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영옥-
dc.contributor.author장예진-
dc.creator장예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03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03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35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7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35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공간정보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 통합적 데이터 모델의 수립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데이터 모델은 지형지물의 선형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위상구조를 가지며 또한 도로정보와 주소정보 및 각종 구역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데이터 모델에 관련된 연구를 검토하고, 데이터 모델 설계 절차에 대해 조사·분석하였다. 또한 데이터 모델에 포함할 정보가 현재 어떠한 데이터로 구축되어 있으며 그 구조가 어떠한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도로정보와 주소정보, 각종 구역정보를 모두 포함한 위상구조 데이터인 미국의 TIGER/Line shapefile 분석을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시사점을 바탕으로 개체-관계 모델을 적용하여 도로정보와 주소정보, 각종 구역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데이터 모델의 개념적 설계를 하였다. 그 후 데이터를 시범적으로 구축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제안한 데이터 모델을 적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면 도로정보와 주소정보, 각종 구역정보의 확인이 가능하다. 그 이유는 제안한 데이터 모델은 지형지물 등의 선형 데이터를 기반으로 위상구조를 가지며 도로 정보와 주소정보, 각종 구역 정보를 모두 포함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각 데이터들은 고유 식별자를 통해 연결이 가능하다. 둘째, 선 데이터에 반영해야 하는 피처들의 선정은 국가기초구역의 경계선의 변경과 함께 달라질 수 있다. 이 데이터 모델의 선 데이터에 반영되는 지적선과 능선 데이터는 불필요한 데이터의 생성방지를 위해 전체를 사용하여 선 데이터를 구축하는 것보다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구축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따라서 이 데이터 모델은 지적선과 능선 데이터를 포함하지만 선 데이터에는 국가기초구역의 경계선으로 사용된 지적선과 능선 데이터의 일부만을 반영한다. 이는 국가기초구역의 경계가 변경되면 지적선과 능선 데이터에서 변경된 피처를 선정하여 선 데이터에 반영해야함을 의미한다. 셋째, 우리나라의 도로명주소가 가진 특성으로 인해 주소 범위 데이터의 생성 시에 부번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도로명주소는 도로의 종속구간에는 부번을 부여하고 그 중 막다른 길에서는 좌우의 구분 없이 순차적으로 부번을 부여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부번이 부여된 주소에서는 도로의 방향과 상관없이 주소범위의 시작과 끝 번호가 모두 홀수 또는 짝수일 수 있다. 이는 이 데이터 모델에서 주소범위와 관련된 데이터가 부번을 고려해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각종 데이터들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면 각 데이터간의 호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업, 민간, 학교 등 다양한 곳에서 표준화된 국가공간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정보, 주소 정보, 각종 구역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데 기반이 되는 개념적 데이터 모델을 설계하고 이를 적용하여 데이터를 시범 구축하고 결과를 분석함으로서 실제 데이터 구축 시 고려할 사항을 도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현재 제안한 데이터 모델의 설계는 개념적 설계이므로 완성된 시스템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물리적 설계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한다. 또한 제안한 모델은 각종 정보를 포함하는 위상구조를 가진 데이터 모델의 초기연구의 결과물로 기본적인 지형지물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현재 포함한 지형지물을 세분화하거나 다른 정보들을 추가하여 데이터 모델을 보완하는 연구가 진행되면 더 다양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he aim of this study is suggesting a way to construct integrated data model for building database which could be employed in diverse area as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liner data of physical features, primary characteristics of this data model is to have topological structures and contain information of roads, address, several districts like election, police, etc. In order to establish data model, earlier studies related to data model have been investigated and the procedure of constructing data model has been analyzed. Furthermore these data which would be included in data model were examined in a point of type and structure. From analyzing TIGER/Line shapefile of the U.S. containing not only topological data but also information of roads, address and several districts, some implications have been drawn. The data model of this study designs considering those implications and applied E-R model. By developing a conceptual data model that contains information of roads, address and several kinds of districts, pilot data have been constructed and then the result has been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o construct database from adopting data model as proposed in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check information of roads, address, districts. It is because this data model is planned to be based on liner data which has topological structure and contains diverse information. Each datum is able to connect by unique identifier. Second, to select liner data from physical features, it might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national basic districts. To prevent useless data, using part of liner data from physical features instead of using all data is more efficient. Therefore, this data model contains land boundaries and ridge data but liner data includes only land boundaries and ridge which was used for boundaries of national basic districts. This means that land boundaries and ridge of liner data need to reflect variations of boundaries in the national basic districts. Third, sub-numbers are to be specially considered in a characteristics of new address system in Korea. New address based on the street name giving odd numbers to the buildings situated on the left side and even numbers to the building situated on the right side per street. However at the end of roads, no matter direction of road, sub-numbers were assigned in order. Hence this address information in this data model need to consider sub-numbers. Once several kinds of data are included in integrated database, each datum is compatible with each other. Therefore it could be employed as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in diverse area like business, private, school and so 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since data model has been constructed and established pilot data. And from the results, some considerations have been drawn. Although the present study offered the way to construct conceptional data model, more research about establishing physical construction is needed for complete system. Proposed data model in this study is the result of initial study and it contains information of physical features. It is expected that further subdivision of physical features and research related to adding other information might be useful for handling more diverse inform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배경 및 목적 1 B.연구내용 3 C.연구방법 4 Ⅱ.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5 A.데이터모델 개념 5 B.선행연구 고찰 7 Ⅲ.국내외 각종 데이터 구조 분석 16 A.국내 주소 및 각종 구역 16 B.국외 주소 및 각종 구역 29 C.시사점 49 Ⅳ.데이터 모델 수립 방안 51 A.개념적 설계 51 B.데이터 시범구축 58 C.결과분석 71 Ⅴ.결론 및 제언 75 참고문헌 78 ABSTRACT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98798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선형 데이터 기반의 주소 및 각종 구역 통합 데이터모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Integrated Data Model Based On Liner Data of Physical Features-
dc.creator.othernameJang, Ye Jin-
dc.format.pagevi,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과교육학과-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