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계숙-
dc.contributor.author김주랑-
dc.creator김주랑-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43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07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85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071-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현대사회의 전문직업화(professionalization)추세에서 비서직도 예외일 수는 없다.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조직 관리자가 올바르고 적절한 의사결정을 신속히 할 수 있으려면 다방면에 걸친 전문적 지식과 정보를 제공받는 것이 필수적인 요소이며, 이를 위해 상사를 효율적으로 보좌할 수 있는 비서의 충실한 역할이 요구된다. 또한 비서직의 완전한 전문직으로서의 확립을 위해 비서직 종사자 스스로의 전문성 인식이 절실한 시점이므로 비서의 전문성 인식이 비서로서의 역할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비서의 전문성 인식의 정도가 비서의 역할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며, 연구문제는 ‘비서의 전문성 인식이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제작된 설문지를 통 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현직 비서직종사자를 대상으로 수거한 설문 응답지 중 117부를 SPSSWIN 18.0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타당성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력에 따른 비서의 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력으로 인한 전문성 인식에는 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학력이 높을수록 비서의 역할수행 정도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전문성 인식 요인 중의 하위요인 중의 하나인 공공봉사에 관한 인식도 학력이 높을수록 높았다. 역할수행의 하위요인을 보았을 때는 업무파트너로서의 역할, 정보관리 역할, 조정자로서의 역할 수행이 전문대졸 이하보다 대졸 이상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직위가 높을수록 비서의 역할수행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서의 전문성 인식에서는 직위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위에 따른 비서의 전문성 인식은 차이가 없으나 직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하여 비서의 행정 및 사무관리, 업무파트너, 정보관리, 조정자의 역할수행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비서직과 관련이 없는 학과 출신의 비서가 비서직과 관련된 문과와 영문학 그리고 비서학 전공자에 비해 비서직의 전문성 인식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전문성 인식의 하위요인인 소명의식과 자율성 요인에서도 기타전공자가 가장 낮은 인식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전공에 따른 비서의 역할수행 정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비서 경력에 따른 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문성 인식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없었고, 비서의 역할수행에서는 차이가 나타나, 비서로서 근무한 경력이 3~5년 이상일 경우 비서의 역할수행 정도가 높았다. 비서의 역할수행 하위요인을 살펴보았을 때, 업무파트너로서의 역할에서 3~5년의 경력집단이 가장 높게, 1년 미만의 집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정보관리자 역할에서도 3~5년의 경력집단이 가장 역할수행도가 높았으며 1년 미만의 집단이 가장 낮았다. 다섯째, 비서자격증 취득여부에 따른 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역할수행의 하위요인인 조정자로서의 역할에서는 비서자격증을 취득한 집단이 취득하지 않은 집단에 비하여 역할수행도가 높았다. 여섯째, 비서협회 가입여부에 따른 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문성 인식의 전체요인 및 비서의 역할수행 요인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비서협회에 가입한 경우가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비회원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비서의 역할수행에서도 협회 회원이 비회원보다 높은 수행 정도를 보였다. 따라서, 비서협회에 가입한 비서가 비회원비서보다 비서에 대한 전문성 인식 및 역할수행 정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문성 인식의 하위요인 중 자기규제 요인과 소명의식 요인에서 비서협회에 가입한 경우가 높게 나타났으며, 역할수행에서는 모든 하위요인이 비서협회에 가입한 경우가 비가입자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즉, 비서협회 회원이 비회원에 비하여 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 정도가 모두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일곱째, 비서의 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한 결과 비서의 전문성 인식 전체요인과 비서의 역할수행 전체요인과의 관계는 모두 정(+)적인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 비서의 전문성 인식이 높을수록 비서의 역할수행도 높아졌다. 여덟째, 가설검증을 위하여 비서의 전문성 인식이 비서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의 가설들의 채택되었다. 비서의 자기규제 신념 인식은 행정 및 사무지원의 역할수행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비서의 소명의식 인식은 행정 및 사무지원의 역할수행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비서의 자율성에 관한 인식은 행정 및 사무지원의 역할수행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비서의 공공에 대한 봉사 인식은 업무파트너로서의 역할수행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비서의 자기규제에 대한 신념 인식은 정보관리 역할수행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비서의 자율성에 관한 인식은 조정자로서의 역할수행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비서직 종사자들이 본인의 전문적인 업무분야 및 영역을 키우고 비서라는 직종의 전문성을 높이 인식한 채 업무에 대한 자기규제의 신념, 소명의식, 자율성, 공공에 대한 봉사 인식을 지녀야 비서로서의 역할수행 정도도 높아짐을 시사한다. 비서직이 완전한 형태의 전문직으로서 확립되어 가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비서직 종사자들이 스스로 전문성을 확보하며 충실한 역할수행을 해야 사회적인 인식 및 지위향상도 뒤따라감을 명심 해야 할 것이다. 