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승욱-
dc.contributor.author이소라-
dc.creator이소라-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59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59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7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7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760-
dc.description.abstract자동차, 택시, 항운 등 운수업은 국민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 공익사업으로 기업의 시장진입과 운영 및 퇴출, 요금결정 등 운수업 종사자의 근로조건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정책적 결정이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의해 결정되고, 관련 기업의 대부분이 영세한 중소기업이기 때문에, 특정기업이 업계의 근로조건을 선도하거나 기업 사정에 따라 근로조건을 차등화하기가 어렵다는 특성이 있다. 이는 개별 사업장에서 노사간의 합의만으로 근로조건을 확정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러한 운수업의 특성은 노사관계에도 영향을 미쳐 오랫동안 집단교섭의 관행이 축적되어 왔다. 2011년 7월부터 시작된 교섭창구단일화제도의 교섭단위는 ‘하나의 사업 또는 사업장’이 원칙이고, 단체교섭권 및 단체행동권 행사가 사업장 단위로 이루어질 것이 전제되어 있다. 교섭창구 단일화 제도는 기존 교섭관행이나 산업의 특수성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아 산업에 따라서는 제도의 순조로운 안착과 이를 통한 합리적 노사관계 형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측면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오랫동안 집단교섭 방식이 정착되어온 운수분야 중 특히 버스, 택시, 하역부문 종사자들의 근로조건 결정방식과 단체교섭 실태를 검토함으로써 운수분야 노사관계의 특수성을 파악하고, 둘째, 교섭창구 단일화 제도가 시행되면서 집단교섭과 관련하여 제기되는 문제들 및 제기될 수 있는 쟁점들에 대하여 단체교섭 당사자성, 개별교섭, 교섭단위, 집단교섭 방법, 쟁의행위 등으로 구분하여 학설 및 판례 등을 살펴봄으로써 현행 교섭창구 단일화 제도를 적용하는데 있어서의 한계지점 및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셋째, 운수업종의 근로조건 결정방식 및 교섭방식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노사관계가 형성될 수 있도록 교섭창구 단일화 제도의 개선방향 및 동 부문에 적합한 교섭방식에 대해 모색해보았다.;The transportation business such as automobile, taxi, harbor etc., provides public service that is closely related to the life of the people. Most companies in this industry are small or medium-sized, and the political decisions made by the central or local government - about its service charges, market entries, management or elimination of a company - hav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n the working conditions of its employees, and therefore, it is almost impossible for a particular company to play a leading role on its working conditions or provide differentiated working conditions according to its situation. Thus agreeing on working conditions of a single workplace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have become practically impossible and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industry have influenced labor-management relations for a long time and have become common practice in collective bargaining. Under the single bargaining channel system, taken effect from July, 2011, bargaining unit is limited to a single business or workplace, and the rights to bargain collectively and act collectively is required to be exercised on enterprise level. But because the new system does not give careful consideration to existing bargaining practices or industrial characteristics, it is hard to expect the new system to take root and establish rational labor-management relations in certain industries. And so in this article, the following research and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Firstly,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s of collective bargaining and the decision procedures of working conditions for employees in the transportation business where group bargaining is common practice - especially public bus, taxi and cargo-working sectors. Through this, understand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labor-management relations within the transportation business. Secondly, study theories and precedents on issues raised and those that are expected to be raised from enforcing the single bargaining channel system - itemized in interested parties of collective bargaining, bargaining in enterprise, bargaining unit, group bargaining procedures and industrial action - to review the limits and problems of the new system. Thirdly,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single bargaining channel system and appropriate bargaining method for the transportation industry considering its distinct characteristics so as to establish a rational labor-management relationship.-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서론 1 A.연구의 목적 1 B.연구의 구성 2 C.연구방법 3 II.운수분야의 단체교섭 실태 5 A.택시부문 교섭실태 5 1.단체교섭의 배경 5 가.택시운송사업제도 현황 5 나.업체 현황 7 다.종사자 현황 8 라.노사단체 현황 9 2.교섭창구 단일화 시행 전 단체교섭 실태 10 가.단체교섭의 구조 10 나.단체교섭의 당사자 14 다.단체교섭의 대상 15 라.단체협약 및 임금협약 16 마.집단교섭의 적합성 19 3.교섭창구 단일화 시행 후 단체교섭 실태 20 B.버스부문 교섭실태 21 1.단체교섭의 배경 21 가.버스운송사업제도 현황 21 나.업체 현황 22 다.종사자 현황 25 라.노사단체 현황 26 2.교섭창구 단일화 시행 전 단체교섭 실태 27 가.단체교섭의 구조 27 나.단체교섭의 당사자 29 다.단체교섭의 대상 30 라.단체협약 및 임금협약 32 마.집단교섭의 적합성 33 3.교섭창구 단일화 시행 후 단체교섭 실태 35 C.하역부문 교섭실태 36 1.단체교섭의 배경 36 가.하역부문 노동력공급체계 36 나.작업구조 36 다.하역요금 결정 37 라.업체현황 40 마.종사자 현황 41 바.노사단체 현황 43 2.교섭창구 단일화 시행 전 단체교섭 실태 44 가.항만하역부문 44 나.철도하역 부문 44 다.농수산물 하역 분야 45 3.교섭창구 단일화 시행 후 단체교섭 실태 45 III.교섭창구 단일화와 집단교섭 47 A. 교섭창구단일화제도의 취지 47 B.단체교섭 당사자성 48 1.초기업별 노조의 교섭창구 단일화 대상여부 48 2.산별노조 조직형태에 따른 교섭당사자성 50 가. 단위노조의 당사자성 50 나.지부·분회의 당사자성 51 다.연합단체의 당사자성 55 3.교섭권의 위임문제 57 4.설립신고 여부에 따른 교섭요구 노동조합으로서의 적격성 60 C. 개별교섭과 집단교섭 67 1.의의 63 2.개별교섭 동의대상 63 3.개별교섭 동의기간 65 4.개별교섭 동의의 효과 66 D.교섭단위와 집단교섭 67 E.집단교섭의 방법 70 1.교섭창구 단일화 이전 집단교섭 실시방법 70 2.교섭창구 단일화 이후 집단교섭 실시방법 72 가.교섭권 확보 72 나.집단교섭 요구 74 F.집단교섭과 쟁의행위 76 IV.운수업종에서의 집단교섭 모색 79 A.운수업종 단체교섭의 특성 79 1.외부적 제약요건 79 2.집단교섭의 특징 80 B.운수업종에서의 집단교섭 모색 82 1.교섭당사자성 인정기준 마련 82 2.단체교섭권의 행사범위 명확화 84 3.집단교섭방식이 가능한 제도설정의 필요성 85 3.공동교섭단위 설정의 필요성 89 V.결론 91 참고문헌 93 ABSTRACT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5668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운수업종 단체교섭실태와 교섭창구 단일화제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Actual Conditions of Collective Bargaining in the Transportation Business and the Single Bargaining Channel System-
dc.creator.othernameLee, So Ra-
dc.format.pagev, 9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법학과-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