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인성-
dc.contributor.author상윤진-
dc.creator상윤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44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44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58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7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586-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는 뉴 미디어 영상매체와 인터넷 등의 발달로 문자의 시대에서 이미지의 시대로 변화되고 있다. 무선인터넷과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기반이 확대되면서, 글로벌한 시대가 도래 하여 다양한 이미지가 끊임없이 대중에게 제공되고 있으며, 그 속에서 보이는 이미지들은 사회·문화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대인의 대부분은 자신이 닮고자 하는 스타나 유명인, 정치인의 패션과 이미지 등을 통해 자신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그들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대인들은 패션을 통해 자신의 계층과 지위를 나타내고자 하는 심리에서 비롯되어 자기보다 높은 계층에 있는 사람들을 모방하면서 그들과 동일시되고 싶은 심리적 현상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로열(Royal)이라는 특수 계층과 그들의 패션 및 라이프스타일에도 관심이 증가하여 로열 계층의 패션을 따라하는 트렌드가 생겨나고 있다. 이러한 로열 계층의 패션은 대중들에게 패션 스타일을 제공 할 뿐만 아니라, 패션 산업에서도 경제적으로 큰 이익을 창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로열 계층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사회·문화적 상황에 따른 로열 계층의 현황, 로열 계층 패션의 특징 및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국내·외 로열 계층의 패션 사진 자료를 수집 후 상황에 따라 나누어 그 특징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로열 계층의 패션을 모방하고자 하는 경제력이 있는 30∼40대 여성을 위한 로열 패션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로열에 대한 개념을 살펴본 결과 국내 로열 계층은 서구식 귀족문화를 바탕으로 재산이 신분을 구별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어 경제적 의미의 부유층인 재벌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고, 국외 로열 계층은 왕족과 귀족, 그리고 특정 사회에서 귀빈 대접을 받는 퍼스트 레이디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사람들은 계층 상승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과시적인 소비행동을 통해 다른 사람들과 구별되고자 하는 심리현상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을 바탕으로 로열 계층에 대한 관심은 로열 계층의 패션에도 영향을 미쳐 경제적 이익 창출로 이어지고 있다. 로열 계층의 패션을 따라함으로써 다른 사람과 구별된다고 생각하고, 자신을 특별한 존재로 인식하며 만족감을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로열 계층의 국내·외 공식적 상황에서의 사진 자료를 분석한 결과, 패션은 직선적인 느낌의 스트레이트 실루엣, H-라인 실루엣이 많이 나타났으며 컬러는 블랙, 화이트와 같은 무채색 계열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소재는 셋업 느낌의 수트에서 보여지는 스무스, 크리미한 소재가 많이 나타났으며, 재질감이 다른 소재를 믹스하여 고급스러움을 표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만찬회, 파티와 같은 상황에서 나타나는 드레스는 광택이 있는 실키한 소재로 나타났다. 로열 계층 패션의 차별을 나타내기 위해 절개선의 변형과 턱, 배색, 단추 장식을 사용하여 절제된 듯 하면서도 고급스러운 로열 계층만의 독특함을 표현하였다. 국내·외 비공식적 상황의 패션 사진 자료를 살펴본 결과 캐주얼한 패션을 바탕으로 스트레이트 실루엣, 피트 앤 플레어 실루엣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컬러는 공식적 상황에서와 같이 무채색 계열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무채색과 함께 코디할 수 있는 믹스 컬러와 비비드한 컬러를 포인트로 활용함을 알 수 있었다. 소재는 신축성이 있는 림프 소재와 코지한 느낌의 니트 소재가 나타났으며, 플레인한 느낌의 코튼 소재도 많이 보였다. 캐주얼한 일상생활에서 탭/스트랩/버클 장식을 활용한 트렌치코트가 많이 보였다. 따라서 로열 계층의 패션은 기본에서 변형되어 평범해 보이지만 독특한 차별화를 주어 절제된 모습으로 고급스러움을 표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Neo Royal Classic’라는 컨셉 아래, 국내·외 로열 계층 패션의 스타일 분석 결과와 2012 F/W 트렌드를 반영하여 뮤즈 및 상황 설정에 적합한 5벌의 로열 패션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오피셜한 상황에 맞는 공식 디자인 3벌과 캐주얼한 상황에 맞는 비공식 디자인 2벌로 나누어 디자인하여 로열 계층을 모방하고자 하는 상황에 따른 다양한 디자인을 제안 하였다. 이상으로 로열 계층의 패션 요소를 바탕으로 고감도의 차별화된 로열 패션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이에 따라 로열 계층의 패션 분석을 통해 로열 계층의 패션을 모방하고자 하는 30∼40대 여성 소비자들의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패션 마켓 산업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The 21st century is changing from an era of words to an era of images through new media video image and internet development. As the wireless internet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 base grows, the global era arrived and a variety of images are provided unendingly to the public, and the images inside them have a societal and cultural impact. Most modern humans are in the state where they choose the image of a celebrity, famous figure, or political figure to express themselves in fashion and image. There is also a trend where, originating from the psychology that shows one’s rank and status through fashion, people imitate those who are of higher rank than they are to become like them, and imitate the special Royal status with interest in their fashion and lifestyle to follow the Royal’s fashion. This Royal rank fashion not only provides fashion style to the general public, but also creates an economic large profit in the fashion industry. In this research, the concept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oyals will be corrected, and the status of royals’ cultural and