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윤-
dc.contributor.author강진주-
dc.creator강진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04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04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61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7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619-
dc.description.abstractIn the face of aging society with significant changes on social and economic aspects, there is a newly emerging generation known as new silver generation. This is a research asking elderly people aged over 50 about physical satisfaction, fashion innovation, awareness about risk, online shopping trend and behaviors according to experience or non-experience of online shopping. The study is also mainly designed to know about how each variable affects to their shopping trend and behaviors. The study implemented a surveying method analyzing 288 pages final data on people aged over 50 based on previously-conducted researches and related materials. Dat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SPSS WIN statistical package computer program. The study included a variety of methods such as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multiple-regression analysis and single-variance analysis. Results from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we tried to know variable differences according to experience or non-experience of online shopping from new silver generation people. Silver generation, who have a high interest on fashion innovation and individual shopping trend, were found to have bought clothing items and consumers, who have a clothing-lacking desire factor on purchasing trend, were found to have relatively lower purchasing desire. Second, new silver generation’s physical satisfaction, fashion innovation, awareness about risk, shopping trend and behavio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 variety of aspects. Fashion innovation among them is found to affect to emotional value-seeking factors and impulsive value-seeking factors. A psychological motivation and an lacking desire for clothing motivation of clothing purchasing motivation factors, including norms of choosing clothing items, is found to affect to 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 internal and personal external aspects. Awareness about risk is found to have an impact on economic value-seeking factor, psychological motivation factor and lacking desire for clothing factor as well. Sense of self-respect is found to have an influence on loyal value-seeking factor, purchasing clothing items motivation factor in terms of social psychological and economic perspectives. Third, low-ranking factors of shopping trend, cloth-purchasing motivation and cloth-choice are found to have an influence on emotional value-seeking factor, psychological motivation factor, economic and social psychological aspects and personal external factor. Economic value-seeking factor, one of low-ranking factors of shopping trend, was found to affect to clothing-lacking desire factor, practical aspect, one of cloth-choice factors and personal internal factor. Impulsive value-seeking factor is found to have an effect on cloth-lacking motivation factor, economic and social psychological aspects, personal internal factor and personal external factor. Lastly, we took relations of each variable into account according to new silver consumers’ demographical statistic traits. There is a difference in physical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der, education level, job, monthly salary. Men’s physical satisfaction is relatively higher than women’s. A group of people with university graduation level is found to have a higher physical satisfaction than a group of people with high school graduation level. When it comes to jobs, professionals’ physical satisfaction is the highest among job-holders. It is followed by management, service sectors and tech fields. Full-time homemakers rank at the bottom in physical satisfaction. Regarding monthly salary, a group of people with over 6 million won monthly salary is found to have the highest physical satisfaction. One the other hand, a group of people with 2 million to 4 million won monthly salary is found to have the lowest physical satisfaction. Sense of self-respect has a difference according to age and education level. A group of people under 54 is relatively higher than people aged over 55 in sense of self-respect. Considering education-related sense of self-respect, it is higher in people with university level education than others with high school education level or lower. Fashion innovation shows a difference in jobs. Sales position’s fashion innovation is the highest. It is followed by ones of management and professional. Awareness about risk according to demographical traits is found no valid so that there is no difference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s. Emotional value-seeking factor shows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Women’s is higher than men’s. A group of people under 54 has higher figure than people aged over 54. So, we can recognize that younger people are more likely to seek emotional values than older ones. Economic value-seeking factor is highly connected with gender and jobs. Women are higher than men. People working at service sectors and homemakers are higher than others in economic value-seeking factor. Loyal value-seeking factor have differences in terms of education level and residential location. In case of education level, university level people are higher than other in loyal value-seeking factor. And a group of people residing in new city shows the highest rate. On the contrary, people living in Kangbuk district in Seoul show the lowest in loyal value-seeking factor. Psychological motivation is found to have much to do with age and gender. Women are higher than men, which mean that women have a stronger purchasing motivation than men. According to age, a group of people under 54 has higher psychological motivation than people over 55. It means that young people are more likely to have stronger psychological purchasing motivation than older peopl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demographical characters in clothing-lacking motivation.