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덕현-
dc.contributor.author서재정-
dc.creator서재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12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31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8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317-
dc.description.abstract현실 속에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자연발생적으로 생성되는 다양한 공간들이 함께 존재하고 있다. 우리는 이러한 공간을 여러 가지 방식으로 인식하게 된다. 사진과 같은 시각적인 이미지나 책과 같은 자료들을 통해서 간접적인 체험을 할 수도 있고 또는 실제로 공간을 방문하여 직접 체험해 볼 수도 있다. 나의 작업은 현실 속 공간을 직접 체험하였던 것에서 비롯되었다. 특히 공간에 존재하는 여러 요소들이 작업의 모티브가 되었다. 어떠한 공간을 지나치며 보았던 길과 그 길을 따라 서있던 나무들과 건물들, 그 뒤로 보이던 하늘과 같은 시각적 요소들을 지각하였고, 그러한 시각적 지각으로부터 체온 변화와 같은 또 다른 감각들이 발생하여 하나의 공간을 인식하게 하였다. 나는 여러 시각적 요소들 중에서도 현실 공간 속 또 하나의 공간이라고 할 수 있는 건축물의 모습에 주목한다. 건축물은 일종의 공간예술이라고 할 수 있다. 건축물의 전체적인 형태와 각 구성요소들은 서로 같은 공간 안에서 유기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면서도 각각 다양한 공간 체험을 가능하게 한다. 한 개인이 건축 공간을 접하는 과정에서 정확하게 기억해 낼 수는 없지만 다른 공간에서 본 것과 같은 시각적 이미지를 떠올리거나 혹은 익숙한 공간임에도 낯선 느낌을 받는 경험을 하게 된다. 본 논문은 건축물에 대한 경험이 주를 이뤘던 현실 공간의 체험에서 생성되는 인식의 배경인 심리학적 이론을 살펴보는 것에서부터 출발한다. 현실 속 다양한 공간을 접하게 되는 과정에서 일상의 익숙한 공간과 우연히 마주치는 낯선 공간들이 뒤섞여 인식되는 경험을 통해 공간 기억에 대한 인식의 교란이 발생한다. 이를 심리학에서 다루는 데자뷰(deja vu)·자메뷰(jamais vu) 현상과 관련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한 공간에서 익숙함과 낯설음이 교차되는 경험을 통해 현실 속의 또 다른 세계처럼 인식되는 새로운 공간을 상상한다. 개인의 공간 체험에 따라 새롭게 생성되는 공간을 ‘심리적 공간’이라 지칭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다양한 모습의 심리적 공간들이 나타난다. 심리적 공간은 현실 공간의 구체적 요소를 주요 소재로 하여 생성된다. 나의 작품에서 표현되는 심리적 공간은 건축물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형상화되며 다양한 특징을 지닌 ‘건축적 공간’으로 나타난다. 건축적 공간의 색과 형태는 단순화되는 과정을 거치며 서로 다른 공간에서 유사한 색과 형태들이 존재한다. 실제로 다양한 건축물의 요소들을 살펴보면 각각 기능과 상징적인 측면에서 유사함을 발견할 수 있으며 이는 역사적 건축물들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요소와 현대의 건축물들에서 드러나는 일정한 규칙성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현실 속 공간과 유사한 모습을 보이면서도 실재할 수 없는 몽환적 분위기의 비현실의 세계의 모습이 나타난다. 현실 속 또 다른 세계라는 것은 현실의 모습과 개인의 심리적인 작용이 만들어 내는 현실의 모습에서 출발한 비현실의 세계이다. 현실의 모습은 계속 변화하며 그에 따라 개인의 인식과 경험도 다양해진다. 그러나 시대의 유동적인 흐름 안에서 시공간을 초월하여 존재하는 의식의 배경을 찾을 수 있으며 이러한 의식의 유사성이 반영되는 심리적 공간이 현실의 모습을 통해 구현된다.;Various types of space artificially manufactured or naturally formed coexist in realities. We recognize such space in many ways. We can have indirect experience through such materials as visual image or books or have direct experience by visiting space actually. My work resulted from direct experience of space in realities. In particular, lots of elements that existed in space became motives of the work. I perceived visual elements, such as a road passing space, trees and buildings along the road, and the sky behind them; such visual perception caused other senses, including changes in body temperature, which resulted in perception of the space. Of several visual elements, attention is paid to the appearance of a building, which can be another space within real space. It is possible to say that a building is a kind of spacial art. The general shape and individual components of a building are organically formed in the same space, and each of them enables various types of spacial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seeing space of a building, an individual cannot have accurate memory but makes come into his or her mind visual image that seems to be seen in other space or has experience of feeling strange even in familiar space. This study starts from examining a psychological theory as the background of perception formed in experience of real space mainly composed of experience of buildings. In the process of seeing various types of space in realities, perceptual disturbances occur in terms of memory of space through experience of perceiving a mixture of familiar space in daily life and unfamiliar one come across by chance. This can be considered in relation to such phenomena as deja vu and jamais vu, which are dealt with by psychology. Through the experience of having familiarity and unfamiliarity cross each other in the same space, one imagines new space perceived as another world in realities. The space newly formed by personal experience of space is called psychological space, through which process various types of psychological space appear. Psychological space is formed with concrete elements in real space as main materials. The psychological space expressed in my work is embodied around image of a building and appears as structural space with various features. Colors and shapes of structural space go through the process of simplification; thus, the same colors and shapes exist in different types of space. Actually, elements of various buildings have similarities in functional and symbolic aspects, which can be confirmed through common elements found in historic buildings and through uniform regularities revealed in modern buildings. Through this process, the shape of unreal world in dreamlike atmosphere appears which cannot exist despite similarities to real space. Another world in realities refers to the unreal world that starts from the real appearance and that made by personal psychological actions. The real appearance changes continuously, consequently diversifying personal perception and experience. However, it is possible to find out background of consciousness that exists beyond space and time within the flexible stream of times, and psychological space reflecting similarities of this consciousness is embodied through the real appeara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현실 속 공간의 인식 = 4 A. 익숙함과 낯설음의 순환작용 = 4 B. 심리적 공간 = 11 Ⅲ. 현실 속 또 다른 세계 = 17 A. 색과 형태의 인식론 = 19 B. 심리적 장치들 = 22 C. 몽환적 세계 = 25 Ⅳ. 건축적 공간의 생성 = 29 A. 기억의 공간 = 29 B. ILLUSORY = 32 C. 합리적인 상징 = 33 Ⅵ. 결론 = 50 참고문헌 = 52 ABSTRACT = 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68329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현실 속 또 다른 세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other World in Realities-
dc.creator.othernameSeo, Jae Jung-
dc.format.pageⅶ, 5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학부회화·판화전공-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