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숙희-
dc.contributor.author高成淑-
dc.creator高成淑-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29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29Z-
dc.date.issued198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25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83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25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국인이 섭취하고 있는 식사내 지방함량에 따라서 체내 지방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그래서 동물실험을 통해 동물의 사료구성 성분중 지방량을 한국인 영양섭취 실태조사에 나타난 지방섭취 수준으로 조정하여 열량의 2%, 7%, 20%선으로 주고 섭취된 지방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야채의 섭취량을 모든 실험군에서 같은 수준으로 첨가시켜 사육하여서 식이내 함유된 지방의 수준이 흰쥐의 체중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평균 체중이 58.5±0.3g정도 되는 Wistar종 수컷 흰쥐 110마리를 각군당 5마리씩 22개군으로 나누어 1개군은 실험 0일에 희생시켰으며 식이내 지방량에 따라 저지방 7군, 고지방 7군, 표준 7군으로 나누어 총 14주동안 매 2주마다 각군에서 5마리씩 총15마리를 희생시키면서 사육하였다. 각 실험군마다 사료 섭취량, 열량 섭취량, 체중, 단백질 효율 및 열량 효율을 측정하였고 간. Epididymal fat pad의 무게 및 골격에서 경골과 대퇴골의 길이와 무게를 측정하였다. 대변을 채취하여 지방 배설량 및 지방 흡수율을 측정하였고 전체 체구성 성분으로 체내 총지방량과 총단백질량을 측정하였으며 체내 유동지방으로 혈청내 지방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았다. A. 사료 섭취량, 열량 섭취량, 체중 증가량 및 단백질 효율과 열량 효율은 표준군, 저지방군, 고지방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체중의 증가는 식이내 지방과 탄수화물의 함량보다도 섭취된 총 열량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B. 지방의 흡수율은 표준군과 고지방군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저지방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지방 흡수율을 보였다. 이것은 저지방군이 섭취지방량이 적은 반면 지방의 배설량은 전군에서 거의 일정한 양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공급한 식이내 지방수준 즉 20%, 7%, 2%, 수준범위내에서는 배설되는 지방량과 총 변의 양은 세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 었다. C. 간의 무게는 각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실험초기 간의 무게에 비해 실험종료주인 14주때에는 7배정도의 증가를 보임으로써 체중의 증가와 같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Epididymal fat pad의 무게는 각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Epididymal fat pad의 무게 증가는 실험초에 비해 실험종료주에는 65 배라는 획기적인 증가를 보였다. 뼈의 무게 및 길이의 성장은 세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뼈의 성장 양상은 먼저 뼈의 길이가 성장하고 일정한 길이의 뼈의 무게가 무거워지고 있는 현상으로 나타났다. 간. Epididymal fat pad의 무게 및 뼈의 무게와 길이의 성장에 미치는 식이내 지방수준의 영향은 본 실험에서 사용한 지방수준의 범위내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D. 체내 지방과 단백질의 축적량 및 체중에 대한 이들의 축적율은 세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그 축적단계에서는 다른 양상을 보여 주었다. 즉 체내 지방 축적량은 실험초에 비해 실험 종료주인 14주에 25배의 증가를 보이고 있다. 반면 체내 단백질 축적량은 실험초에 비해 실험 종료주에는 7.4배의 증가를 보였다. 또한 전체 몸무게중 지방의 함유율은 4주까지는 10% 내외이다 6주에 현저한 증가를 보여 14%의 함유율을 나타내면서 실험 종료때까지 완만한 증가를 보이는 반면 체중에 대한 단백질의 함유율은 실험초에서 실험 종료주까지 거의 같은 율인 14%내외를 유지하여 단백질 g당 함유된 지방량은 나이가 먹어감에 따라 증가하였다. 그런데 체내지방 축적량이 단백질 축적량을 능가하는 시기가 식이내 지방수준에 따라서 고지방군은 가장 빠른 6주에 나타났으며 저지방군과 표준군은 초기부터 완만한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실험 종료주인 14주에는 세군간에 현저한 차이는 없었다. 이 결과 전체 몸무게중 단백질과 지방의 함유율은 실험초 20%이던것이 실험 후반기에는 35%내외로 증가하였으며 이때 체중 증가에 현저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지방축적으로 나타났다. 혈청내 총지방량은 세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로 한국인이 현재 식사에서 섭취하는 지방량의 수준은 신체내에서 지방축적량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범위라고 말할 수 있으며 다만 고지방 20%군에서 다른군에 비해 보다 어린나이에 지방 축적이 이루어 진다는 결과는 앞으로 서구 식사 형태인 30%, 40%, 50%, 의 고지방식사에 대한 같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과 동시에 어린나이에 지방과 단백질의 비율이 어른것에 도달했을 때 어떤 체내대사에 영향을 미칠것인가에 대한 연구도 해야할 것으로 본다.;This study was designed to elucidate the effect of body fat accumulation 엳 새 different levels of dietary fat intake, which represent, Korean present dietary fat, consumption pattern. The levels of fat content in the experimental diet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1974 Korean National Nutrition Consumption Survey done by Ministry of Public Health and SociaI Affairs. Hundred-ten male Wistar rats weighting 58.5±0.3g were divided into four experimental groups, 2% fat of total calorie intake as low fat group, 7% standard, 20% as high, and initial group, respectively. Three experimental groups were subdivided into seven subgroups, 5 rats each, and Initial group (5 rate) were sacrificed at the begining of this study. Mixed vegetable powder dried in the air was added to the, all experiment diets at the same level, 4.2% of food weight which is twice as high as average Korean diet, consummed. Author intended to control the uniform amount of fecal excretion in the different experimental groups due to cellulose consumption of dried vegetables contained in its diet. The duration of this experiment, were fourteen weeks. To ohserve the process of body fat, accumulation, 5 rats of each group, total 15 rats, were sacrificed at every other weeks. The amount of food intake, calorie intake, body weight gain were measured to calculate protein efficiency ratio (P.E.R.) and calorie efficiency ratio (C.E.R.). Bone weigh and length(Tibia, Femur) and the weight of liver and epididymal fat pad were measured. The ratio of fat absorption was calculated by 'the difference between fat intake and fat excretion. Total carcass lipid and protein