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6 Download: 0

시 텍스트 의미 경험 교육 연구

Title
시 텍스트 의미 경험 교육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The Experience of Sense of Poetry Text in Poetry Education
Authors
이은홍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정우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의미에 대한 민감한 인식을 보이는 김춘수의 시를 중심으로 시 텍스트 의미 경험 교육의 구체적인 교육 내용 및 과정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경험의 대상이 되는 시의 의미를 학습자와 분리된 객관적인 실체가 아니라 학습자가 경험함으로써만 알 수 있는 것으로 개념화함으로써 시 텍스트 의미 경험의 특수성을 분명히 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시 교육의 장에서 지속적으로 시 경험의 필요성이 논의되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시의 의미가 고정된 의미로 전달되거나, 시적 언어의 특수성이 시 경험의 대상으로 자리 잡지 못했기 때문에 시 경험이 학습자의 삶과 유기적인 관련을 맺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기존 시 경험 교육의 한계점을 반성하고 시 경험이 시 교육의 내용으로 체계화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시적 언어를 직접 겪음으로써 시에 대한 인식을 확장해 나가는 방향으로 시 교육의 장에서 시 경험이 구체화될 필요가 있다. Ⅱ장에서는 시 교육의 의미 경험을 논의하기 위한 이론적 전제를 밝힌다. 시적 언어의 뜻을 확정하는 데에 주력한 뜻 중심 시 교육은 학습자의 능동적인 시 이해를 강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학습자가 시적 언어의 특수성을 직접 겪는 의미 경험의 위상을 갖추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뜻 중심 시 교육에 대한 반성으로부터 시 경험은 학습자가 시와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산문으로 환원될 때 사라지는 시의 의미를 경험하고, 새로운 의미가 형성될 수 있는 무한한 언어의 가능성에 대해 인식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 때 시의 의미는 확정되거나 고정될 때는 경험되기 어려운 유동성을 지니고 있는데, 이러한 의미의 역동성은 ‘방향성을 띤 의미(sense as direction)’로 재개념화될 수 있다. 또한 시 텍스트 의미 경험이 경험의 지속성을 강조하는 관점에서 시와 학습자 사이의 상호작용 과정으로 구체화되고, 확정성을 지향하는 일상 언어에 대한 비판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문화적 실천 행위의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Ⅲ장에서는 시 텍스트 의미 경험의 개념을 바탕으로 ‘뜻 중심의 의미 경험’과 ‘무의미 중심의 의미 경험’의 교육 내용을 마련하였다. 뜻 중심의 시에서 시적 명명의 뜻을 밝히거나, 언어의 한계성에 대한 관념적인 주제를 파악하는 과정 이외에도 학습자는 의미화 방식과 상호작용하면서 뜻으로 확정될 수 없는 유동적인 의미를 경험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는 시 교육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자신의 시 경험을 교사나 또래 학습자와 공유하는 즐거움을 느끼고, 방향성을 띤 시의 의미를 민감하게 경험하는 과정을 겪을 필요가 있다. 한편 무의미 중심의 시는 뜻으로 확정되기 어렵기 때문에 지금까지 시 교육의 장에서 축소·배제되어 왔지만, 학습자는 무의미 중심의 시를 통해서 ‘방향성을 띤 의미’를 적극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서술적 이미지를 통해서 정해진 관념을 정해진 방식으로 재현하는 고정적인 언어 사용에서 벗어나서, 수렴과 발산의 과정으로서 새로운 의미를 생성하는 시적 언어가 시 경험 교육의 내용으로 제시될 수 있다. 또한 학습자는 내용과 제목 사이의 간극이 큰 시를 통해서 제목이 내용을 지시하기 때문에 내용과 제목을 하나의 뜻으로 수렴하는 것이 아니라 내용과 제목이 의미 생성을 위해서 동시적으로 작용하는 과정을 통해 그 사이에서 사물에 대한 인식을 확장하는 시적 언어를 경험해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준언어적 형식이 사용된 시를 통해서 학습자는 대상을 실재하게 하는 일상 언어와 달리 언어를 해체하고 재구성함으로써 대상의 확정성을 비판하는 시적 언어와 상호작용해 보는 기회를 갖는다. Ⅳ장에서는 시 텍스트 의미 경험 교육의 목표와 과정을 설계하고자 한다. 시 텍스트 의미 경험 교육을 통해서 시 교육에서 가능한 경험 영역을 확장하고, 방향성을 띤 의미에 대한 민감성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이를 위해서는 첫째, 학습자는 일상 언어와 질적으로 다른 시적 언어를 경험하면서 의문 형태의 시적 의미를 생산한다. 둘째, 학습자는 시적 의미를 기술(description)로 환원하기 전과 후를 비교함으로써 시적 의미의 환원 불가능성을 인식한다. 셋째, 학습자가 일상 언어의 소통 방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왜 시로서 표현해야 했는가하는 시와 세계 간의 관계성을 인식하는 과정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시 교육의 교육 내용으로서 경험 논의가 확산되고, 시 경험이 학습자의 삶에 유의미하게 통합될 수 있는 교육적 실천이 뒷받침되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specific educational contents or processes of ‘The Experience of Sense of Poetry text in Poetry Education’ through the poetry written by Kim ChunSoo(김춘수) as a main object which readily shows the sensitive awareness of sense. The sense of poetry text as an experiential object, which is not segregated as an objectional form but is known by personal experience, would be conceptualized to make its distinct characteristics clear through this study. Although the necessity of poetry experience was carried on till now, it could not be eventually related to the lives of learners because the sense was transferred as an fixed meaning not involved in learners’ experiences or because its distinct feature could not be placed as an experiential object. Therefore, it is needed to take concrete shape to a concept of senses derived from only learner's experiences in the direction of expanding its awareness: experiencing poetic language which cannot be repetitive or returned. On the second chapter, the recent poetry education with meaning central would be turned out to be excluded and the experience to learn meanings in poem would be reconceptualized in sense as direction. For these, the commonly used meaning in poetry education might be analyzed and the idea of 'sense as the direction', which is usually vanished when it is repetitive or returned, would be introduced. On the third chapter, based on the poetry experience, the educational contents with meaning central poetry or with non-sense central poetry were presented. Leaners can realize the fluxional sense not to set it in concrete by interacting the style of poetry text in meaning central poetry text. Since non-sense central poetry is not determined by meanings of each words in its context, it has been minimized or excluded in an educational field to this day. However, they can also experience a sense as direction from the non-sense central poetry. On the forth chapter, it would design the purpose and the process of the experience of sense in poetry text in poetry education. It also expanded learners' experience area in poetry education and purposed to develope susceptibility about sense as direction. First, they produced interrogative form of sense of poetry text to experience poetic language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common language. Second, learners realized the impossibility of returning of poetic meaning by comparing before and after returning description. Third, a process of recognition would be explained in a relation between poetry and the world as why learners have to express by poetry even though it can be expressed by communication method of common language. Through this study, the discussion of poetry experience in poetry education should spread out and it is looking forward to put in an action to meaningfully apply in learners’ lives. [Keywords] Literary Experience, Experience of Sense in poem, Meaning, Nonsense, Fluxional Sense, Infinite Sense, Impossibility of Return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