societal situations and the royals’ fashion characteristics and effects were studied. Also, fashion photo data about domestic and international royals were collected, a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ituation was categorized and analyzed. The results were used as a basis to develop a royal fashion design for economic women in their 30s and 40s that want to imitate the royals’ fashion. As a result, we achiev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fter studying the concept of royalty, we wer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concept of domestic royalty was based on a Western royal culture as background, and money was an important basis on differentiating culture, so they represented the upper class conglomerate. International royals were considered as kings and nobles, and First Ladies who are treated as royalty in special societies. Second, people want to improve their rank, and we were able to learn that they try to distinct themselves from others through conspicuous consumption. With this as basis, the interest in royalty creates an economic profit because it affects the fashion of the royalty. They believe they become different from others by mimicking royalty fashion, and were satisfied by seeing themselves as a special existence. Third, after the analysis of photos of formal situation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oyalty, their fashion included mostly of a straight silhouette with a straightforward feeling, an H-line silhouette, and achromatic colors such as white and black were the most frequent. The materials that showed up the most often were smooth, creamy materials used in a suit of a set up feeling, and we understood that materials with different quality were mixed to express luxuriousness. Dresses used in banquets and parties were silky material of the glossy kind. They used a different cut line, and used chin, color and button decorates to differentiate the royalty fashion, and expressed the characteristics of royalty even though it looked moderate. After studying the fashion photo data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formal, we were able to understand that there were many straight silhouettes and fit and flare silhouettes based on a casual fashion. As with formal situations, achromatic colors showed the most, and points were given by mix colors and vivid colors that could be styled with achromatic tones. Limp materials that were elastic and knit materials that were cozy appeared, and plain cotton material appeared often as well. During a casual everyday life, tap/strap/buckle decorated trench coats appeared often. Therefore, royal fashion modifies the basic to give a plain but special difference that expresses a moderate luxuriousness. Fourth, based on the above results, under the ‘Neo Royal Classic’ concept, domestic and international royal fashion style results and the 2012 F/W trend was reflected to suggest five royal fashion designs that were appropriate for muse and situation setups. A variety of designs depending on situation was suggested to imitate the royalty, with 3 formal designs that suit official situations, and 2 informal designs for casual situations. We developed a sensitively different royal fashion design that was based on royal fashion elements according to above studies. We wanted to suggest a variety of fashion market industry development direction that could satisfy the needs of women consumers in 30s and 40s who want to imitate royal fashion through analyzing royal fash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목적 및 의의 1 B.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Ⅱ.이론적 고찰 7 A.로열 계층에 관한 고찰 7 1.로열 계층의 개념 7 2.로열 계층의 현황 9 B.로열 계층 패션에 관한 고찰 14 1.로열 계층 패션의 특징 14 2.로열 계층 패션의 영향 16 Ⅲ.로열 계층 패션 스타일 분석 22 A.국내 로열 계층 분석 31 1.국내 재벌가 31 2.로열 계층 드라마 33 B.국외 로열 계층 분석 36 1.케이트 미들턴 37 2.미셸 오바마 39 3.카를라 브루니 41 C.국내.외 로열 계층 패션 분석 43 1.실루엣 43 2.컬러 53 3.소재 62 4.디테일 및 트리밍 73 D.종합 결과 및 논의 94 Ⅳ.디자인 개발 98 A.디자인 의도 및 제작 방법 98 1.컨셉 99 2.타깃 101 3.뮤즈 102 4.이미지 포지셔닝 103 5.컬러 104 6.소재 106 7.참고 치수 107 8.작품 구성 108 B.디자인 개발 109 1.디자인 Ⅰ 109 2.디자인 Ⅱ 116 3.디자인 Ⅲ 123 4.디자인 Ⅳ 130 5.디자인 Ⅴ 136 Ⅴ.결론 및 제언 145 참고문헌 148 Abstract 1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69676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로열 계층 패션 스타일 분석 및 디자인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alysis of The Royal Class Fashion Style and Design Development-
dc.creator.othernameSang, Yoon Jin-
dc.format.pagexvii, 15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학과-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