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金淑喜-
dc.contributor.author許採玉-
dc.creator許採玉-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44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44Z-
dc.date.issued1977-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19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5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19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흰쥐 64마리를 사용하여 무지방식이 섭취와 그 이후의 각종 회복식이 섭취가 흰쥐 체구성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행해진 것이다. 실험은 체중 197.3±1.5g되는 Sprague-Dawley종의 수컷쥐 64마리중 4마리는 표준군으로 하고, 60마리는 2주간 무지방식이를 공급한 후 4가지 회복식이(표준식이, 고단백식이, 고탄수화물식이, 고지방식이)를 16일간 섭취시켰다. 분석은 0일, 무지방식이 7일, 14일, 회복식이 5일, 10일, 16일에 행하였다. 체중, 장기(간,비장, 심장, 신장, 생식기, 부신), 근육(Gastrocnemius, Anterior tibia), Epididymal Fat Pad, 뼈의 무게, 길이와 회분, 간과 비장의 질소량과 지방함량, 그리고 뇨의 질소량을 측정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무지방식이 2주 공급으로 체중은 25.3% 증가되었는데 이는 표준군( S )의 체중의 94.6%에 해당되는 것이었다. 체중 100g당 각 장기의 무게 중 간과 부신의 감소가 유의적이었으며, 다음이 비장, 생식기, 신장의 순으로 감소되었고 심장의 무게는 약간 증가되었다. 무지방식이 섭취후 회복식이 섭취로 회복 16일에 무지방식이 2주째의 체중에 비해 회복 표준군( RS )의 체중이 17.1%, 고단백군이 15.9%, 고탄수화물군이 3.9%, 고지방군이 17.9% 증가되었는데, 이들은 표준군 ( S )의 증가율에는 조금 미달되는 것이다. 장기의 체중 100g당 무게에서 간은 고단백, 고지방, 회복표준, 고탄수화물, 비장은 회복표준, 고단백, 고탄수화물, 고지방, 심장, 신장, 생식기에는 고단백, 고탄수화물, 회복표준, 고지방의 순으로 증가되어 고단백식이군의 회복율이 가장 좋았다. 근육의 무게는 무지방식이, 회복식이 동안 계속 조금씩 증가했으나 회복 16일에 표준군( S )의 무게에는 미달되었다. Epididymal Fat Pad는 무지방식이중에도 200%로 증가했으며, 회복식이를 공급했을 때 고지방, 회복표준( RS ), 고단백, 고탄수화물식이의 순으로 증가했는데, 가장 회복이 큰 고지방식이군에서 표준군( S )에 비해 14.6%, 무지방 2주째에 비해 65%가 더 증가 하였다. 그리고 뼈의 무게와 길이는 무지방식이 동안은 증가했으나, 회복식이중에는 식이 변화에 의해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간의 질소함량은 무지방 공급시도 유의적으로 증가했으며, 회복식이 공급동안에는 계속 고단백식이군에서 질소함량이 많았다. 비장에서는 무지방식이 동안 약간 감소했다가 회복식이 동안은 증가한다. 간의 지방함량은 무지방 공급시 공급 7일에 유의적으로 감소했다가 14일에 다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회복식이 동안은 고지방식이군의 지방함량이 가장 높았다. 비장의 지방?량은 무지방식이 공급기간 동안은 증가하고, 회복식이 동안은 회복표준군(RS)과 고단백군에서 지방함량이 높았다. 뇨의 질소량은 고탄수화물군에서 가장 낮았고, 고단백군에서 높았으며, 질소보유율은 고탄수화물군에서 가장 높았다.;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effect of non-fat diet and subsequent intake of various recovery diet on the composition of various parts of the body on 64 male rats. In this experiment 4 rats of 6h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197.3±1.5g were fed with standard diet for 30 days and the rest, 60 rats were given the non-fat diet for 2 weeks. After 2 weeks 4 recovery diets, standard, high-protein, high-carbohydrate, and high-fat diet were fed on 12 rats each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schedules. Rats were killed on the day after 0, 7, and 14 days of non-fat diet and 5, 10, and l6 days after feeding four different recovery diets. Total body weight, internal organs; liver, spleen, heart, kidney, sex organ, and adrenal, skeletal muscles; gastrocnemius and anterior tibia, and epididymal fat pad were measured. And the length, weight, and ash content of bones; femur, tibia, and humerus were weighted. Nitrogen and lipid content of the liver and spleen, and nitrogen content of urine were determined.