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金敬泰-
dc.contributor.author金慧子-
dc.creator金慧子-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10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10Z-
dc.date.issued1981-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36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6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369-
dc.description.abstract우리 民族과 滿洲地方의 關係는 有史以來로 계속되어 왔던 것이나 高句麗·渤海의 滅亡을 계기로 우리 民族의 歷吏的 活動舞臺는 滿洲를 떠나서 韓半島內脚에 局限되게 되었다. 그後 高麗가 高句麗의 領土複興을 꾀하였으나 如意치 못하였고 朝鮮初期에 이르러서 四郡設置와 六鎭開拓으로 말미암아 鴨綠江·豆滿江線까지 北上하는데 그쳤던 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곧 朝鮮의 雅定된 國境線이 되는 것은 아니었다. 그리하여 朝鮮朝 成立 以後에도 朝鮮人들은 古代로부터의 崙脚舞臺였던 滿洲地方을 넘나들곤 했던 것으로 特히 沿江邊民의 경우 地理的으로 近接해 있으며 經濟的 與件이 邊地보다 優越한 그곳을 向한 발길은 계속되어 왔다. 그러나 17世紀 前半에 從來 滿洲地方에 散在해 있던 女眞族淡이 統一되어 漢族의 明朝를 滅亡시키고 强大한 征服王朝로서의 淸朝를 建國시킴으로써 朝鮮과 境界를 接하게 됨에 朝·淸兩國에서는 兩國人濁의 越境으로 因한 問題가 發生하게 되었다. 淸은 滿洲地方에서 興起·建國하였기 때문에 中原으로 옮긴 後에도 그 發祥地인 滿洲를 異民族으로 부터 保讓하고자 封禁政策을 實施하였고 特히 朝鮮과의 接境地帶에는 無人地帶를 設置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越境事件은 朝鮮人과 淸人 雙方에서 發生하고 있었으며 朝鮮은 當初 事大外交의 相對國인 靑의 壓力下인에 一方的 被害를 받아 왔다. 그後 淸은 中國全土을 모두 平正하게 되자 祖宗發祥地幽라 傳해지는 長白山(白頭山의 淸國名稱) 近處에 관심을 표시하였고 드디어 朝·淸間에는 1712年 「白頭山 定界碑」가 建立되게 되었다. 또한 淸國 內에서는 漢人의 滿洲地方의 流入이 계속 增加되고 있었기 때문에 淸朝는 從來의 封禁政策을 더욱 强化하게 되었고 朝鮮側에도 그들의 越境을 沮止해 줄 것을 要求해 왔다. 이같은 情勢 變化의 틈을 利用하고자 한 朝鮮은 以前의 被動的인 消極的 姿勢에서 脫皮하여 淸人의 違法行爲를 處罰하고 또 淸朝廷의 禮部를 通하여 直接的으로 咨文을 보낼 수 있는 보다 有利한 外交的 位置를 차지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兩國의 至嚴한 國法에도 不拘하고 兩國人의 越境問題는 不斷히 發生하였고 朝鮮의 境遇 19世紀 中葉 以後 나라 안팎의 急速한 狀態變化와 더불어 越境樣相이 크게 變貌되었던 것이었다. 本稿에서는 朝鮮과 淸이 接境하게 된 以來로 새로이 發生하게 된 兩國間의 外交的 紛糾, 이른바 北邊 越境問題의 歷史的 推移와 함께 그 段階的 特徵을 살펴 보았다. 그리하여 먼저 本論에 이어 制二章에서는 淸의 建國以前까지의 越境問題의 時代的 背景과 함게 淸의 滿洲地方에 對한 封禁策과 越境地域이 된 無人地帶의 位置·設置年代等등을 살펴 보았으며 制三章에서는 淸의 建國으로부터 白頭山 定界碑의 建立以前의 兩國人의 越境問題의 實態를 考察해 보았다. 먼저 朝鮮人의 越境樣相은 國內의 政治·經濟·社會等의 諸般要因과 함께 特히 經濟的 利益을 追求하고자 江을 건너 가 採蔘·狩獵·伐木等을 하였고 점차로 大親模化하여 邊民들은 武器를 所特시하고 數 十名씩 무리를 지어 때로는 邊卒·邊장도 合勢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로 因하여 朝·淸間에는 外交的 問題가 發生하였고 朝鮮은 淸의 壓力下에서 그 豫防策을 마련하게 되니 그것은 處罰法의 强化, 沿江把守의 嚴飭, 御史의 派遺, 公·私鳥銃 의 封減, 鄕約点考의 嚴行等等의 措處로 나타나게 되었다. 그러나 그것은 問題의 根本的 解決策이 되지 못하고 不作用을 낳게 하는 一時的인 彌縫策에 不過한 것이었다. 그리고 이 시기에 淸人의 越境도 있었으나 事大外交下에서 朝鮮은 피해만을 입는 消極的 劣勢를 脫皮할 수 없었음을 살펴 보았다. 第四章에서는 白頭山 定界碑의 建立 以後에 있어서의 越境問題에 關한 朝鮮의 外交的 位置의 上昇, 곧 朝·淸의 外交的 位置가 對等한 關係로 發展한게 되는 過程을 살피었고 도한 朝鮮內에서는 越境者의 處罰을 緩和시킴과 함께 淸人의 越境을 防禦하기 위한 措處, 이에 더 나아가 有事時에 對應하고자 하는 自强之策을 마련하게 됨으로써 事大外交의 內面的 性格이 一變함을 보았다. 第五章에서는 19世紀 以後의 國內의 政治·經濟·社會的 混亂과 함께 滿洲地方을 둘러싼 國際的 環境의 變化만을 追求하였던 單純한 越境으로부터 19世紀 中葉以後에는 越境者濁들은 故鄕을 등지고 家族과 함께 滿洲地方으로 流入, 田土를 開墾하며 그곳에서 永存하는 流移民으로 變貌하게 됨을 考察하였다.;From ancient times many of our ancestors had lived in northeastern part (called Manchuria) of China. But after Goguryo and Balhae perished tbe sphere of their activities shrinked within the Korean Peninsula. Subsequently Goryo-dynasty tried to recover the territory of Goguryo in vain. But in early times of Yi-dynasty old territory in south of the Yalu and Tuman River was recovered. Even in this time our ancestors living near the frontier went to Manchuria and came home. Particularly inhabitants near two rivers did so often because geogeaphical and economic conditions of Manchuria were better than those of any other place. In the beginning of the seventeenth century Juchen scattered in Manchuria were united and founded Ching China. From that time on between two countries facing the frontier diplomatic disputes caused by