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인수-
dc.contributor.author임이랑-
dc.creator임이랑-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25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25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3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66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336-
dc.description.abstract학습부진이란 일반적으로 학생의 능력에 비추어 기대되는 성취보다 실제로 나타난 성취가 현저하게 낮은 상태를 의미한다. 학교 현장에서의 학습부진 현상은 정서·사회·인지적 발달 등에 이차적 문제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시급히 해결해야 할 중요한 교육적 과제이다. 이와 관련하여 교육학 분야에서는 학습과정에 작용하는 변인을 탐색하여 학업성취를 극대화시키려는 시도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실제 학습이 이루어질 때 여러 요인들이 분리되어 영향을 미치지 않고 서로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종합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인식됨에 따라 최근에는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의 다양한 요인을 통합적이고 다면적인 시각에서 파악함으로써 학습과정에서 자기조절의 중요성에 중점을 둔 학습전략에 관한 연구와 적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선행연구들은 효과적인 학습에는 자기조절이 요구되며, 자기조절을 잘 하는 학습자가 높은 학업성취를 보인다는 공통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실제 학습상황에서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자기조절 학습자로서 자신의 학습상황을 조절하고 관리하며 자율적으로 학습활동에 참여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경험한다. 특히 학교교육과정을 제대로 이수할 수 없을 만큼 기초 학력이 부족하고 복합적인 정신활동을 어려워하는 학습 부진아들에게 있어서의 자기조절 학습능력은 현저히 부족하다. 이와 같은 점에서 볼 때 학업성취를 신뢰성 있게 예언하고 교육적 관점에서 훈련 가능한 구인으로서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탐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학습자의 자기조절 학습능력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하는 자기조절 학습전략에 관한 선행 연구는 대부분 전략훈련을 실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시도로써 양적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학습부진학생의 교육적 중재를 위한 자기조절 학습전략을 다룬 연구는 거의 없다. 또한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동기와 자기조절학습, 인지와 자기조절학습,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다루고 있을 뿐 자기조절학습의 구인에 대한 탐색과 자기조절학습 구성요인 간의 관계성에 대한 설명력이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인을 인지조절, 동기조절, 행동조절전략으로 분류하였다. 이 분류를 바탕으로 환경적 변인을 포함한 각 변인 간의 관계성을 고려하여 동기조절전략과 행동조절전략의 관계를 인지조절전략의 매개효과 및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파악함으로써 초등학교 학습부진학생의 학업 및 생활지도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오인수, 김연희, 유정아(2011)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초등학생 학습부진 원인 진단검사 개발’의 조사자료이다. 위의 연구에서는 다중층화추출법으로 추출한 1,069명의 4,5,6학년 학습부진학생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과정을 통해 개발된 74개의 설문문항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중 본 연구의 연구목적에 적절하고 명료한 문항을 선별하여 구성하고, 신뢰도 검증 결과 문항 간 내적일치도가 낮은 문항을 제외하는 과정을 거쳐 변수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연구목적에 따라 성별에 따른 차이검증은 t-test를, 학년에 따른 차이검증은 분산분석(ANOVA)을 사용하였으며, 등분산 가정 충족여부에 따라 등분산 가정을 충족하는 변인에 대해서는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과 Scheffe 사후검정을, 등분산 가정을 충족하지 않는 변인에 대해서는 Welch 분산분석(Welch ANOVA)과 Games-Howell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동기조절전략과 행동조절전략의 관계에서 인지조절전략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각각 위계적 회귀분석과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간 차이 검증 결과, 인지전략의 경우 시연과 조직화 변인에서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5학년과 6학년의 평균은 정교화, 조직화 변인에서 4학년보다 높고 유사한 특징을 보였다. 또한 사회적 지지의 경우 또래지지 변인에서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5학년과 6학년의 평균은 또래지지 변인에서 4학년보다 높고 유사한 특징을 보였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결과, 동기조절전략과 행동조절전략의 관계에서 인지조절전략은 부분매개효과를 보였으며, Sobel Test를 통하여 검증한 결과 p<.01수준에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결과, 동기조절전략과 교사지지의 상호작용이 행동조절전략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기조절전략과 행동조절전략의 관계에서 교사지지가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5학년의 경우에서 동기조절전략과 부모지지의 상호작용이 행동조절전략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기조절전략과 행동조절전략의 관계에서 부모지지가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끝으로, 이상의 연구를 바탕으로 학습부진학생의 학업 및 생활지도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School underachievement generally means a situation that a child's performance is remarkably below what is expected based on the child's ability. Underachievement is