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진숙-
dc.contributor.author명정은-
dc.creator명정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05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05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4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79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464-
dc.description.abstractGrowing numbers of Korean grooms are getting more interested in make themselves well-groomed on the wedding ceremony. Usually a groom rents his formal wear from the wedding dress shop together with a wedding dress for his bride. Yet wedding dress shop doesn't seem to keep groom's formal wear of sufficient styles and sizes. Therefore the grooms have difficulties to find right size and style for individual body figure and style preferenc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the tail-coat pattern for right fit and better style for Korean grooms. In order to find out the problems related to formal wear of the grooms, the survey has been conducted to married man and to be married of their 30s. They prefer "rent it" rather than "purchase it" for the reason of rare occasion to wear it. The most preferred item is "tail-coat" followed by "tuxedo". It is because the tail-coats make them look fit and slim. They think the rented tail-coats are generally acceptable size, but occasionally some parts such as total length, chest girth, shoulder width are larger.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y are for rent to unspecified customers. Preferred design details such as lapel and collar shape, button numbers, waist line position, tail shape and length were found out. Another interview was done with two tail-coat manufacturers about pattern and size. In order to find out how to make patterns improved, comparison among the existing patterns was necessary. It was decided to compare two industrial patterns and two educational patterns as existing patterns. These four patterns were made up as an experimental garments for wearing tests. 5 subjects wore them on. The four experimental garments were graded by subjects themselves and panels based on appearance and wearing comforts. Among the four patterns, the most well graded pattern was selected to be developed as a researcher's pattern.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wearing tests of four experimental garments, the selected pattern was altered to fit better and to look smarter. The selected pattern was one of the industrial patterns. It was well graded in waistline position, shoulder shape, back princess line shape. Also it was best to move around sleeve and bodice. However, the selected pattern was altered to make arm hole narrower to make bodice length longer, to make front bodice slimmer. The researcher's pattern's were made up into a testing garment using wool gaberdine. The wearing test by the same subjects and panel was done to verify the improvements resulted by the alterations. The final researcher's garment was graded better in bothe appearance and comfort.;최근 남성들의 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예복에 대한 요구도 다양해지면서 실루엣의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디자인의 예복을 착장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이러한 예복은 일상복으로 입지 못하는 한계 때문에 맞춤보다는 대여를 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다. 대여점에서 제공되는 예복의 경우 디자인과 수량이 한정되어 소비자 선택의 폭이 넓지 않고 사이즈도 세분화 되어있지 않아서 여러 번의 가봉과 수선이 요구된다. 따라서 소비자들의 선호를 반영한 남성 예복 디자인개발 및 패턴제안의 필요성이 요구되어 졌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남성예복과 차별화된 트렌디 하면서 다양한 스타일 전개가 가능한 예복 패턴을 제안 하고자 한다. 먼저, 남성예복의 선호디자인 형태와 착용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기혼의 남성 또는 결혼예복을 착용해 본 경험이 있는 남성 160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사항 설문 조사 하였다. 패턴 수집은 소비자의 인지도가 높고 남성예복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며 판매실적이 높은 2개의 업체와 교육용으로 사용되는 문헌패턴2개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4종류의 패턴을 판매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하여 사이즈 코리아(www.sizekorea.co.kr)국민표준체위조사 보고서를 바탕으로 표준체형에 부합하는 사이즈 피험자5명의 착의평가와 전문가집단의 외관평가를 통해 패턴수정· 보완하여 맞음새와 동작 적합성을 높일 수 있는 패턴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호율이 높은 예복 디자인에 대한 4가지 패턴을 제작하여 실험의복 제작과 착의평가를 하였다. 그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를 통해 각 아이템별로 가장 우수한 패턴을 선정하고 선정된 패턴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파악하였다. 둘째, 4가지 패턴의 문제점 중 공통적인 현상은 재킷의 앞, 뒤품의 여유량, 재킷의 꼬리 부분의 길이, 소매길이, 등의 문제였다. 이는 대여복 이라는 특성상 다양한 사이즈의 수용이 어려워 보통사이즈 보다는 크게 제작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그 외 칼라나 라펠 다트 , 주머니, 단추위치 등의 전체적인 실루엣과 관련되어지는 디자인적 요소들은 디자인의 변형이 적은 전통적인 디자인이므로 각 현재 트렌드를 반영하여 수정이 이루어졌다. 셋째, 수정한 패턴을 사용하여 실험복을 가봉상태로 제작하고 착의 평가를 하였다. 연구의류를 실제 주로 사용되는 개버딘(모100%)을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트렌드에 관심이 많은 남성소비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디자인과 사이즈의 결혼 예복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됨에 따라 기존의 결혼 예복과 차별화된 디자인과 패턴의 연미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는 예복선택의 만족도를 높이는 결혼예복(연미복) 개발에 기여할 수 잇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2 Ⅱ. 이론적 배경 = 3 A. 예복에 관한 고찰 = 3 1. 남성 예복의 역사 및 변천 = 3 2. 남성 예복의 구분과 형태적 특성 = 6 3. 19세기 남성 복식 = 10 B. 결혼 예복 착용 현황 = 12 1. 결혼 예복 시장 = 12 2. 결혼 예복 소재 = 14 3. 남성 예복 사이즈 = 15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19 A. 소비자 대상 착용실태 조사 = 21 1. 조사 기간 및 방법 = 21 2. 조사 목적 및 조사 내용 = 21 3. 자료 분석 방법 = 21 B. 결혼예복 생산업체 현황 조사 = 22 1. 조사기간 및 방법 = 22 2. 조사 대상 업체 및 내용 = 22 C. 실험의류 제작 및 착의평가 = 23 1. 품목 및 디자인 선정 = 23 2. 실험패턴 수집 = 23 3. 실험패턴 비교 분석 = 24 4. 실험의류 제작 및 착의평가 = 26 D. 연구의류 제작 및 착의평가 = 31 1. 연구의류 제작 = 31 2. 착의평가 = 32 Ⅳ. 연구결과 및 고찰 = 33 A. 소비자의 대상 착용실태 조사 결과 = 33 1. 1차 소비자 조사결과 = 33 2. 조사 대상의 일반적 사항 = 34 3. 결혼 예복의 구매 ·대여 실태 = 35 4. 연미복 착용 관련 사항 = 37 5. 연미복 디자인 관련 사항 = 39 B. 연미복 생산업체 설문 = 41 1. 조사대상 업체의 일반적 사항 = 41 2. 생산에 관한 문항 = 42 2. 호칭방법과 생산치수 = 42 C. 실험의류 제작 및 착의평가 결과 = 44 1. 실험패턴 비교 분석 결과 = 44 2. 실험의류 제작 및 착의 평가 결과 = 47 D. 연구의류 제작 및 착의평가 결과 = 54 1. 연구의류 제작 결과 = 54 2. 연구의류 착의 평가 결과 = 58 3. 연구의류 최종 패턴 제시 = 62 Ⅴ. 결론 및 제언 = 65 참고문헌 = 68 부록 = 71 부록 1 연미복 소비자의 착용실태에 관한 설문지 = 72 부록 2 연미복 생산업체 현황에 관한 설문지 = 78 부록 3 연구의류 동작평가 착의실험 사진 = 83 Abstract =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83347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30대 남성을 위한 연미복 패턴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Tail-Coat Pattern for Korean Grooms of Their 30s-
dc.creator.othernameMyung, Jung-Eun-
dc.format.pagexii, 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학과-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