inhabitants crossing the frontier took place without cease. It was because ching China executed the policy to prohibit other peoples to come into Manchuria and especially our ancestors severelv making no-man's-zone in the northern frontier of the Korean peninsula. In spite of this severe policy peoples of two neighbouring countries crossed the frontier without cesse during the period of Yi-dynasty. In case of our ancestors they went and came over the frontier because of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nurest. But the biggest reason of having crossed the frontier was for picking ginsengs, hunting, and fellifg in Manchuria. At first they crossed the frontier on a small scale. But afterwards they moved there by tens even with weapons. At times local public officers were included among them. As the situation developed like this Ching China rebuked Yi-dynasty and demanded that our ancestors should not come into Manchuria. Yi-dynasty which took policy to have friendly ties with China accepted Ching China's demand and reinforced regulations against the people who crossed the frontier without permission. And also Yi-dynasty increased guards, dispatched royal emissaries, confiscated weapons, and forced the inhabitants near the frontier to take responsibilities to watch the border.But these measures could not be effective and were only temporary remedies to help Yi-dynasty escape Ching China's pressure. One the other hand Chinese also continued to cross the frontier. But they were seldom regulated thanks to their strong fatherland. But after Mt. Paektu Demarcation Stone was erected in 1712, Yi-dynasty which suffered from unilateral loss got out of previous position. It was becausee Ching China reinforced the policies which prohibited both our ancestors and Chinese to come into Manchuria and demanded that Yi-dynasty would support the policies. This change of situation enabled Yi-dynasty to escape from the diplomatic low posture and to settle the border incidents in the equivalent status with Cbing China when people of Ching China crossed the frontier. And further Yi-dynasty was enabled to prepare even the policy to protect themselves in emergency. But in spite of the severe regulations of two countries people of two countries continued to cross the frontier. And remarkable fact was that aspects for our ancestors to cross the frontier changed much after the mid-nineteenth century. Now our ancestors did not leave fatherland only in order to seek for economic interset in Manchuria, but they left their home to search new land where they would live forever with theiw families. So to speak, they had become immigra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目次 = iii 論文槪要 = iv Ⅰ. 序論 = 1 Ⅱ. 越境問題의 時代的 背景 = 3 A. 淸 建國以前의 朝鮮의 北方邊境 = 3 B. 淸의 對禁策과 無人地帶의 形成 = 8 Ⅲ. 白頭山 定界碑 建立以前의 越境問題 = 15 A. 朝鮮人 의 越境과 豫防對策 = 15 1. 朝鮮人의 越境樣相 = 15 2. 朝鮮政府의 豫防對策 = 20 B. 淸人의 越境과 朝鮮의 消極的 態度 = 32 Ⅳ. 白頭山 定界碑 建立後 朝鮮의 積極姿勢 = 35 A. 朝鮮의 對淸積極姿勢로의 轉換 = 35 B. 對淸 守傭策의 强化 = 46 Ⅴ. 19世紀 以後의 越境問題 = 52 A. 越境樣相의 變貌 = 52 B. 政府와 地方官의 對處 = 58 Ⅵ. 結論 = 63 參考文獻 = 66 ABSTRACT =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266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dc.title朝鮮後期 北邊越境問題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Problems of Crossing Boder in the Northern Frontier during the later Yi-dynasty-
dc.format.pagevi, 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학과-
dc.date.awarded198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