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민경-
dc.contributor.author정수지-
dc.creator정수지-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21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28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7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283-
dc.description.abstract2000년 1월 영재교육진흥법이 제정되고 2002년 4월 영재교육진흥법 시행령이 공포·시행됨에 따라 법적 제도적 장치를 갖추게 되었다. 현재 영재교육을 받을 수 있는 곳은 일반학교 내 영재학급, 교육청 산하의 영재교육원, 사설 영재교육 센터 등이며 영재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는 점차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영재교육을 받을 수 있다고 하더라도 영재교육을 하는 기관에 따라 영재교육 목표, 프로그램, 교육과정, 영재 교사 등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질에는 차이가 있다. 이를 위해 이제는 영재교육에 있어서 양적 성장과 더불어 질적인 성장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현재 A 교육청 영재교육원에서 실시 중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기존의 ‘수학 영재교육 프로그램 평가 틀’을 수정·보완하여 평가함으로써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개선과 질적 향상을 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수학 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내용영역을 영재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영역별로 살펴보고 프로그램의 해당 영역을 영재 담당교사와 함께 논의하여 결정하였으며 수학 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기존의 평가 틀을 수정ㆍ보완하여 수정된 평가 틀을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평가해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서울시 A 교육청 영재교육원의 수학 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교육 목표는 영재교육의 목표에 부합하는가? 2. 서울시 A 교육청 영재교육원의 수학 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내용은 영재교육의 특성을 반영하는가? 가. 영재교육과정 중에서 심화와 선택 중 어느 영역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인가? 나. 내용영역이 적절하게 편성되어 운영되고 있는가? 다.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학년별 특징은 무엇인가? 3. 서울시 A 교육청 영재교육원의 수학 영재 교수-학습 모형과 방법은 주제에 따라 적절하게 활용되는가? 4. 서울시 A 교육청 영재교육원의 수학 영재 프로그램의 평가는 학습목표 및 실제 운영과의 적합성을 포함하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바탕으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수학 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목표는 대체적으로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었으나 인지적 탐구과정의 학습 목표는 명확한데 반하여 정의적인 학습 목표는 명시되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영재교육의 목표에 적합하게 차별화 되어 있었고, 대부분 성취 가능한 목표로 이루어져 있었다. 둘째, 수학 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내용영역의 편성은 영재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심화 영역과 선택 영역 중에서 심화 영역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구성된 부분이 더 많았다. 주제에 따른 내용영역으로 살펴보면 수와 연산, 도형, 측정, 확률과 통계, 규칙성과 문제해결의 5개 영역으로 나눌 수 있으며 주로 수와 연산, 도형, 규칙성과 문제해결 영역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학년별 특징을 살펴보면 4학년은 도형, 5학년은 수와 연산, 규칙성과 문제해결, 6학년은 도형에 대한 부분이 중심이 되는 프로젝트로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수학 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내용에 대한 평가지표는 총 17개로 제시되어 있으며, 평가항목 중 가장 많은 평가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수학지식의 내용 특성에서 심화 영역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구성된 부분이 많았고 수준별/개별화를 위한 개방적 활동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있었고, 최신 연구 내용이 고르게 반영되어 제시되어 있었다. 수학적 사고는 모든 사고 전략을 고르게 사용하도록 되어 있었고 모든 프로그램에서 문제해결에 대한 평가지표를 만족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창의적 사고와 수학적 태도는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적절하거나 보통으로 평가되었으며, 인성/가치 함양에 대한 평가지표는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은 프로그램이 있었다. 참고서적은 명확하게 제시된 프로그램이 없었으나 자료의 제시는 구체적이고 적절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셋째, 수학 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에서 수업은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성격에 맞게 교사들이 적절하게 가르치고 있었으나 주로 문제중심학습, 협동학습으로 수업을 하고 있었다. 학생들도 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며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고 있었다. 넷째, 수학 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평가에 대한 내용은 분명하게 제시되었고, 평가의 내용과 형태가 프로그램의 목표와 실제 운영과 적합하게 운영되었으며 지필평가보다는 수행평가를 활용한 평가로 이루어지고 있었다.;As the Act on the Promotion of Specific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was enacted in January 2000, followed by the Enforcement Decree for the Act on the Promotion of Specific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in April 2004, legal and systematic measures were designed for the education for the gifted children. Currently, with more gifted cluster classes created within the general schools, and with a growing number of gifted education centers and private centers for gifted education under the central/ regional Offices of Education, we have more windows of opportunities for gifted education. In spite of all these quantitative expansions, the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gifted - including the objectives, programs, curriculums, teachers which all differs depending on its institutions - come out with different qualities. In this context, discussions on the development of gifted education not only in its size but also in its quality is critic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quality of gifted education programs by revising and