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6 Download: 0

金裕貞 小說의 構造 分析

Title
金裕貞 小說의 構造 分析
Other Titles
STRUCTURALISTIC APPROACH TO KIM YOO-JUNG
Authors
유인순
Issue Date
198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金永德
Abstract
An author creates his own Literary world by his specific style which he elaborates with the common words. And a Literary work on be said, in a word, a synthesis of words which the author has chosen to arrange. Therefore the study of the structure of Language tells us much of an author's peculiar inner world as well as his immediate circumstances. Kim Yoo-jung, among the 1930's novelists, attracts our special attention with his language and subjects native to Korea. So far, many critics have studied him; but most of them have approached with the emphasis on non-literary elements rather than on the works itself, which consequently fails to explain the true nature of his world.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him an intrinsic approach must be attempted. This thesis is an attempt to examine the structure of his works through the semantic study of the structure of language. The structure of work falls into two categories : 1) upper structure (the network of 5 codes) 2) lower structure (phonetical and formal characteristics, repetition antithesis, gradation, figure of speech). Of these two structures, this thesis only deals with the upper structure, because there are good many theses on the lower structure of his works. In the first chapter, after surveying other scholars' approaches to him, I briefly introduce structualism. In the second and third chapters, I follow up the characteristics of his structure by analysing A Gamellia (in the second chapter) and comparing him with his contemporary novelist, Lee Hyo-suk (in the third chapter). To begin with, A Camellia is reduced into many minimal semantic units, lexias (motifs) ; and by falling these motifs under the five codes, I find out their roles in the whole structure of the work. This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in the upper structure of his works the following structure s and characteristics are easily found: 1) structure of anti-the sis-anti-thesis(momentary mediation) 2) open structure of action owing to the thematic repatition 3) many-leveled narrative structure with the confusion of tenses 4) breaking with the common belief about man or woman characteristics. Comparision with Lee Hyo-suk adds to his characteristics : his narrators are all dramatized narrators, AIl these characteristics found out in the second and third chapters are reinforced by the analysis of his other 6 works in the fourth chapter.;作家는 自己當代의 共通的 規則과 慣習의 體系인 言語, 그리고 作家 자신의 個人的인 神話를 通한 文體를 가지고 自身만의 獨特한 文學世界를 構築한다. 作品은 作家가 選擇해서 排列한 言語의 總體인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作家가 세운 言語構造를 通해서 作家의 內面空間은 勿論, 作家를 包含하고 있던 外面空間까지도 透視할 수 있다. 重要한 것은 作品 自體이지 實證主義的인 作品 外的 考證은 아닌 것이다. 金 裕眞은 1930年代 우리 文壇에 가장 韓國的인 語彙와 韓國的인 內容으로 〈수줍은 古典〉의 世界를 構築한 傳說的인 作家였다. 따라서 金 裕眞의 文學性에 관한 硏究는 많은 先覺들에 依해서 여러 視覺으로부터 檢討되어 왔었다. 그러나 그 太半이 文學外的인 要素에 置重한 나머지 裕眞文學의 本疾 糾明과는 거리가 먼, 서로 相反되는 意見을 提示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므로 金 裕眞 文學의 文學性에 接近하기 위해서는 여태까지와는 다른 좀 더 積極的이고 充實한 作品自體에의 接近이 必要하게 되었다. 이에 本橋는 하나의 文學作品은 言語의 總體라는 前提下에 作品外的인 類推的 決定論을 排除하고 言語構造面에서 金 裕眞의 作品構造를 分析해 보려고 했다. 물론 이때의 作品構造分析이란 言語의 形態가 아닌 言語의 意味面에서의 分析을 意味한다. 作品의 完全한 構造分析은 그 作品을 이루고 있는 上位構造體系(5개 略號들의 얽힘을 通한)와 下位構造體系(音聲學的 그리고 形態的 要素들, 反復, 對照, 漸層, 語彙使用, 比喩法…)의 同時的인 分析이 必要하다. 그러나 金 裕眞 文學의 下位構造體系에 관한 分析은 이미 많은 硏究論文에서 다루어져 왔으므로, 本橋에서는 주로 上位構造體系에 重點을 두어 分析했다. Ⅰ章에서는 金 裕眞 文學에 관한 지금까지의 硏究의 傾向과 文學的 構造主義란 무엇인가에 대해 간단히 언급했다. Ⅱ章에서는 實驗 作品分析에 들어갔다. 作品의 實驗的인 分析을 爲해서 選擇한 〈동백꽃〉은 먼저 意味의 最小單位로 裁斷했다. 그리고 이 裁斷된 意味의 最小單位는 텍스트를 얽고 있는 5개 略號(code)의 얽힘 속으로 떨어뜨려서 傳遞 構造와의 相關關係 아래, 意味의 作俑을 追跡했다. 이런 過程을 거친 分析의 結果 얻어진 金 裕眞 文學의 特徵은 첫째. 對立-對立의 構造, 둘째. 同一主題의 反復으로 因한 사건의 開放型 構成, 셋째. 時間錯誤의 높은 頻度數로 因한 多次元的 敍述構造, 넷째. 男女 性의 顚倒로써 나타났다. Ⅲ章에서는 金 裕眞 文學의 特徵을 더 確實히 알아보기 爲해서 같은 時代, 같은 素材, 같은 發表誌를 通한, 같은 同鄕人으로서 李孝石의 〈메밀꽃 필 무렵〉을 分析, 比較했다. 그 結果 Ⅱ章에서 얻었던 特徵外에 敍述者와 登場人物의 一致라는 또 다른 特徵을 金 裕眞 文學에 덧붙일 수 있었다. Ⅳ章에서는 한 作家가 만드는 文學的 言語의 記號體系는 그의 또 다른 作品에서도 비슷한 體系를 나타낼 것이라는 前提下에 金 裕眞의 他作品을 分析, 比較했다. 이때 選擇된 作品은 두 種類로 나누어 表層的 對立關係에 있는 것(봄봄, 노다지, 금따는 콩밭)과 內面的 對立關係에 있는 것(산골 나그네, 만무방, 소낙비)을 分析 比較했다. 그 結果 Ⅱ, Ⅲ章에서 抽出해낸 結果를 다시 한번 確認할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