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태-
dc.contributor.author김미수-
dc.creator김미수-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23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23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32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7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328-
dc.description.abstractMost of people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and recognition disorders are mainly using visual symbols to communicate with others, but they need continuous training to understand the meanings that the symbols have. It is not as easy as the case of nouns that people with communication disorder understand the meanings of action words with using static visual symbols. In conjunction with it, the recent researches emphasize the effects of the animations on learning action word symbols, because animations are more effective than static visual symb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hat is the more effective learning method between the animation and video on learning action symbols. Four preschoolers with language disorder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This study used a single subject alternating treatments design to compare the effect of animation and video on learning action word symbols. There had been experiments through three times for baseline, ten times for intervention, three times for communicator generalization, and three times stimulus generalization. The AAC tool adopted for this study is ‘My Talkie’, based on the tablet PC, Giga Byte S1080. 20 frequently-used visual symbols of action words in ‘My Talkie’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are Set A and Set B. With utilizing the images from ‘My Talkie’, the animation produced and provided to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For gesture video, visual symbols of action words were selected and re-recorded by the experimentor for this study. To evaluate how much understanding action word symbols at the stage of base line, intervention, and generalization experimentor recorded results which were scored as 1 point for correct responses and 0 point for incorrect responses on the evaluation sheet. At the stage of intervention, the study adopted to terminate the experiment, when the animation and video show correct response during the three times sessions, before total ten tim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tudy showed that all participants increased intelligibility score of action word symbols through animation and video at the stage of base line. Three participants out of four participants showed that video was more effective than animation. Secondly, at the stage of communicator generalization all participants decreased intelligibility score of action word symbols which were trained through animation and video. It means that all the participants felt so difficult using action word symbols to communicate with other communicators. Thirdly, at the stage of stimulus generalization, all participants decreased intelligibility score of action word symbols which were trained through animation and video. it means that all the participants felt so difficult using action word symbols about general stimulus. Finally, at the stage of maintenance, two participants out of four participants remembered all action word symbols. However, one participant didn't want to evaluate intelligibility score of action word symbols after one section. The other participant decreased intelligibility score of action word symbols which were trained through animation and video at the stage of maintenanc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both animation and video were effective for learning on action word symbols. Moreover, the video was more effective than animation for learning on action word symbols. all participants felt uncomfortable with the ability of understanding for both communication generalization and stimulus generalization.;의사소통 보조 테크놀로지인 AAC는 의사소통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조금 더 효과적으로 타인과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러나 AAC 도구 하나만으로 숙련된 의사 소통자가 될 수는 없다. AAC 도구를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자신에게 알 맞는 AAC 도구를 선택해야 하고, 그 도구의 기법을 익혀 원활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전략을 세워야 한다. 또한 AAC 체계의 상징에 대하여 학습하여야 한다. 인지나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보이는 사람들은 대부분 그림 상징을 주로 사용하게 되는데 그림 상징에 대한 이해 능력은 시간과 경험에 따라 발달한다. 따라서 그림 상징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훈련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아동들은 한 낱말 단계에서 사용하는 명사 상징의 경우, AAC 그림 상징만으로도 의미를 이해 할 수 있다. 