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6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영경-
dc.contributor.author함승연-
dc.creator함승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14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14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3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8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329-
dc.description.abstractWe who are living in an era of internationalization meet closely with a variety of ethnic races, carry out cultural exchange with them and communicate with them in humane manners. However, since many countries have different traditional backgrounds of living and climatic environments, it's difficult to do cultural communication with them without systematic and practical studies and it's also hard to understand each country's cultural emotions. In relation to these problems, the color which is a silent language is a strong means necessary to understand individual members' emotions comprising a nation. However, detailed cultural data or comparative studies with other countries are very insufficient, and it is true that most of studies on preferred colors of the nations are analyzed based on studies through tradition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lassical bibliographic data without conducting practical investigations, which leads to the fact that they are not applied properly to the current industrial setting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comparatively analyze color sensitivity of people in their 20s~30s living in Korea, Switzerland, Canada, and the USA which have similar climatic conditions although they are apart from each other geographically by dividing it into general colors and seasonal colors to understand the color sensitivity of the members composing the nations and to elucidate the differences compared to classical literature data, and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the theory of regions and the theory of sex among factors affecting preferred colors.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four nations prefer vivid Red in common with regards to generally preferred color characteristics by country, and as a result of dividing them into sex, Korean, Swiss, and Canadian men preferred Vivid Red in common, and it was found that Canadian and American men prefer the same Vivid Blue and Black. In the case of women, Korean and Swiss women preferred the same Vivid Red in common as men did, and Korean and Canadian women preferred the same Bright Blue. If we examine generally preferred colors and color tones, three nations except America preferred Blue color in common, and all the four countries preferred vivid tones in relations to the tones. For results of dividing by sex, it was analyzed that men in the four nations preferred Blue color and vivid tones in common, and women in the four nations prefer vivid tones and bright tones in common, and for generally preferred color characteristics, the tendency was found that the same colors were preferred regardless of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which indicates that they are not affected by the factor of sex. Second, for generally disliked colors in the four nations, it was found that Korea disliked Dark Yellow, Canada Deep Yellow most, which indicates that two countries dislike the same color but only difference in the tone was identified. For disliked colors, it was analyzed that the four nations disliked the same Y color, and that women in the four nations also disliked the same Y color. For dislikes color tones, it was analyzed that Korea and Switzerland dislike the same Dark grayish tone. Thus, it is considered that for generally disliked color characteristics, there is a tendency that there are generally disliked colors which are not affected by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the factor of sex. Third, for seasonal colors by nation, in the seasons of spring and summer, Korea and America preferred Yellowish colors in the spring and in the summer, Blue type colors were preferred, and it was found that Switzerland and Canada prefer the same colors of GY type in the spring and the same colors of Yellow type in the summer and in the season of winter, the four nations all preferred YR type colors in common and only differences in the tone was shown. It is analyzed that in the winter, the four nations all prefer White in common, which indicates that geographical conditions have no influence on preferred colors by season. It was found that the four nations have clearly preferred colors by season, which indicates that each country has a firm recognition of seasons. For preferred tones by season, it was analyzed that the four nations all preferred vivid tones and bright tones in common in the summer, and they preferred Neutral tones in the winter. And it was analyzed that men and women in the four nations all preferred the same tones in the summer and winter in results of dividing by sex as well, which indicates that preferred color characteristics by season are not affected by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sex. Four, an investigation of relationships between