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is found to have a relation with age. As get younger, people are more likely to choose clothing items in terms of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Economic and practical aspects are found to have connection with age. Women are higher than men. It means that women consider economic part more than men.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demographical characters in personal internal factor. This is because probably a majority of people widely use their own information. Personal external factor has a relation with age. People under 54 are higher than others over 55. It means that people are less likely to engage in purchasing activities through external information as they get older.;고령화 사회로의 진입과 함께 사회, 경제적인 면에 있어서 변화로 인하여 실버세대와는 다른 특성을 지닌 뉴실버세대를 대상으로 하여 온라인 구매 경험 유무에 따른 그들의 신체만족도와 패션 혁신성, 위험지각, 자존감의 쇼핑성향, 의복구매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고 연구변수들이 쇼핑성향과 의복구매행동에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지법을 사용하여 50대 이상의 남녀를 대상으로 총 288부가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5.0통계 Package의 기술통계, 기술통계,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test, 일원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뉴실버세대의 온라인 구매 경험 유무에 따른 연구 변수들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는데 패션 혁신성과 개인내적 정보원 성향이 높은 실버세대가 의류제품구매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의복결핍요인 구매성향을 가진 소비자가 구매율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뉴실버 소비자의 신체만족도, 패션혁신성, 위험지각, 자존감과 쇼핑성향, 의복구매행동의 관계는 패션혁신성이 쇼핑성향 중 감정적 가치추구요인과 충성적 가치추구요인, 의복구매동기 중 심리적 동기, 의복결핍 동기, 의복선택 기준 중 사회 심리적 측면, 정보원 하위요인 중 개인 내적 정보원 측면, 개인 외적 정보원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험지각이 쇼핑성향 중 경제적 가치 추구요인과 의복구매 동기 중 심리적 동기 요인, 의복결핍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존감은 쇼핑성향 중 충성적 가치추구요인 의복구매동기 중 의복 결핍동기 의복선택기준 중 사회심리적 측면, 경제적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뉴실버소비자의 쇼핑성향의 하위요인과 의복구매동기 하위요인, 의복선택기준 하위요인, 정보원 하위요인의 관계는 쇼핑성향 중 감정적 가치추구 요인이 의복구매동기 하위요인 중 심리적 동기 요인과 의복 선택기준 하위요인 중 경제적 측면, 사회심리적 측면, 정보원 하위요인 중 개인 외적 정보원에 유의하게 나타났고 쇼핑성향 하위요인인 경제적 가치추구 요인은 의복구매동기 하위요인 중 의복결핍, 의복선택기준 하위요인 중 실용적 측면, 정보원 하위요인 중 개인 내적 정보원에 유의하게 나타났다. 충성적 가치추구요인은 구매동기 중 의복결핍 동기와 의복선택기준 중 경제적 측면과 사회심리적 측면, 개인 내적정보원, 개인외적 정보원에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뉴실버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각 변수들과의 관계를 보았는데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각 변수들의 관계를 보면 신체만족도는 성별, 학력, 직업, 월수입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신체만족도가 여성보다 높았고 대졸 이상인 집단이 고졸 이하의 집단보다 신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전문직의 신체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관리직, 서비스직, 전문기술직의 순서였으며 전업주부인 경우인 경우 신체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월 수입 별로 보았을 때 월수입600만원 이상의 집단의 신체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200~400만원인 집단의 신체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존감은 연령과 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54세 이하의 집단이 55세 이상의 집단에 비해 높았고 학력에 따른 자존감은 대졸 이상의 자존감이 고졸 이하의 뉴실버세대 소비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패션혁신성은 직업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판매직의 패션혁신성이 가장 높았고 관리직, 전문직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위험지각은 유의하지 않게 나와 개인적 특성에 따른 차이가 없음으로 나타났다. 쇼핑성향에 있어서 감정적 추구요인이 성별과 연령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여성의 감정적 가치추구요인이 남성에 비해 높았고 54세 이하의 집단이 55세 이상의 집단보다 높아 연령이 비교적 낮을수록 감정적 가치를 추구하는 경향이 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경제적 가치추구요인은 성별과 직업에 따라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여성이 남성보다 더 높았고 직업별로는 서비스직과 전업주부의 경제적 가치추구요인이 다른 직업에 비해 높았다. 충성적 가치추구요인은 학력과 거주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학력별로 볼 때 대졸 이상이 고졸 이하보다 더 높아 대졸 이상 학력자가 충성적 가치를 보다 더 추구하는 것을 보여주며 거주지 별로 보았을 때 신도시 집단이 가장 높았고 서울, 강북 거주자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구매 동기 중 심리적 동기는 성별과 연령에 따라서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여성이 남성보다 더 높아 여성의 심리적 의복구매동기가 남성보다 강한 것을 나타내며 연령별로 보았을 때에 54세 이하의 집단이 55세 이상의 집단보다 더 높았다. 연령이 낮은 경우 심리적 의복 구매 동기가 강한 것으로 보여진다. 의복결핍동기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인구통계학적 특성 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의복선택기준 중 사회심리적 측면에 있어서 연령에 따라서만 유의했는데 연령이 적을수록 사회심리적 측면에서 의복을 선택하는 경향이 높다는 것을 나타났다. 의복 선택 기준 중 경제적 측면과 실용적 측면 모두 성별에 따라서 유의했는데 여성이 남성보다 유의하게 높아 여성이 남성보다 경제적 측면을 고려하는 성향이 강한 것을 보여준다. 의복구매 시 정보원 중 개인내적 정보원은 인구통계학적 특성 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의류구매에 있어 대부분의 경우자신이 가진 기존의 정보를 여과 없이 활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개인 외적 정보원의 차이는 연령에 따라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54세 이하의 경우 55세 이상보다 높게 나타나 연령이 적을수록 외적 정보를 통해 의류 구매행동을 하는 성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의의 = 1 B. 연구의 목적 = 4 Ⅱ. 이론적 고찰 = 5 A. 뉴실버세대 = 6 B. 신체만족도 = 12 C. 패션혁신성 = 15 D. 위험지각 = 17 E. 자아존중감 = 19 F. 쇼핑성향 = 21 G. 의복구매행동 = 23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26 A. 연구 문제 = 26 B.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27 C. 측정도구 = 29 D. 자료 분석 방법 = 34 Ⅳ. 연구 결과 = 35 A. 뉴실버세대의 쇼핑성향, 의복구매행동 = 35 B. 온라인에서 의복구매 여부에 따른 뉴실버 소비자의 차이 = 41 C. 신체만족도, 패션혁신성, 위험지각, 자존감에 따른 쇼핑성향과 의복구매행동 = 44 D. 쇼핑성향에 따른 의복구매행동 = 53 Ⅴ. 결론 및 제언 = 67 A. 요약 및 결론 = 67 B. 마케팅 시사점 및 제언 = 72 참고문헌 = 74 부록 = 79 ABSTRACT =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307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뉴실버세대의 온라인 쇼핑과 쇼핑성향, 의복구매행동에 대한 탐색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research on online shopping and shopping behaviors of a new silver generation-
dc.creator.othernameKang, JinJu-
dc.format.pageⅶ, 9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학과-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