그러나 고정되어 있는 AAC 그림 상징을 이용하여 동작어 상징에 내포된 움직임의 의미를 인식하는 것은 명사만큼 쉽지는 않다. 따라서 최근 연구들에서는 애니메이션을 이용하여 동작어를 역동적으로 학습하게 되면 고정된 AAC 자체의 그림 상징만으로 동작어를 학습하는 것보다 동작어 상징 의미 이해에 더욱 효과적이라는 것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논문에서 주로 실시하였던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동작어 학습 효과 증명에서 더 나아가 애니메이션과 제스처 영상 두 가지 동작어 상징 학습 간에 효과를 비교하여 조금 더 효과적인 동작어 상징 학습 방법을 찾고자 한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 아동은 구어로는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보이는 학령전기 언어발달장애 아동 4명이다. 실험 설계는 교대중재설계로 두 가지 중재를 교대로 실시하였으며, 기초선, 중재, 일반화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평가 도구로 사용된 AAC는 2011년 QoLT에서 제작된 마이토키(가칭) 프로그램이 설치된 tablet PC인 GIGA BYTE S1080이다. 훈련 동작어 20개는 마이토키 프로그램에 있는 고빈도 동작어로 선정하였으며 10개씩 Set A와 Set B로 나누었다. 이 때 동작어 상징 학습에 사용된 애니메이션은 마이토키 프로그램에 있는 훈련 동작어의 그림 상징을 이용하여 5-8컷의 그림을 그린 후 연결하여 움직임이 자연스러운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였다. 또한 동작어 상징 학습 시 사용된 제스처 영상은 직접 연구자가 선정한 훈련 동작어를 제스처로 표현하여 비디오카메라로 녹화하였다. 기초선 단계에서는 4명의 대상 아동에게 Set A와 Set B의 동작어 총 20개에 대한 이해여부를 묻는 평가를 수행하였고, 점수가 안정 될 때까지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중재 단계는 20회기동안 실시하였고, 평가와 훈련으로 구성되었다. 중재 단계에서의 평가는 중재 단계 훈련에 들어가기 전에 시행하였고, 기초선 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중재 단계에서의 훈련의 경우, 애니메이션을 통한 동작어 상징 훈련과 제스처 영상을 통한 동작어 상징 훈련을 1회기씩 교대로 시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일반화 단계에서는 의사소통 대상자를 달리하는 대상 일반화와 자극 제시 방법을 달리하는 자극 일반화를 진행하여 동작어 상징 이해를 평가하였다. 기초선 단계, 중재 단계의 평가, 일반화 단계에서 모두 동작어 상징의 이해를 평가 할 때, 준비된 평가지에 정반응과 오반응을 기록하였다. 이 때, 정반응을 한 경우 1점으로 하며, 오반응을 한 경우에는 0점으로 처리하였다. 중재 단계에서는 10회기 이전에 두 과제(제스처 영상/ 애니메이션) 모두에서 3회기 동안 모두 정반응을 보인 경우, 조기에 중재를 중단하는 종료 준거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 아동 네 명 모두 애니메이션으로 훈련 하였을 때와 제스처 영상으로 훈련 하였을 때 기초선 단계에 비해 동작어 상징의 이해 정도가 많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대상 아동 네 명중 세 명(대상 아동1, 2, 3)은 제스처 영상으로 훈련했을 때가 애니메이션으로 훈련했을 때보다 더 높은 증가 추세를 나타냈다. 즉, 제스처가 애니메이션보다 더 뚜렷하게 중재 효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평소 그림 카드를 의사소통 도구로 종종 사용했던 대상 아동 1의 경우, 나머지 대상 아동 3명(대상 아동 2, 3, 4)과 달리 두 중재 방법 중 애니메이션으로 훈련했을 때가 제스처 영상으로 훈련했을 때보다 동작어 상징 이해 학습에 더 뚜렷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둘째, 대상 일반화 단계에서는 대상 아동 네 명 모두 중재 단계에 비하여 동작어 이해 능력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대상 아동들이 학습한 동작어 상징에 대한 대상 일반화를 어려워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두 중재 방법 모두 기초선 단계보다는 대상 일반화 단계에서 향상을 보였다. 두 중재(애니메이션/ 제스처 영상) 간 대상 일반화를 비교해 본 결과, 중재 단계와 동일하게 대상 아동 네 명중 세 명(대상 아동 2, 3, 4)은 대상 일반화에서 제스처 영상이 애니메이션보다 더 높은 동작어 상징 이해를 보여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상 아동 1은 대상 일반화에서도 제스처 영상보다 애니메이션에서 더 높은 동작어 상징 이해를 보였다. 셋째, 자극 제시 방법 일반화 단계에서도 대상 아동 네 명 모두 중재 단계에 비하여 동작어 이해 능력이 조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대상 아동들이 학습한 동작어 상징에 대한 자극 일반화를 어려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두 중재 방법 모두 기초선 단계보다는 자극 일반화 단계에서 향상을 보였다. 두 중재(애니메이션/ 제스처 영상) 간 자극 일반화를 비교해 본 결과, 대상 아동 1을 포함한 대상 아동 네 명 모두 제스처 영상이 애니메이션보다 더 높은 동작어 상징 이해를 보여준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정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애니메이션과 제스처 모두 동작어 상징 이해 능력을 향상시키며 그 중 제스처 영상이 애니메이션보다 더 효과적으로 동작어 상징의 이해를 도와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의 모든 대상 아동들은 동작어 상징 이해에 대한 대상 일반화와 자극 일반화에 어려움을 보였음으로 동작어 상징을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할 때는 의사소통 대상자와 자극 제시 방법에 관한 고려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그 동안의 선행 연구들은 고정된 동작어 그림 상징 학습의 애니메이션 효과 연구에 국한되어 있거나 정상 아동을 대상으로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Tablet PC 기반의 AAC를 사용하고자하는 언어 발달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애니메이션뿐만 아니라 제스처 영상의 동작어 상징 학습 효과를 비교 분석하고, 나아가 대상 일반화와 자극 일반화까지 살펴보았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용어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7 A. 보완 대체 의사소통(AAC) 7 B. AAC의 상징 8 C. AAC 그림 상징의 애니메이션 효과 12 Ⅲ. 연구 방법 14 A. 연구대상 14 B. 실험도구 16 C. 실험설계 및 절차 22 D. 자료 수집 및 측정 26 E. 관찰자간 신뢰도 27 F. 중재 충실도 28 G. 사회적 타당도 28 Ⅳ. 연구 결과 29 A. 애니메이션과 제스처 영상으로 훈련한 동작어 상징 이해 점수 비교 29 B. 애니메이션과 제스처 영상으로 훈련한 동작어 상징 이해 간에 일반화 차이 비교 36 C. 애니메이션과 제스처 영상으로 훈련한 동작어 상징의 이해 간에 유지 차이 비교 42 Ⅴ. 결론 및 논의 45 A. 결론 및 논의 45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50 참고문헌 51 부록 55 Abstract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256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애니메이션과 제스처 영상을 이용한 AAC 동작어 상징 학습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Animation and Video on Learning Action word symbols of AAC-
dc.creator.othernameKim, Mi Soo-
dc.format.pagexi, 6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