each nation's generally preferred color characteristics and seasonally preferred color characteristics indicates that the first place of generally preferred colors in Korea showed the same result as that in the season of summer, and the first place of generally preferred colors and the color preferred in the season of winter in Switzerland was the same and the same result as in the spring and summer was found. For Canada, the preferred color tones in the spring, summer, and fall were the same, which indicates that in Canada, seasonal characteristics do not affect preferred colors by season. In America, generally preferred colors were the same as those preferred in the winter, and for colors and tones, general preference and seasonal preference are clearly differentiated, which gives an evidence to analyze that generally preferred colors are not affected by seasons;국제화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는 다양한 민족을 가까이 접하며 문화를 교류하고 인간적 소통을 하며 살아간다. 그러나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연구 없이 살아온 전통적 배경과 기후적 환경이 다른 여러 국가 간의 문화적 소통을 통해 문화적 감성을 이해하는 것에 적지 않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소리 없는 언어인 색채가 국가를 이루는 구성원간의 감성을 파악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수단과 방법이 된다. 그러나 세분화된 문화적 자료나 타국과의 비교연구는 매우 미흡할 뿐만 아니라 국가별 선호 색채에 관한 연구 대부분 실질적인 조사를 거치지 않고 전통적 특징, 지역의 특성, 고전 문헌 자료들로만 연구되어 실제 산업현장에서 실용적이지 못한 부분들이 드러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리적으로 떨어져있지만 비슷한 기후조건을 갖추고 있는 국가인 한국, 스위스, 캐나다, 미국의 20-30대 남녀의 색채감성을 일반 색채와 계절 색채로 나뉘어 비교 분석하여 국가를 이루고 있는 구성원들의 색채감성을 파악하고 고전 문헌 자료와의 차이점을 밝히고 선호색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지역설과 성별설과의 관계를 규명하기로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국가별 일반적 선호색 특성에서 네 국가 공통적으로 Vivid Red를 선호한다고 나타났으며, 성별로 나뉜 결과 한국, 스위스, 캐나다의 남성이 공통적으로 Vivid Red를 선호하였고, 캐나다와 미국의 남성이 Vivid Blue와 Black을 동일하게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한국과 스위스 여성은 남성과 같은 결과로 공통적으로 Vivid Red를 선호하였고, 한국과 캐나다 여성은 Bright Blue를 동일하게 선호하였다. 일반적인 선호색상과 선호 톤을 살펴보면, 미국을 제외한 세 국가가 공통적으로 Blue색상을 선호하였고, 톤에서는 네 국가 모두 Vivid 톤을 선호하였다. 성별로 나뉜 결과에서는 네 국가의 남성은 공통적으로 Blue색상과 Vivid톤을 선호하였고, 네 국가의 여자가 Vivid톤과 Bright톤을 공통적으로 선호한다고 분석되어 일반적 선호 색채특성은 지리적 특징과 관계없이 동일하게 선호하는 색채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성별의 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두 번째, 네 국가의 일반 혐오색은 한국이 Dark Yellow, 캐나다가 Deep Yellow를 가장 혐오하는 것으로 동일한 색상을 혐오하며 톤의 차이만 나타났다. 혐오색상에서는 네 국가가 동일하게 Y색상을 혐오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네 국가의 여성 역시 동일하게 Y색상을 혐오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혐오톤은 한국과 스위스가 동일하게 Dark Grayish톤을 혐오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일반 혐오색채 특성은 지리적 특징과 성별의 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는 보편적인 혐오 색채 경향이 있다고 사료된다. 세 번째, 각 국가의 계절별 선호색에서, 계절 봄에는 한국과 미국이 Yellow계열의 색을 여름에는 Blue계열의 색을 선호하였고, 계절 봄에는 스위스와 캐나다가 GY계열의 색을 여름에는 Yellow계열의 동일한 색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계절 가을에는 네 국가가 공통적으로 YR계열의 색을 선호하였으며 톤의 차이만 나타났다. 계절 겨울에는 네 국가 모두 White를 선호한다는 공통점이 분석되어 지리적 조건이 계절색의 선호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사료된다. 네 국가가 계절마다 뚜렷이 선호하는 색상이 존재한다고 나타난바 각 국가가 계절에 대한 인식이 뚜렷하다고 판단된다. 계절 선호톤에서 네 국가 공통적으로 여름에 Vivid톤과 Bright톤을 선호하였고, 겨울에 Neutral톤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성별로 나뉜 결과에서도 네 국가의 남녀가 모두 여름과 겨울에 동일한 톤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계절별 선호 색채특성은 지리적 특징과 성별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네 번째, 각 국가의 일반적 선호 색채특성과 계절별 선호 색채특성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한국은 일반 선호색의 1순위가 계절 여름과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스위스의 일반 선호색상 1순위와 계절 겨울의 색상이 같았고 봄과 여름의 선호톤과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캐나다는 봄, 여름, 가을에 선호하는 톤의 결과가 동일하여 캐나다는 계절적 특징이 계절별 선호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다고 사료된다. 미국은 일반 선호색이 겨울 선호색과 동일하였고, 색상과 톤에서는 일반 선호와 계절 선호가 뚜렷한 선호경향을 나타내어 일반 선호색이 계절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Ⅱ. 연구의 이론적 고찰 4 A. 색채의 개념 및 이해 4 B. 선호색채의 개념 및 요인 5 C. 색채특성 연구사례 8 1. 선호색채 연구사례 분석 8 2. 계절색채 연구사례 분석 11 Ⅲ. 국가별 색채 선호특성 및 계절별 색채 선호특성 조사 방법 13 A. 설문 대상 및 설문 방법 13 B. 측정도구 15 C. 설문 구성 및 분석 방법 18 Ⅳ. 국가별 색채 선호특성 및 계절별 색채 선호특성 19 A. 국가, 성별로 나뉜 국가별 일반 색채 선호 특성 19 1. 국가, 성별로 나뉜 국가별 일반 선호색 특성 19 2. 국가, 성별로 나뉜 국가별 일반 선호색상 특성 23 3. 국가, 성별로 나뉜 국가별 일반 선호톤 특성 28 B. 국가, 성별로 나뉜 국가별 일반 색채 혐오 특성 31 1. 국가, 성별로 나뉜 국가별 일반 혐오색 특성 31 2. 국가, 성별로 나뉜 국가별 일반 혐오색상 특성 36 C. 국가, 성별로 나뉜 국가별 계절 색채 선호 특성 43 1. 국가, 성별로 나뉜 국가별 계절 선호색 특성 43 2. 국가, 성별로 나뉜 국가별 계절 선호색상 특성 57 3. 국가, 성별로 나뉜 국가별 계절 선호톤 특성 67 D. 국가, 성별로 나뉜 국가별 색채특성 비교분석 77 1. 선호색 특성 비교 분석 77 2. 선호색상 특성 비교 분석 85 3. 선호톤 특성 비교 분석 89 4. 비교분석 결과요약 94 Ⅴ. 결론 및 제언 97 참고 문헌 99 부록1 한국 설문지 102 부록2 스위스, 미국 설문지 103 부록3 캐나다 설문지 104 Abstract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3442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국가별 색채 선호특성 및 계절별 색채 선호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한국, 스위스, 캐나다, 미국의 20-30대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study on preferred color characteristics by nations and preferred color characteristics by seasons : Focused on men and women in their 20s-30s in Korea, Switzerland, Canada, and the USA-
dc.creator.othernameHam, Seung Yeon-
dc.format.pagexii, 10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