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1 Download: 0

다다와 超現實主義의 꼴라쥬 硏究

Title
다다와 超現實主義의 꼴라쥬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Dadaist and Surrealist Collage
Authors
하희경
Issue Date
1980
Department/Major
대학원 순수미술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成完慶
Abstract
본 논문은 다다운동과 초현실주의 미술에 나타난 꼴라쥬를 통해서 꼴라쥬가 미술사와 미학상과 현대미술에 끼친 영향을 살피고 꼴라쥬에 대한 보다 새로운 인식에 도달해 보려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꼴라쥬란 말은 불어의 "Coller(풀로 붙이다)"에서 유래된 말로서 가위나 칼을 사용하여 일상의 비예술적인 소재 즉, 종이나 헝겊 등을 잘라내어 그때 그때의 선택과 상상력의 기쁨과 데 빼이즈망의 법칙에 따라 화면에 붙이는 기법을 통칭한다. 예전부터 동, 서양에 걸쳐서 이러한 꼴라쥬기법이 사용되어 왔지만 현대에 와서 입체파 화가들이 빠삐에 꼴레를 이용하여 화면에 재질감을 나타내기 위해 세밀히 그려져야 할 그림의 일부분에, 종이나 헝겊 등을 대신 사용하므로써 현대서구미술에 꼴라쥬기법이 도입됨에 따라 꼴라쥬는 새로운 가치를 띠며 주목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입체파의 빠삐에 꼴레는 화면세 실제적인 사실적 효과를 주기위해 이용한 단지 그림의 일부분이었다. 그 후에 다다운동과 초현실주의 미술에 의해서 꼴라쥬기법은 새로운 의미로써 재발견되어 사용되어졌다. 다다운동은 제1차 세계대전으로 인한 파국적 상황에서 19세기 부르조아의 이성주의와 과학적 실증중의의 모순이 드러나자, 기존의 모든 것을 파괴하고 혼돈과 백지의 상태로 환원시키려는 반항과 부정의 운동으로서 시작된 것이며, 꼴라쥬라는 기법은 이들이 전통적인 예술의 개념을 부정하기 위해 사용하게 되었다. 다다이스트들은 전통적 회화의 개념에 있어서 예술외적(藝術外的)인 영역으로 여겨왔던 폐품, 신문과 잡지의 인쇄물, 사진, 실용적인 목적을 가진 기성제품 등 작가가 창조한 이미지가 아닌 비개성적인 기성(旣成) 이미지를 미술작품 속으로 끌어 들였다. 이들 다다이스트들을 지역별로 나누어 보면 뉴욕에서 전통적 회화 도구인 물감, 붓, 캔버스를 버리고 최초로 전통회화에 반기를 든 마르쎌 뒤샹(Marcel Duchamp)의 레디메이드(ready mades)가 있고, 스위스의 츄리히에서는 한스 아르프(Hans Arp)가 우연의 법칙을 이용한 "빠삐에빌더(Papierbilder)" 작품을 제작하였고, 독일의 베를린에서는 라울 하우스만(Raoul Hausmann), 죤 하트필드(John Heartfield), 게오르 그로츠(George Grosz), 한나 회크(Hannah Hoch)가 정치성을 띤 포토몽타쥬를 하였다. 하노버에서는 본래의 다다정신과의 달리 예술을 거부하지 않았던 쿠르트 슈비터스(Kurt Schwitters)가 폐품 등을 이용해서 "메르츠(merz)"라는 작품을 함으로써 예술과 삶을 융합시키고자 하였다. ?른에서는 막스 에른스트(Max Ernst)가 인간심리학에 관심을 둔 비이성적이고 잠재적인 충동을 추구하는 꼴라쥬를 하였다. 그러나 에른스트도 모든 것을 즉, 예술 자체까지도 부정하려 했던 다다운동 본래의 이념과는 달리 비록 회화는 초월하여 했어도 예술까지 초월하려고 하지는 않았다. 그는 작품을 구성하는 꼴라쥬 요소들을 지금껏 예측하지 못한 방법으로 결합시킴으로써 그것이 소유하였던, 맹백하고 단순한 성질들을 제거해 버리고, 모호하고 불합리한 초현실적인 세계에의 문을 열어 주었다. 에른스트에 의해 그 문이 열린 꼴라쥬의 초현실적 세계는 초현실주의 미술에 이어지면서, 앙드레 마쏭(Andre Masson), 이브 탕기(Yves Tanguy), 살바도르 달리(Salvador Dali), 르네 마그리트(Rene Magritte), 후안 미로(Joan Miro)등에 의해서도 탐구되었다. 초현실주의 미술은 1924년 앙드레 브르통(Andre Breton)이 초현실주의 선언문을 발표하면서부터 다다운동을 뒤이어 일어났다. 다다운동이 적극적으로 반항적이며 파괴적인 반이성적 예술임에 대해 초현실주의 미술은 반항성이 소극화되고 초이성적인 하의식(下意識)의 형상을 보다 구체적인 방법론들을 통하여 의식적으로 나타내는데 다다운동과 다른 데가 있었다. 초현실주의자들도 꼴라쥬기법을 통하여 기성 이미지와 물체, 또는 발견된 이미지와 물체들을 그들의 새로운 표현욕구를 충족시키는데 이용하였다. 그들 작품의 내용은 작가마다 약간씩의 차이가 있기는 하나, 초현실주의의 모든 작품들의 특징이라고도 할 환상적이고 불가사의한 시적(詩的) 세계를 표현한 점에 있어서는 다같이 공통되게 나타났다. 그러나 그 누구보다도 에른스트 자신이 표현했던 꼴라쥬의 "숭고한 정복"을 이룩하는데 앞장선 화가는 바로 그였다. 2차대전 이후 다다운동과 초현실주의 미술은 현대미술의 표면적인 조류로부터 사라졌다. 그러나 그들이 꼴라쥬을 통하여 전통적인 회화의 개념을 근본적으로 바꾸어 놓는데 기여한 미술사적 업적과 그에 따른 꼴라쥬기법의 여러행태들은 오늘날 이루어지고 있는 많은 예술작품들 속으로 동화되어 그 미학성을 달리해서 나타나고 있다. 그리므로 우리는 다다운동과 초현실주의 미술에 나타난 꼴라쥬를 단지 "종이 붙이기 기법"이라는 꼴라쥬의 기법상의 기초개념을 떠나서 다다운동과 초현실주의 미술이 일어난 시대적 배경과 그에 의한 정신적인 측면에서 이해하고, 또 종이를 풀로 붙인 평면적인 빠삐에 꼴레로부터 오브제(object)를 사용하는 3차원의 아쌍블라쥬(Assemblage)의 양식까지를 포함한 포괄적인 개념을 가지고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다다운동과 초현실주의 미술은 끝났지만 그들이 개발시킨 꼴라쥬기법은 10세기 사진이 발명된 이래로 금세기의 미술이 발견한 가장 강력한 표현수단으로써, 현대미술에 지속적인 형태로 이어지고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influence of college on modern art, as well as on the history of art by examining the Dadaist and Surrealist Collages, and thereby to come to a new recognition of collage. The world "collage" which came from the French "coller" refers to the technique of pasting such in-artistic common objects as cut-out papers and cloth according to the laws