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3 Download: 0

The Rainbow와 Women in Love의 주제를 구현하는 Pattern과 Imagery

Title
The Rainbow와 Women in Love의 주제를 구현하는 Pattern과 Imagery
Other Titles
Pattern and Imagery in The Rainbow와 Women in Love
Authors
부지영
Issue Date
1981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나영균
Abstract
The Rainbow와 Women in Love에서 Lawrence는 현대 물질문명 사회의 기계적 병폐 속에서 참다운 삶을 찾아서 보여주고자 한다. 그에 의하면 현대문명은 지나치게 지성과 관념에 치우치는 한편, 과학 만능과 물질의 지배적 현상으로 말미암아 인간을 내부의 근원적인 생명력에서 멀어지게 했다. 따라서 현대문명이 인간에게 입힌 외부적 요소들을 벗어버리고 원래 인간에게 있어서 가장 근본적인 요소인 원초적 본능으로 돌아감으로써 참된 내적 존재를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 Lawrence의 주장이다. 이렇게 내적 존재를 강조한 그의 소설 주제의 특성은 소설 작법에도 영향을 미친다. 즉 외부적 삶을 그대로 제시하는 사실주의나 자연주의 문학은 그에 있어서는 "삶이 아닌대로의 삶"을 제시할 뿐인 무의미한 것이다. 이에 대신하여 인간이 누려야 할 참된 삶을 찾기 위해서는 인간 내부의 의식과 인간전체를 흐르는 동소체(同素體)적 요소의 탐구로 나아간다. 이러한 동소체적 요소의 탐구는 각 등장 인물들의 기본 움직임을 결정하는 pattern을 낳았으며, 이러한 pattern의 흐름의 일부가 된 인물들의 묘사는 기존의 사실주의 문학에서 나타난 인물묘사와는 판이한 것이 된다. Lawrence에 있어서는 사사로운 외부적 묘사는 하등의 고려 가치가 없는 것으로서, 위대한 소설의 목적은 이러한 표피적 성격너머에 있는 우주적 흐름과 일체 속에서의 인간의 본질을 파악하는 것이라야 한다. 이러한 우주적 본질을 그는 원초적 본능의 차원에서 감지했는데 이러한 차원에서의 이성간의 완전한 性的 관계야말로 현대사회에서 우리가 찾아야 할 진실된 삶으로 본 것이다. 이러한 진실된 삶의 추구는 The Rainbow와 Women in Love를 통해 구현되는데 The Rainbow에서는 3代의 등장 인물들의 종적 흐름을 통해 각 세대안에서의 인간 관계 완성의 pattern이 반복된다. 이러한 기본 pattern의 반복을 이들 인물 전체를 주관하는 역사성과 근원성을 나타내는 한편 Lawrence의 참된 존재 추구의 양식을 분명히하는 효과를 지닌다. 기존의 인물묘사나 소설 형태에 구애됨이 없이 그가 생각하는바 소설가로서의 진정한 의무를 다하기 위해 참된 삶을 찾으려는 진실된 노력은 그의 작품에 진지성을 부여한다. 이러한 진지성은 그가 참된 관계로 밝힌 원초적 性的 관계의 묘사를 미화시켜 종교적인 의식을 행하는 듯한 엄숙한 것으로까지 끌어올리고 있다. 이러한 미화는 무지개 image로써 더욱 강화되는데 이는 인간관계에 빛을 던져주는 희망적인 부활의 image로서이다. 한편 Women in Love에서는 The Rainbow에서 인간의 원초적 차원에서의 참된 존재의 가능성을 본 Ursula와 Birkin 간에 완전한 인간 관계가 이루어진다. 반면 이들 관계에 대칭되는 파괴적인 인간 관계가 Gerald와 Gudrun사이에 형성된다. 이들 관계의 특성을 대별해주는 것이 이 작품에서의 image의 중요한 역할이다. 즉 Ursula와 Birkin의 관계는 밝고 창조적인 image의 연결로 인해 "roses of happiness"로 image의 결산을 갖는 반면 Gerald와 Gudrun의 관계는 차갑고 파괴적인 "fleurs dumal"의 부식적인 image로 끝맺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 image의 대조는 이들 관계의 대칭을 분명히 해주고 거기에서부터 그들 관계의 차이점을 되돌아 볼 속 있게 한다. Ursula와 Birkin의 관계가 생산적이 되는 것은 각각이 독립된 내적 존재로서의 서로를 인정하고, 원초적인 性의 차원에서 균등한 관계를 이룸으로써 "star-equilibrium"의 관계로 돌입하기 때문이다. 반면 Gerald와 Gudrun은 독립된 내적 존재를 수립치 못하고, 외부적 존재의 공허로움으로부터 도피적인 배설적 역할로의 성욕과 감각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파괴적 관계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해서 The Rainbow에서의 인간 관계 완성의 기본 pattern의 반복과 Women in Love에서의 대칭적인 image patten은 Lawrence의 참된 삶의 추구가 소설 내에 구현되는 데 매우 효과적인 역할을 한다.;In The Rainbow and Women in Love, D.H. Lawrence tried to picture real life against the barren life in this mechanical modern society. Lawrentian real life lies not in barren spiritual world but in the inner self of an individual at the level of primitive instinct. His emphiasis on inner real being as a theme of novel affects the style of novel. The realism or naturalism which represents surface life is to Lawrence nothing but a presentation of "life not as a real life". Instead his need to seek real life leads him to the consciousness of inner being and the allotropic element which flows under all men. The exploration of the allotropic element reaffirms the presence of the pattern which presides over the movement of all character. Therefor the character who becomes the part of the pattern differs from the character of the realistic novels in the past. To Lawrence, the presentation of appearance is not worth while at all and the aim of a great novel is to perceive the essence of man which exists beyond the surface. He perceived this universal essence in the level of primitive instinct and regarded the perfect relationship betwen man and women as a real life we should take after in this modern mechanical society. This effort to seek real life was embodied in the novels The Rainbow and women in Love. In The Rainbow, the pattern of establishing an ideal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an appears repeatedly through three generations. This repetition of fundamental pattern emphasizes the historical and essential sense which preside in all the characters and have the effects of clarifying the mode of Lawrentian search of real life. Without being influenced by the characterization and form of the past realistic novel, he tried sincerely to seek real life to do the duty of the novelist. This serious effort gave beauty to the sexual relationship which he rerealed as a real form of life and enhanced to the level of religious ritualistic form. This beautification becomes stronger by the rainbow image as the resurrection and hope which throw a light on the relationship. In Women in Love Ursula, who has seen the vision of real life at the level of primitive instinct against the barren society, and Birkin establish an ideal relationship while the antithetical relationship between Gerald and Gudrun develops. The means by which Lawrence reveals the contrastive character of these two couple is imagery. The relationship between Brikin and Ursula with bright and creative image culminates in the image of "roses of happines! And that of Gerald and Gudrun with cold and destructive image ends with the corrosive image of 'fleurs du mal' Therefore the contrast of image clarifies the antithetical pattern and therefrom can we trace the difference between them. The reason why Birkin and Uraula's relationship becomes productive is that they acknowledge the other as an independent inner being and establish equal relationship at the level of primitive sex. On the other hand, Gerald and Gudrun cannot have independent inner being and escape to the purgative sexuality from the voidness of outer life so that their relationship becomes destructive. So the repetition of fundamental pattern of establishing an ideal relationship in The Rainbow and the antithetical image pattern in Women in Love have the effective role in embodying Lawrentian search of the real lif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