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4 Download: 0

비스테로이드 및 스테로이드계 항염제의 국소도포가 자외선에 의해 유발된 홍반의 소실에 미치는 영향

Title
비스테로이드 및 스테로이드계 항염제의 국소도포가 자외선에 의해 유발된 홍반의 소실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 of topical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nd corticosteroids on UVL erythema
Authors
韓智允
Issue Date
198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국홍일
Abstract
자외선조사시 발생하는 홍반의 발생기전은 확실히 규명되지 않았지만 Greaves 및 Sondergaard(1970)은 histamin, kinine, prostaglandin E, lysosomal enzyme등 많은 화학물질이 중요한 역활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Greaves 및 McDonald-Gibson(1972)와 Mathur 및 Gandhi (1972)은 자외선B조사에 의한 지연성홍반의 발생은 prostaglandin이 중요한 화학적매개물이라고 보고하였다. 최근 indomethacin등 비 steroid계 항염제와 steroid제제가 prostaglandin생합성을 억제한다고 보고되었다. Eaglstein 및 Marsico(1975), Snyder(1975)와 Morison등(1977)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이들 약제를 이용하여 자외선조사에 의한 피부손상의 치료를 시도하여 그효과에 대해 보고된 바 있으며 steroId제제의 남용후에 야기되는 부작용이 점차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므로 비steroid계 항염제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이에 저자는 건강인 40명을 대상으로 비steroid제, 항염제(5% bufexamac cream, 5% ibuprofen cream, 5% indomethacin cream)와 steroid제제 (0.05% fluocinonide cream, 0.5% fluocortolone cream, 0.5% fluocortolone cint., 1% hydrocortisone cream)의 국소도포가 자외선조사에 의한 홍반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시도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아울러 보고하는 바이다. 1. 최저홍반량 (Minimal erythieima dose, 이하 MED라 약함)은 4분(62.5%), 3분(25.0%), 5분(22.5%)의 순이었으며 평균 3.63분이었다. 2. 홍반의 발생은 조사 4시간후 대조부위는 39예(97.5%)에서 홍반출현을 보이지만 비steroid계 항염제와 steroid제제 도포부위에서는 보다 적은 예에서 홍반의 출현을 보여줌으로써 홍반의 발생이 지연되어 나타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비steroid계 항염제와 steroid제제에서 상호간의 큰 차이는 볼 수 없었다. 3. 홍반의 감소는 대조부위에서는 48시간까지 전혀 홍반의 감소를 보이지 않았으나 비steroid계 항염제와 steroid제제 도포부위에서는 4시간후 소수 예에서 홍반감소를 보이기 시작하여 24시간후 비steroid계 항염제중 5% ibuprofen cream은 24예(60%) steroid제제중 0.5% fluocortolone cintment는 23예(57.5%)에서 가장 많은 감소효과를 보였고 48시간후에는 대조부위를 제외하고 전예(全例)에서 홍반의 감소를 보였다. 4. 홍반감소의 정도는 홍반의 출현 48시간후에 비steroid계 항염제중 5% indomethacin cream(평균점수 2.47), steroid제제중 1% hydrocortisone cream(평균점수 2.63)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이상의 성적으로 미루어 대조군보다 비steroid계 항염제와 steroid제제의 국소도포가 홍반출현의 지연과 홍반의 감소 및 소실에 현저한 효과를 보이며 비 steroid제의 항염증작용에 있어서 상호간의 큰차이는 볼 수 없었다.;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several chemical mediators such as histamine, kinine, prostaglandin E. lysosomal enzyme are related to the pathogenesis of sunburn but the exact mechanism of UVL erythema is unknown. Recently, prostaglandins appear to be important mediators of UV-erythema and several investigators had repeated that the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nd corticosteroids suppressed UV-erythema by inhibition of prostaglandin synthesis. Several authors had reported the effect of nonsteroid anti-inflammatory drugs(Indomethacin, Salicylates etc.) on UV-erythema induced by a sunlamp or natural sunlight.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effect of topical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nd corticosteroids on UV-erythema induced by a artificial sunlamp. Nonsteroid anti-inflammatory durgs(5% Bufexamac cream, 5% Ibuprofen cream, 5% Indomethacin cream) and corticosteroids(0.05% Fluocinonide cream, 0.5% Fluocortolone oint., 1% Hydrocortisone cream) were applied immediately after 3-4 MED irradiationon back skin of 40 healthy volunteers and the delayed UV-erythema response was respectively evaluated at 2, 4, 6, 8, 12, 24, 48n and 72 hrs after irradi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developmental time of minimal erythema dose was 4 min. (62.5%), 3min.(25.0%), 5 min.(22.5%) and average MED was 3.63 min. 2. In the developmental time of UV-erythema, nonsteroid anti-inflammatory drugs(eg. 5% Indomethacin-65.0%) and Corticosteroids(eg. 1% Hydrocortisone-70.0%) topical applied sites were more delayed the appearance of UV-erythema than control site(97.5%) at 4 hr after irratiation. Nonsteroid anti-inflammatory agent applied site showed results which were similar to the corticosteroid applied site. 3. Blanching of the UV-erythema appeared below 25% of all cases at 4 hr after irradiation, and blanch was detected in all cases at 48 hr after irradiation on nonsteroid and steroid agent topical applied sites except control site. 4. Average grading of blanched areas were highest on the site applied with 5% Indomethacin cream among nonsteroid agent(average score-2.47) and 1% Hydrocortisone cream (average score-2.63) among steroid ag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