conten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A. In regardness of body weight gain and the amount of food intake from different experimental groups, there were no difference in body weight gain throughout fourteen weeks of experiment in spite of different amount of fat content in the diet. This result can be supported by the same amount of food consumed from different experimental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experimental groups in P.E.R. and C.E.R. Author would 1ike to conclude this result that body weight gain of experimental animals was much more affected by the amount of total calorie consumption than the composition ratio of energy source such as fat and carbohydrate content in the diet. B. It was noteworthy that percentage of fat absorption, calculated by difference between the intake from tho diet and excreted amount of fat in the feces, showed the lowest in the group fed low fat dist, among these experimental groups. The contents of fat in the feces did not reflect the level of dietary fat content. The percentage of fat content in the total fecal volume showed fairy uniform in the all experimental groups. Eventually, fecal volume excreted was the major factor to influence the fat absorption ratio in this experiment. As mentioned above, dried vegetable powder, which would affect, fecal volumes, was added at the same level when experimental diet were mixed. C. As expected, liver weight gain showed same tendency as body weight, gain. Anyhow auther did not observ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liver weight change among all experimental groups. Liver weight at the termination of this experiment were seven times greater than those of initial group. This tendency of seven times in liver weight gains comparing with initial one was true in the body weight in. The weight of epididymal fat pad of the 14 weeks of experiment drastically increased by sixty five times initial epididymal fat pad.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eights of epididymal fat pad due to the different fat content, in the diet. Long bone growth was observed measuring length and weight. Bone length elongation was achieved to the matured length before weight of bone did to the matured weigh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is respect because of different fat content in the experimental diets. D. In order to elucidate the total body composition in relation to body weight gain, accumulated amount of body protein and fat were converted into per 100gs of body weigh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is respect among three experimental groups. But it was interesting to notice that fat content in the body in terms of percentage wise was slowly increased in accordence with the duration of this experiment toward the end. In respect to protein accumulation in the body in terms of percentage-wise stayed constant, more or less 14% of protein out of total body weight, throughout whole duration of this experiment. When auther analyzed the amount of body fat and protein content in comparision with those of initial group, fat content in the body increased 25 times and protein only 7.5 times at the termination of this experiment. The amount of body fat and protein accumulation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among three experimental groups. It was worthwhile to tabulate the grams of body fat per grams of body protein accumulated. This might give us some clue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body weight gain. In this experiment, animals fed high fat diet showed earlier age in grams of fat per grams of protein accumulations of matured level than two other groups did. At the 6 weeks of the experiment, animals fed high fat diet accelerate the total body fat accumulation. Bat the other two groups showed gradual increament of body fat content throughout 14 weeks of experiment. This result can be concluded that present fat content in the Korean diet, 2% to 20% of total calorie intake, would not mak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body fat accumulation. But animals fed high fat diet, 20% of total calorie intake, would affect the earlier age of animals accelerate the body fat accumul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iii 논문개요 = vii Ⅰ. 서론 = 1 Ⅱ. 실험계획 = 2 Ⅲ. 실험재료 = 4 A. 실험 동물의 사육 = 4 B. 사료의 준비 = 5 C. 사료의 구성성분 = 5 Ⅳ. 실험방법 = 9 A. 사료의 섭취량 = 9 B. 체중 = 9 C. 식이의 효율 = 9 D. 간, Epididymal fat pad 의 무게 및 뼈의 무게와 길이의 측정 = 10 E. 혈액 분석 = 10 F. 신체내 체구성 성분의 분석 = 10 G. 변의 채취 및 분석 = 11 H. 통계 처리 = 11 Ⅴ. 실험결과 = 12 A. 사료의 섭취량 및 체중의 변화 = 12 B. 지방의 흡수율 = 18 C. 간, Epididymal fat pad의 무게 및 뼈의 무게와 길이변화 = 21 D. 체구성 성분중 지방과 단백질의 변화 = 26 Ⅵ. 고찰 및 결론 = 33 참고문헌 = 35 ABSTRACT = 3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840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식이내 함유된 지방의 수준이 흰쥐의 체중증가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DIETARY FAT LEVEL ON THE BODY WEIGHT GAIN OF RATS-
dc.format.pagex, 4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식품영양학과-
dc.date.awarded198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