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Lee Sukkon-
dc.contributor.authorOH, SAE A-
dc.creatorOH, SAE A-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53Z-
dc.date.issued1971-
dc.identifier.otherOAK-00000005934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76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9346-
dc.description.abstract20C 대표적 시인이자 비평가인 T. S .Eliot은 1915년 “J. Albred Piufiock연가” 및 1919년“전통과 개인의 재능”이란 평론으로 그의 시인이자 비평가로서의 생활을 시작했다. 정확한 학식을 구사하여 쓴 그이 시는 파격적이라고 할만큼 기교의 섬세함과 날카로운 관찰력을 보여 주고 있으나, 전통에 그 근거를 둔 평론은 보수적이라고 하겠다. 비단문학에 뿐만 아니라, 정치, 사회, 종교, 교육의 제문제에 이르기까지 그는 괄목할 만한 논지들을 제시하고 있는데 1928년 Andnew를 쓴 논문에서 “왕당원이자 고전주의자며 anglo-Cacholic"이라고 그 자신의 거취를 밝히므로써 이러한 점은 더욱 두드러진 셈이다. 그의 시는 그이 시이론을 뒷받침하고 그의 평론은 또 그 자신의 시를 정치적 혹은 사회적으로 옹호하고 있으므로 Eliot의 시와 평론은 Ransom이 평하고 있듯이 “마치 Jekyll과 Hyole처럼 조화의 완벽을 기하고 있다.” 고로 Eliot을 생각할 때 시인 혹은 비평가로 분리시켜 생각하기는 어려운 노릇이지만, 문인으로서의 원숙성을 더해 가면서 그자신 시보다도 정치, 종교, 교육에 대한 평론에 공을 들였으므로, 나는 이 논문에서 그의 비평이론 가운데 중요한, 그래서 많은 논쟁의 초점이 되고있는 화재를 뽑아 Eliot자신의 이론과 다른 중요한 비평가의 Comment를 비교 연구하여 그 진위를 가리므로써 비평가로서의 Eliot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첫 화제는 Eliot이 그가 주장하는 “역사의식”의 개념을 파악한 후, 실제로 Eliot이 자신이 제시한 나와 같은“역사의식”을 가지고 있는가에 따라서 결론을 내렸는데 그는 “historical critic"이라는 것이다. 두 번째 화제는 시에서의 작가의 감정문제 및 그 작용을 캐는 것이다. 감정이란 창작의 구성요서이긴 하지만 동시에 그것은 창작과정에서 최대한 배제되어야 할 성질을 띄고 있으므로 결국 시인은 창작과정에서 자신의 감정을 배제하는데 주력해야 한다는 결론을 얻고 있다. 세 번째 화제는 전통에 관해서이다. Eliot이 말하는 전통과 다른 비평가가 본 Eliot의 전통에 대한 개념을 비교 조사 한 끝에 전통이란 과거를 알아, 현재를 새롭게 한다는 역점을 지니고 있다는 것과, 전통이란 조화를 이루는 속에서 발전하는 성질을 띄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마지막 화제는 Eliot이 그의 후반에 유변한 관심을 보였던 종교에 관해서이다. Bablitt의 인문주의 및 Arnolold의 문화와의 비교에 시 얻어진 결론은, Eliot이 갖는 종교의 개념이란 이상적 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일종의 시금석이라는 것이다. 이와 같은 화제를 중심으로 살펴본 Eliot의 주요한 특징은 그가 전통을 존중한 비평가라는 것이다. 한 작가가 그의 창작과정에서 자신의 개인감정을 최대한 배제 할 수 있는 방편으로써 Eliot은 작가로 하여금 전통의식을 갖도록 했을뿐만 아니라 종교의 제의도 또한 전통을 보존하고, 보다 나은 전통을 세우기 위한 목적으로 주창했다는 것이다. 과거의 문화적 종교적 유산을 습득하고 동시에 이것을 생활의 제 습관에 투입시키므로써 전통은 보존되고 동시에 이상적 사회가 건설되리라고 Eliot은 믿고 있었다. 그리고 이 전통의식이 Eliot을 우리세대에 가장 위대한 평론가로 만들고 있는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CONTENTS = 0 Abstract = 0 Introduction = 1 Ⅰ. Historical Critic = 4 Ⅱ. Artistic Process = 10 Ⅲ. Tradition = 16 Ⅳ. Of Religion = 24 Conclusion = 32 Bibliography = 3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69418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dc.titleA Study of T. S. ELIOT as a Critic-
dc.typeMaster's Thesis-
dc.creator.othername오세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영문학과-
dc.date.awarded197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