of chance, the joy of imugination, and 'depaysement'. This collage technique had been practiced from long time ago in the orient as well as in the Occident, but it was by cubists in modern at that collage was given a new artistic value and recognition by introducing the technique of papier-Colle to bring texture into picture, pasting pieces of paper and cloth on a part of pictures instead of painting by hand. However, Cubist papier-Colle was used only to endow a realistic effect into picture. It was not until Dadaist and Sarrealist art that the collage technique was rediscovered and endowed with a nor significance. Dada started as a movement of revolt and devial against all the established values of European Society when the contradiction of the rationalism of nineteenth century bourgeois and scientific positivism broke out as the World War I. Dadaist Used Collage to Contradict the traditional concept of art. They brought into works of art ready-made images that was not invented by artist such as useless articles, newspapers and magazines, photography, and common ready-made objects of daily use. Dada movement was carried on in several cities throughout Europe and America. In New York Marce Duchump, who denied the fraditional concept about picture by casting away the traditional paint, brush, and canvas, invented ready-mades In Switzland Hans Arp made. Works of "papierbilder" according to the Law of chance. In Berlin Raoul Hauseann, John Heartfield, George Grosz, Hanna Hoch made political photomontages. In Hanover Kurt Schwitters made works called "mers" using cast-away articles and in doing these, he tried to Unite art and life. In Colgno Max Ernst Made Collages that parsues irrational subconscious impules of man. But Ernst, who tried to trascend painting, didit tried to transcend art itself unlike the other Dadaists. He fused collage elements in such an unexpected way as to remove their clear and familian character and open the door leading to the obscure and irrational surrealistic world. The surrealistic world opened by Ernst was explered by Surrealists including Andre Masson, Yves Tanguy, Salvador Dali, Rene Magritte, and Joan Miro Surrealist art Succeeded to Dada in 1924 when Surrealist manifesto was announced by Andre Breton. Surrealists pursued conscious expression of irrational subconsciousness with less sense of revolt, whereas Dadaists pursued anti-rational art of revolt and unconsciousness. Surrealists also adopted collage to satisty their new desire of expression using discovered images and objects. The common world of surrealist works is the poetic world of fantasy and mystery. After the world war II, Dadaism and Surrealism exist no more, but their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art that changed the traditional concept of art ana the various forms of collage technique they developed assimilated to the various works of art today with different point of aesthetics. Therefore, Dadaist and Surrealist collage should be understood not only as the technical concept of "paper pasting" but should be understood in their historical and spiritual background. And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extensive concept including from 2 dimensional papier colle to 3 dimensional Assemblage. Dadaism and Surrealism. Clased to bel but collage they developed continues to be the most powerful means of artistic expression since photograph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