a fundamental issue to be solved to prevent secondary issues as emotional, social and recognition development. In regard of this, there were attempts to maximize the academic achievement from the pedagogic aspect. As the results that various factors interact coherently in the learning process, recent trends on underachievement are the studies of learning strategy that concentrates on the importance of self-regulation in the learning process by understanding the learner factors in the integrate and multifaceted aspect. Advanced researches have the common view that self-regulation is required for effective learning, and that self-regulated learners reveal high academic achievement. In actual learning situation, most learners as a self-regulated learner have difficulty in regulating, controlling and participating autonomically in the learning process. Especially in case of the low achievers who fail to meet the basic standards to complete the school curriculum and find complex mental activity difficult, there were noticeable lack of self-regulation learning ability. In this respect, research on self-regulation learning as a trainable construct which gives a reliable prediction on academic achievement is required. In spite of the dominance of advanced researches on the self-regulation learning strategy to supplement self-regulation learning ability which are based on the quantitative research enforce a learning strategy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there are few researches on the self-regulation learning strategy for educational intervention for the low achievers. Additionally these advanced researches cover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otivation and the self-regulation learning, between the cognition and the self-regulation learning, between the self-regulation learning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nly partially. Therefore these researches enunciate unsufficiently the search for construct of self-regulation learning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configuration factors of self-regulation learning. Accordingly, this study classifies the construct factors of the self-regulation learning into cognition regulation, motivation regulation, and behavior regulation strategy referred to the advanced researches. On this classification,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 strategy and the behavior strateg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cognition strategy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ocial support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s including environmental variable. Further this study tries to provide a basic data to guide elementary school low achievers in learning and behavior. By using the data of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Diagnostic Questionnaire Assessing Characteristics of Underachievement' conducted by Insoo Oh, Yeonhee Kim, Jungah Yoo(2011) that was supported and fund by the Korean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and social support in the elementary school underachievers. The data of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Diagnostic Questionnaire Assessing Characteristics of Underachievement' conducted a survey from the total numbers of 1,069 students who were 4th, 5th and 6th grade in the elementary school underachievers using 74 questions developed through the course of three rounds and they were selected by the stratified multistage random sampling. Among them, this study selected appropriate for the purposes of research and distinct items and constructed variable excluding items that with low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according to research purposes, this study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T-test in the gender verification of the difference and analysis of variance(ANOVA) in the grades verification of the difference. In the case of ANOVA, to see if the independent variables satisfy the equal variance assumption, this study conducted one-way ANOVA for that variables and another was conducted Scheffe test for