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金英一-
dc.contributor.author許賢淑-
dc.creator許賢淑-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53Z-
dc.date.issued1981-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3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6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352-
dc.description.abstractW.H.Auden의 1930년대 작품에 대해서는 상당한 양의 연구와 평가가 지속되어왔다. 이에 반하여 1940년대 이후의 Auden의 작풍에 대해서는 별다른 문학적 평가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40년대 이후의 Auden의 작품에 대한 정당한 평가는 그가 보여주는 사상적 특징을 각 작품의 구조 속에서 파악할 때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이 시인의 30년대와 구별되는 사상의 변화가 작품에서 어떻게 形象化되었는가를 봄으로써 이 시인에 대한 전체적인 평가가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Auden이 1942년에 쓴 "The Sea and the Mirror"에 나타난 예술관을 통해 30년대와는 다른 Auden의 사상을 밝히고, 이 작품이 지닌 예술성을 드러내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The Sea and the Mirror"를 택한 것은 이 작품이 시인 자신의 예술관을 보여 주는 동시에 40년대 작품들에 보이는 인간 및 삶에 대한 시인의 기독교적인 태도를 잘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사상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우선 1930년대 Auden의 작품에 나타나는 사상적 특징을 각 詩集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이 작품들에 나타나는 Auden의 사상은 사회 속의 인간에 대한 관심을 그 기본으로 삼고 있다. 이 시기의 Auden에게 있어서 인간은 사회적 존재로서, 사회의 모든 상황에 의해 제약되고 또한 그 상황들에 의해 심리적 변화를 겪을 수밖에 없는 모습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러한 시인의 태도는 곧 당시의 정치적 현실과 경제적 위기에 대한 개혁에의 의지로 표면화된다. 여기에서 제시되는 것이 Auden의 마르크시즘(Marxism)과 프로이드 (Freud)심리학에 의존한 해결책인 것이다. 다음으로 "The Sea and the Mirror"에 나타난 Auden의 예술관을 분석하였다. 이 예술관은 30년대와는 다른 인간관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특히 Kierkegaard의 사상에서 볼 수 있는 인간 존재의 문제는 40년대의 Auden에게 있어서 매우 중요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Auden은 인간 각 개인을 實存하기 위해 영원히 노력해야 하는 존재로 파악한다. 즉, 인간의 현실은 인간 자신이 원래에 관계를 맺었던 참된 존재의 상태를 벗어나 있는 상태이므로 인간 각 개인은 그 원래의 상태를 회복하기 위해 영원히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예술은 인간의 현재의 모습을 비쳐주는 역할을 하면서 인간으로 하여금 참된 존재의 진리에로 향하게 한다는 점에 의해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예술 자체는 진리 또는 참 존재의 궁극적 모습을 드러내지 못함으로써 그 한계를 지니고 있다. Auden의 예술관에서 볼 수 있는 시인의 입장은 절대 존재에 대한 시인 개인의 믿음과 그 존재 앞에서의 예술의 한계에 대한 인식 사이에서 겪게되는 예술가로서의 갈등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The Sea and the Mirror"가 지니는 예술성을 이 작품의 내용과 형식의 관계를 통해 살펴 보았다. 예술에서의 내용과 형식의 관계는 Auden이 40년대 이후에 제시하는 또 다른 예술관이기도 하다. 모든 예술 양식은 내용과 형식을 적절히 조화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Auden의 이 주장은 이 작품에서 실제의 例로 보여지고 있다. 이 점에 의해 "The Sea and the Mirror"의 예술성이 성취되고 있는 것이다. ;During the thirties W.H. Auden attempted to cure the sickness of man and society. Representing a sort of A B C of the poetry of the thirties he was interested in the relation of the individual to society. His works in the thirties were always concerned with the pressures of the times. During the thirties social and political pressures changed radically. influencing his development while being reflected in his poetry. In radically changing society Auden attempted to offer solution of the problems by Marxism and Freudian psychology. But it was a failure. Auden returned to christianity in the years of 1939-40. He used this new creed during the forties as the basis of an attempt to achieve a synthesis of thought on the condition of man. Many critics comment that the Later works of Auden degraded into abstraction or escaped into the religion. But as the elucidation of Auden's Art in the Later works has moved forward, I think the poetic phenomena in the later works are worthy of primary attention. The long works af Auden during the forties show Auden's new belief, Christianity, and his poetic success. In "The Sea and the Mirror" Auden offers his views on Art. Choosing The Tempest as a symbolic framework, he created his own work. Auden's views on Art in "The Sea and the Mirror" show the poet's belief. He thinks that Art can mirror man's condition but it cannot solve the problems of existence. In the Mirror of Art each man recognizes himself, and is directed to the necessities of life which all of us must recognize and realize. Art interests in itself, but does not explain or show the "Wholly Other Life". Even though the artist can depict the problems of life, the audiences do not apply its lesson. The real value of Art lies in its capacity to extend imaginative sympathy. So each man must take journey into the Truth of existence as Prospero did. Such views on Art were influenced by kierkegaard's all embracing notional scheme of categories. As Kierkegaard thought the Aesthetic mind had limitation on the problem. of existence, Auden provides that Art has limitation. "The Sea and the Mirror" shows another example of Auden's views on Art. Since the forties Auden assumes in many critical essays that the artistic expression of the different view of life requires an appropriate difference in form. The poetic forms in "The Sea and the Mirror" show this theory. Many critics agree that "The Sea and the Mirror" is Auden's masterpiece in its scope and poetic beauty. It's tautly organized structure, form and their appropriateness with the contents may deserve such high estim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目次 = iii 論文槪要 = iv Ⅰ. 序論 = 1 Ⅱ. 1930년대의 Auden의 경향 = 6 Ⅲ. "The Sea and the Mirror"에 나타난 삶과 예술의 관계 = 19 A. 예술의 가치 = 19 B. 예술의 한계 = 36 Ⅳ. 예술에서의 내용과 형식의 관계 - "The Sea and the Mirror"에서의 실제 - = 47 Ⅴ. 結論 = 63 Bibliography = 66 ABSTRACT =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471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dc.title"The Sea and the Mirror"에 나타난 W.H. Auden의 예술관-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W.H. Auden's views on Art through "The Sea and the Mirror"-
dc.format.pagev, 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영문학과-
dc.date.awarded198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