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2 Download: 0

博山紋樣의 硏究

Title
博山紋樣의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arksan pattern
Authors
具仁淑
Issue Date
1978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柳熙卿
Abstract
古代人의 宗敎的, 呪術的인 欲求는 그들의 造形作品에 反映된다. 그러므로 古代의 造形을 理解하기 위해서는 內面에 숨어있는精神的인 것을 理解하지 않으면 안된다. 古代人은 山에 神이 居하는 것으로 믿어 山을 札拜對象物로 하였다. 神을 崇拜하는 立場에선 天子와 同等視되어 山紋을 天子의 事物에 베풀어 象徵的 내지 呪術的인 意味를 附與하였다. 이러한 山은 漢·六朝時代에 盛行한 裝飾物 博山이라는 造形을 이룩한 素材가 되어 博山을 山紋의 精神을 이어 崇排者의 事物에 베풀어 지는 至高의 紋樣으로 存在하였던 것이다. 中國을 通하여 우리나라에도 博山紋이 傳해져 三國時代 美術品에서 볼 수 있는 것이었는데도 이에 對한 先行硏究가 없어 博山은 香爐만을 指稱하는 것으로 誤認되고 있으므로 本硏究을 通하여 博山紋의 定義를 규명하고 博山紋의 認識을 새롭게 하여 關聯分野의 硏究에 多小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山紋과 關聯을 가지는 가운데 博山紋은 그 自體 象徵性을 問題로 하고 있으므로 이를 追求하는 가운데 우리나라에서 博山錦의 存在를 밝히려 하였다. 文獻에 依하면 博山紋이 天子와 關聯된 事物에 使用된 紋樣임을 알 수 있었고 이 事實을 實物을 通하여 考察하였는바 古境壁畵, 工藝品, 塼等에서 博山은 王의 事物에 베풀어졌음을 確認할 수 있었다. 特히 四天王寺址에서 出土된 四天王像塼템에 衣服의 紋樣으로 博山紋이 보이는 것은 當時 新羅의 活潑한 錦生産과 비추어 볼때 우리나라에도 博山錦의 存在를 推測하는 것이나 衣服에 施紋된 다른 例를 찾지 못했으므로 단언할 수 없지만 中國이나 日本의 文獻과 實物에 博山錦의 存在를 볼 수 있으므로 上記한 사실을 뒷받침할 수 있을 것으로 짐작된다. 結論的으로 博山紋은 山 또는 出岳을 形容한 三角形 또는 半圓上 部形의 紋樣으로 山紋의 精神을 이어 最高의 崇拜者의 事物에 베풀어지는 格이 높은 紋樣이었으므로 山의 位置와 같이 最上部의 가장 눈에 띄기 쉬운 곳에 베풀어졌다. 여기서 博山이란 名稱은 무슨理由로 어떤意味를 가지는 것인가는 알수 없지만 博山의 起源은 漢代에 있던 裝飾物博山에서 비롯된다. 우리나라에는 六朝時代에 傳해진 것으로 三國時代 美術品에 보이는 것이며 이들 實例는 四天王像塼의 博山紋과 함께 博山錦의 存在를 推測하게 하였고 나아가서는 王의 象徵紋으로써 博山이 存在할때 確實치 못한 上古時代의 王의 服飾과의 聯關性을 더듬을 수 있으므로 上古時代의 服飾을 理解하는데 多少나마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 副次的으로 博山紋은 그表現이 紋樣的인 것과 風景畵的인 것이 있음을 볼 수 있었는데 後者의 경우는 主로 三山形式으로 表現되었고 前者의 경우는 간단한 三角狀에서 佛敎의 影響으로 火炎形으로, 火炎은 다시 渦文形으로 轉化하였음을 알수 있었다.;The ancients' religious and sorcerous desires can be seen out of their work of art. Sorcerous desire stemming from the bottom of human's heart can be viewed in the ancients' mountain-shaped pattern. Mountain was an object of mystery and sorcery to them, because they believed that the God dwelled in the mountain. Therefore, mountain symbolized the God, the God indentified with the king. Mountain pattern was described in the costume of the king. Thus, mountain shaped pattern was a symbol of regalia and the king wanted to calm down his temper by the shape. These characteristic of mountain pattern are similar to ornamental parksan which was popularized in the Six dynasties era of China. In our country, parksan pattern can be seen it the three kingdoms period arts. However, we haven't had any previous research nor true understanding on these pattern in our country. Therefore, the present research is to clarify the existance and the definition of the parksan pattern in our country. Through the historical literature and the relics, the research is to manifest the point that the parksan pattern, a symbol of the king, was highly refined pattern used for the objects related to the king, and the ancients who identified the God with the king, expressed the parksan pattern in their buddhist civilization. The parksan pattern painted on ancient tomb appeared as triangle-shaped in the beginning of a period, gradually, developed into complicated shapes by making most use of flames, and throughout the seventh century, ancient tombs were painted as natural mountain shaped pattern. Also, the bricks excavated in Buyo district of Packche expressed the parksan pattern's natural mountain with three peaks. The parksan pattern is mainly shown in the center of the kings tomb so that it is easily perceived. The queen's goblet excavated in the tomb of king Mu-Nyung of Paekche dynasty and the lacquered bowls digged out from the tomb number 155 in Kyungju prove that the Parksan pattern was a symbol of the king. On the other hand, parksan pattern can be seen in Buddhist status, coffin lids of Buddhist sanctum, tools for a Buddhist It is worthwhile to note that historical literatures as well as the relics of China and Japan had a record of parksan brocade. Even though our historical literature doesn't have any record of this, it is persumed that the parksan brocade can be observed the pattern shown in the costume of sachonwang' s statue excavated from the temple site of sachonwang of Silla dynasty. Secondly, we see, the descriptive method of parksan pattern was patternic and scenic description. The latter expressed the parksan pattern's natural mountain with three peaks, the former was changed into the shape of flame, the shape of screw from the shape of triang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