또한, 기업에서는 비서 채용 시 비서의 개인적인 사항이나 전문성 인식 정도에 따라 비서의 역할수행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인지하고 이를 고려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Professionalization of modern society, the trend should be no exception from the secretary. To make right decisions in rapidly changing society, it is an essential element that receives professional information. To this end, effective assistant role and this study is required. This study was aim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level of secretarial professional and role performance in the office. In order to achieve such purpose, the following issue was studied. How influence the level of secretary professional on role performance? For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ecretaries through web site and e-mails. And 117 questionnaires were processed for statistical analysis. For statistic analysis, it was conducted t-test, correlation analysis, feasibilit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WIN.18.0.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 there was a no difference in recognition level of professional by level of education. But role performance was different by level of education. It means people who have a high level of education are also higher role performance than low level of education. Second, people who hold a high rank in the office are in high role performance level than low rank. But there’s no difference in recognition level of secretary professional. Third, secretaries from unrelated major with secretary are the lowest recognition level of secretarial professional compare to secretaries who were major in related to secretary. But there’s no difference in role performance. Forth is recognition level of secretary professional and role performance by secretarial experience. There’s no difference in recognition level of secretarial professional but secretaries who worked more than 3 to 5years are higher role performance then less experience. Fifth, recognition level of secretary professional and role performance by license of secretary. There are no differences both secretarial professional and role performance between people who have it and not have. Sixth, people who joined KAAP (Korean Association of Administrative Professionals) are higher level for secretarial professional and role performance than non-members. Seventh,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to find out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level of secretarial professional and role performance. It showed that all significant correlation so that higher recognition level of secretarial professional makes higher role performance for secretaries. Last is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a hypothesis- six hypotheses were adopted. 1. Self-regulatory of secretarial had influence on role performance of administrative and clerical support. 2. Sense of vocation of secretarial had influence on role performance of administrative and clerical support. 3. Autonomy of secretarial had influence on role performance of administrative and clerical support. 4. An ethos of public service of secretarial had influence on role performance as a business partner. 5. Self-regulatory of secretarial had influence on role performance of information management. 6. Autonomy of secretarial had influence on role performance as a coordinator. In conclusion,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cognition level of secretarial professional and role performance. It means that recognition level of secretarial professional had much influence on secretary’s role performance. So it can be recommended that various policies for enhancing secretary's recognition level of secretarial professional should be supplied to enhance their role performa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4 C. 용어의 정의 4 II. 이론적 배경 5 A. 전문성과 전문직 5 1. 전문성의 개념 5 2. 전문직의 개념 및 속성 5 B. 비서의 전문성 15 1. 비서직의 개념 15 2. 전문직으로서의 비서직 16 3. 비서직의 전문성에 관한 선행연구 28 C. 역할수행 29 1. 역할 및 역할수행의 개념 29 2. 비서의 역할 33 D. 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에 관한 선행연구 38 III. 연구방법 41 A. 연구 절차 41 B.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42 C. 변수의 조작적 정의 45 D. 연구대상 및 조사방법 49 E. 측정도구 50 F. 분석방법 54 IV. 연구결과 56 A.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56 B.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도 검증 58 C. 기술통계 분석 64 D. 가설의 검증 80 V. 결론 88 A. 연구결과 요약 및 결론 88 B.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93 참고문헌 95 부록 103 ABSTRACT 10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878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비서의 전문성 인식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level of secretarial professional and role performance-
dc.creator.othernameKim, Ju Rang-
dc.format.pageviii, 11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제사무학과-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