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were as follows; 25.3% body weight gain was observed after 2 weeks feeding fat-free diet. This weight of non-fat group after 2 weeks reached 94.6% body weight of the standard group. The weight loss of liver and adrenal was the highest per 100gr body weight among organ weights observed. The less weight loss was also observed in order of spleen, sex organ, and kidney. Unexpectedly heart weight was increased. The body weights of each group fed with four different recovery diets were compared with the body weight of the group fed with non-fat diet for 2 weeks. The weight gains of recovery standard diet group, high-protein diet group, high-CHO diet group and high-fat diet group were 17.1%, 15.9%, 3.9% and 17.9% respectively. None of them reached the weight of standard group. The weight gains in two organs showed different trend; liver increased in order of high-protein, high-fat, recovery standard, and high-CHO diet group, and spleen, recovery standard, high-protein, high-CHO and high-fat diet group respectively. Heart, kidney, and sex organ increased same trend of high-protein, high-CHO, recovery standard, and high-fat diet group. This indicates that recovery rate of high-protein diet is the most effective in this respect. Weight of skeletallmuscle was increased persistently during non-fat and recovery diet feeding but it did not reached the weight of standard group at the same time. Epididymal fat pad increased enormously up to 200% during non-fat diet. Besides the respects observed above, composition of various organs observed in this experiment such as total nitrogen and lipid contents were increased during non-fat feeding period. After fat free diet fed, all the animals switched into four different recovery diet as mentioned abovd. Recovery ratio in every view point of in this experiment due to fat omition in their diet showed the best result in the recovery of standard diet group which has been fed well proportioned diet in all mutrient balance. The worst result in the sense of recovery from the effect of fat free diet fed, showed in every concerns in this experiment the group of high-CHO die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目次 = iii 논문개요 = iv Ⅰ. 서론 = 1 Ⅱ. 실험 재료 및 방법 = 2 A. 실험 재료 = 2 1. 실험동물 = 2 2. 사료의 구성 성분 = 2 B. 실험 방법 = 6 1. 사료 섭취량과 체중 = 6 2. 장기, 근육 및 fat pad의 분석 = 6 3. 골격의 측정 = 6 4. 뇨분석 = 7 C. Data 처리방법 = 7 Ⅲ. 실험결과 = 8 A. 식이 섭취량 = 8 B. 체중 = 8 C. 장기, 근육, Epididymal Fat Pad의 무게 = 12 D. 골격의 무게, 길이 및 회분 = 25 1. 골격의 무게 = 25 2. 골격의 길이 = 25 2. 골격의 회분 = 26 E. 간과 비장의 총 질소량과 총 지방함량 = 26 1. 간과 비장의 총 질소량 = 26 2. 간과 비장의 지방함량 = 31 F. 뇨의 총 질소량 = 33 Ⅳ. 고찰 = 34 A. 무지방식이 섭취기간 동안의 체중 및 신체 부위별 무게 변화 = 34 B. 무지방식이 섭취기간 동안의 신체 부위별 성분변화 = 36 C. 회복식이 섭취기간 동안의 체중 및 신체부위별 무게 변화 = 37 D. 회복식이 섭취기간중의 신체부위별 성분 변화 = 40 Ⅴ. 요약 = 42 참고문헌 = 44 ABSTRACT = 4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2584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各種 回復食餌가 無脂肪食餌를 攝取한 흰쥐의 體構成 成分에 미치는 影響-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4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식품영양학과-
dc.date.awarded197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