study on presentation, presentation training and works were focused on data forming and message delivering rather than contents planning to the secretarial workers. Furthermore, this study shows that individual secretaries believe that there is increasement social impact of presentation; they are expanding their work scope more actively and voluntary. Therefore, the work performance of the secretaries will be developed more if there are various presentation related works and training opportunity are given. Based on the result of the survey and analysis, this study has four meanings and expectation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the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presentation efficacy and social competence of the secretarial workers has done at the first time. Hence, it is expected to provide a baseline study for secretarial studies in the future. Second, this study will give an opportunity for the secretarial workers to develop their social competence and efficient work performance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 between subsectors of presentation efficacy and social competence. Third,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have recognized for the secretarial workers about the importance of the presentation. Eventually, they will motivate themselves to develop their capacity and will grow as an excellent worker. Fourth, this study will motivate the human resource and personnel managers in the company to train employee about the presentation skills. For this process, this study will facilitate to develop presentation training for the employee as one of training curriculum. Lastly, most of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studies about the social competence have mainly done in the field of education studies, particularly; it has focused on sociality development of children. However, this study has a meaning since it has covered about the social competence targeted to the employees who are living in the group.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