post-test. When the independent variables dissatisfy the equal variance assumption, it was conducted Welch ANOVA for that variables and conducted with Games-Howell test for post-test. In addition, this study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and two-way ANOVA to see mediating effects of the cognitive regulation strategy and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ivation regulation strategy and behavioral regulation strategy. Summary of result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result of distinction analyzing, in the case of cognitive strateg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ed by gender in rehearsal and organization. Also average of 5th and 6th grade was higher than average of 6th grade and showed similar characteristics in elaboration and organization. In addtion, in the case of social support, a meaningful difference was revealed by gender in the peer support variable, and the average of 5th and 6th grade students which showed similar characteristic was higher than 4th grade students in the peer support variable. Secondly, from the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cognition strategy revealed a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 regulation strategy and the behavior regulation strategy, and from the result of Sobel Test it revealed a meaningful mediating effects at the level of p<.01. Additionally, from the result of two-way ANOVA,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otivation regulation strategy and the teacher support had a meaningful statistic effect on the behavior regulation strategy, and the teacher support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 regulation strategy and the behavior regulation strategy. Als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otivation regulation strategy and the parent support had a meaningful statistic effect on the behavior regulation strategy in the 5th grade, and the parent support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 regulation strategy and the behavior regulation strategy. Finally, this study suggests some implications in guidance of low achievers in learning and behavior based on these research.-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연구문제 6 Ⅱ.이론적 배경 8 A.학습부진 8 1.학습부진의 개념 8 2.학습부진의 원인 10 가.인지적 요인 10 나.정의적 요인 11 다.환경적 요인 12 3.학습부진의 특성 14 가.인지적 특성 14 나.정의적 특성 16 다.신체적 특성 18 라.학습 습관상의 특성 18 B.자기조절학습 19 1.자기조절학습의 개념 19 2.자기조절학습에 대한 이론적 관점 21 가.조작적 관점 22 나.현상학적 관점 22 다.의지적 관점 23 라.사회 인지적 관점 23 마.Vygotsky적 관점 24 바.인지 구성주의적 관점 25 3.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인 25 가.인지조절전략 27 나.동기조절전략 29 다.행동조절전략 32 C.학습부진학생의 자기조절학습 및 사회적 지지 35 1.학습부진과 자기조절학습 35 2.학습부진과 사회적 지지 41 Ⅲ.연구방법 43 A.분석 자료 43 1.분석 자료의 특징과 표집방법 43 가.분석 자료의 특징 43 나.표집방법 44 2.분석 자료의 문항개발 46 B.변수 구성 47 1.인지적 변인 49 2.정의적 변인 50 3.행동적 변인 51 4.환경적 변인 51 C.분석 방법 52 Ⅳ.연구결과 54 A.인지·행동·동기조절전략과 사회적지지에 대한 집단 간 차이 54 1.인지조절전략에 대한 집단 간 차이 54 가.성별에 따른 인지조절전략 54 나.학년에 따른 인지조절전략 55 2.행동조절전략에 대한 집단 간 차이 56 가.성별에 따른 행동조절전략 56 나.학년에 따른 행동조절전략 56 3.동기조절전략에 대한 집단 간 차이 57 가.성별에 따른 동기조절전략 57 나.학년에 따른 동기조절전략 57 4.사회적 지지에 대한 집단 간 차이 58 가.성별에 따른 사회적 지지 58 나.학년에 따른 사회적 지지 59 B.인지·행동·동기조절전략과 사회적지지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59 C.동기조절전략과 행동조절전략의 관계에서 인지조절전략의 매개효과 62 1.인지조절전략의 매개효과 63 2.성별에 따른 인지조절전략의 매개효과 64 3.학년에 따른 인지조절전략의 매개효과 66 D.동기조절전략과 행동조절전략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69 1.교사지지의 조절효과 70 가.성별에 따른 교사지지의 조절효과 72 나.학년에 따른 교사지지의 조절효과 75 2.부모지지의 조절효과 78 가.성별에 따른 부모지지의 조절효과 80 나.학년에 따른 부모지지의 조절효과 82 3.또래지지의 조절효과 85 가.성별에 따른 또래지지의 조절효과 87 나.학년에 따른 또래지지의 조절효과 89 Ⅴ.논의 및 결론 92 A.요약 및 논의 92 B.결론 및 제언 98 참고문헌 100 부록-설문지 106 ABSTRACT 10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975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초등학교 학습부진 학생의 자기조절 학습전략 구성요인 간 관계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alyz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Configuration 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in the Elementary School Underachievers-
dc.creator.othernameLim, I Rang-
dc.format.pagexiv, 11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