upgrading the existing ‘Program Module of Education for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which is presently implemented by Gifted Education Center A under the Office of Education. To this end, the contents of the teaching-learning programs for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in the elementary schools were examined in terms of the individual subjects provided through the courses of gifted education programs. The relevant parts of the program to be subject to this study were decided through the discussions with teachers belonging to professional gifted education, and the program was evaluated based on the revised version of the existing module. The focus of the analysis was; 1. Does the objective of the teaching-learning programs for mathematically gifted, conducted by the Gifted Education Center A under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fit for the objective of gifted education? 2. Does the teaching-learning programs for mathematically gifted, conducted by the Gifted Education Center A under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reflect the distinct features of the gifted education? (ⅰ) Among the advanced part and the selective part of the gifted educational program, which part was more included in the teaching-learning programs for mathematically gifted? (ⅱ) Were the contents properly organized and implemented? (ⅲ) What are the differences of the teaching-learning program from grade to grade? 3. Were the module and method of the teaching-learning programs for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implemented by the Gifted Education Center A under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properly utilized in terms of the subjects? 4. Is the evaluation of the teaching-learning programs for mathematically gifted, conducted by the Gifted Education Center A under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uitable for the educational objectives and for the real oper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teaching-learning program did fit the objectives of gifted objectives, and cognitive and definitional exploration processes were distinctly presented.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cognitive exploration processes were clear, whereas those of definitional objectives were partly not. Second, among the advanced part and the selective part, which are the two parts defined in the gifted educational program, the teaching-learning program organized by the Gifted Education Center A consisted more of the advanced parts rather than of the selective parts. Based on subjects, the contents were divided into numbers and calculation, shapes, measurement, regularity and problem solving parts, and they were mainly consisted of numbers and calculation, shapes, regularity and problem solving. In terms of the specific areas dealt with based on grade, fourth grade classes were focusing on identifying shapes, whereas the fifth graders in numbers and calculation, and the sixth grade students on shapes.. Third, the teachers in the teaching-learning program for the gifted were adequately instructing their students, but the programs were focusing on problem-based learning and cooperative learning. The students in this program were also playing a leading role in the learning process. Fourth, the contents of evaluation were clearly presented. The contents and forms of evaluation were suitable for the objectives of the program, and the evaluation was conducted through performance assessment rather than through paper and pencil tes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2 C. 연구 방법 3 D.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5 A. 영재의 기초 5 1. 수학 영재성의 정의 5 2. 수학 영재의 특성 7 B. 영재교육 프로그램 11 1.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원칙 11 2. 수학 영재 프로그램의 유형 13 C.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평가 15 1. 영재교육 프로그램 평가 목표 15 2. 영재교육 프로그램 평가 목적 17 3. 영재교육 프로그램 평가 모형 18 D. 선행 연구 고찰 21 Ⅲ. 연구 방법 23 A. 연구 대상 23 B. 연구 도구 23 1. 수학 영재교육과정 23 2. 수학 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 평가 틀 25 3. 수학 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 평가 기준 28 C. 연구 절차 31 D. 자료 분석 32 1. 수학 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 내용영역 32 2. 수학 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 평가 32 Ⅳ. 연구 결과 34 A. 프로그램의 목표 34 B. 프로그램의 내용 36 C. 교수-학습 방법 48 D. 프로그램 평가 50 E. 종합 평가 51 Ⅴ. 결론 및 제언 53 참고문헌 56 부록목차 59 ABSTRACT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445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초등 수학 영재 프로그램 평가-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시 A 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Evaluation of The Gifted Education Program for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in The Elementary Schools-
dc.creator.othernameJeong, Soo Ji-
dc.format.pageviii, 8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재교육협동과정-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재교육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