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6 Download: 0

무용이 공간인지에 미치는 효과

Title
무용이 공간인지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influenced from the Awareness of Space through Dance
Authors
정귀인
Issue Date
1978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근석
Abstract
무용의 한 요소가 되는 공간인지의 정확도는 무용구성의 미적 표현이나, 개개 표현의 정확성을 갖게 하는 중요한 소인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요소가 과연 무용으로 얻어지고 있느냐하는 문제는 별로 밝혀진바 없어, 무용계 학생 15명, 미술계 학생 15 명, 일반계 학생 15명의 계열별 그룹을 임의 선정하여 1차운동, 즉 관상면 , 정중면, 수평면의 공간인지를 45˚ , 90˚ , 135˚, 180˚ 로 구분하여 실험했고, 이차운동으로는 전진, 후진, 좌·우측진으로 나누어 각각 실험한 결과를 측정하여 정리한바 다음과 같은 공간인지의 차이를 보이는 결과를 얻었다. 일치운동의 경우 1. 관상면, 정중면, 수평면의 운동에 있어 무용군이 공간인지 정확성에서 월등하게 우위를 보이고 있고, 일반계가 미술계는 무용군의 오차의 3 ~5 배 정도의 큰 오차를 보이고 있다. 2. 그러나 무용군이라 하더라도 오차는 있었으며, 삼면에 있어서 평균 1.5˚ 미만의 오차였다. 3. 미술군은 공간구성 학습을 하고 있는 까닭에 일반군보다는 우위에 있으리라 믿었으나, 그렇지 못한점을 보면 손끝이나 머리로 익힌 공간인지는 신체운동으로 옮겼을때 신체운동을 통해 얻은 학습에는 뒤떨어지고 있음을 발견했다. 이차운동의 경우 1. 일차운동의 경우와 같이 무용군이 다른 두군보다 정확한 편이나 약5.5m 전진내에서 평균 11.5cm ( 중심선과 최종족간의 거리 )의 오차를 보이고 있다. 2. 측진의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무용군이 미술군이나 일반군에 비교하여 정확성을 보이고 있으나 약5.5 m 측진내에서 평균 17.5 cm 정도의 오차를 범했다. 3 . 특히 후진에 있어서의 무용군은 일반군이나 미술군에 비해 그 어느것 보다도 월등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무용이 공간인지에 미치는 효과는 상당히 큰것으로 추정된다.;The exactitude of the awareness of space to be a elem ent of dance is a important factor that takes a esthetic expression of dancing construction or correctness of each expression. But the problem that this element has been surely gotten by the dance has not especially been brought to light. Therefore seperate groups consist in 15 students in relation to the dancing circles, 15 students being related to the art circles and 15 students in the others circles of the general is freely chosen, we made an experiment the positional motion, that is, the spatial awareness of coronal plane, median plane, horizontal plane dividing it into four degrees of 45˚, 90˚, 135˚, 180˚. And dividing the locomotive motion into side walking (left, right), forward locomotive motion, we measured the results of each experiment, adjusted it and then the results showing the difference from the awareness of space in each plane is as follows. In case of positional motion. 1. In the motion of coronal plane, median plane, horizontal plane, dancing group attained for superiority over the others in the accuracy of spatial awareness, it attained greater error than from three times to five times. 2. But dancing group also have a error, and there were error less than average 1.5˚ in three times. 3. It had been believed that because art group studied space formation art group were superior to general group, when it was acted by physical motion, it was discovered that it was inferior to learning to be acted by physical motion. In case of locomotive motion. 1. Like a case of positional motion, though dancing group was correcter than other group, there were error of average 11.5 cm throughout about forward 5.5m (between the center line and the final step). 2. Like a case of side walking, though dancing group seemed to be correcter than art group and general group, there were average about 17.5cm error throughout about 5.5m side walking. 3. Especially in the rear walking, it was known that dencing group was excellently more different than general group and art group. Judging from preceding results, it is assumed that dance exerts a great influence upon the awareness of spa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