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6 Download: 0

어머니의 통제 및 아동의 정서조절능력과 공격성간의 관계

Title
어머니의 통제 및 아동의 정서조절능력과 공격성간의 관계
Other Titles
Maternal Control and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s related to Child's Aggression
Authors
김희영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도현심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통제 및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이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과 어머니의 통제와 아동의 정서조절능력간의 관계 살펴보았다. 이와 동시에 어머니의 통제와 아동의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의 매개적 역할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2개의 초등학교에 다니는 6학년 남녀 아동 378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척도를 살펴보면, 심리적 통제와 행동적 통제는 모두 Barber(1996)가 선행 연구들을 참고 하여 개발한 척도를 번안한 후 역번역하여 사용하였다. 아동의 정서조절능력 척도는 Eisenberg(1993)가 사용한 13가지 아동 정서조절 척도를 바탕으로 선행 연구들을 참고하여 임희수(2002)가 개발한 정서조절 척도를 사용하였다. 아동의 공격성은 Crick와 Grotpeter(1995)의 공격성 정의와 Schwartz, Chang과 Farver(2000)의 공격성 척도를 참고로 하여 박성연(2002)이 개발한 아동용 질문지를 수정·보완한 강지흔(2004)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를 많이 지각할수록 아동은 높은 공격성을 보인 반면, 행동적 통제를 많이 지각할수록 낮은 공격성을 보였다. 성별로 살펴보면, 심리적 통제를 많이 지각한 여아는 높은 반응적, 주도적 및 관계적 공격성을 보였으며, 행동적 통제를 받은 남아는 높은 관계적 공격성을 나타내었다. 둘째, 아동의 정서조절능력 중 회피만이 반응적, 관계적 및 주도적 공격성을 높였다. 성별로 살펴보면, 남아의 경우 문제중심적대처 및 지지추구가 높을수록, 감정발산 및 회피가 낮을수록 반응적 공격성을 덜 보였다. 또한 회피를 사용할수록 관계적 공격성을 많이 나타내었다. 여아의 경우 회피를 많이 나타낼수록 높은 반응적 공격성을 나타냈으며, 감정 발산 및 회피를 많이 나타낼수록 관계적 공격성과 주도적 공격성을 많이 나타내었다. 셋째, 심리적 통제를 많이 받은 아동은 감정발산, 회피와 같은 역기능적 정서조절능력을 나타내었으며, 행동적 통제를 많이 받은 아동은 문제 중심적 대처 및 지지추구와 회피의 정서조절능력을 많이 사용하였다. 성별로 살펴보면, 남아의 경우 심리적 통제를 많이 받는다고 지각 할수록 감정발산, 회피를 많이 나타내었다. 행동적 통제를 많이 받는다고 지각할수록 문제중심적대처 및 지지추구를 많이 나타내었으며, 감정발산 및 회피와 같은 역기능적 정서조절은 덜 나타내었다. 여아의 경우 남아와 마찬가지로 심리적 통제를 많이 받는다고 지각 할수록 감정발산, 회피를 많이 나타내었으며, 행동적 통제를 많이 받는다고 지각할수록 문제중심적대처 및 지지추구를 많이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정서조절능력 중 회피는 어머니의 심리적통제와 주도적, 반응적, 관계적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적 역할을 하였고 또한, 행동적 통제와 관계적 공격성간에서도 완전 매개적 역할을 하였다. 즉, 어머니의 통제는 아동의 공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성별로 살펴보면, 남아의 경우 정서조절능력 중 회피는 어머니의 통제와 관계적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적 역할을 하였다. 여아의 경우, 회피와 감정발산은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주도적, 관계적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적 역할을 하였으며, 심리적 통제와 반응적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는 부분 매개적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통제, 아동의 정서조절능력 및 아동의 공격성간의 밀접한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및 역기능적 정서조절능력은 아동의 공격성을 증가시키는 반면, 어머니의 행동적 통제 및 기능적 정서조절능력은 아동의 공격성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통제와 아동의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의 매개적 역할을 발견함으로써, 정서조절능력이 아동의 공격성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요인임을 밝혔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behavioral control and a child's emotion regulation on a child's aggression, and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behavioral control's effect upon a child's emotion regulation. Simultaneously, we would like to investigate the role of a child's emotion regulation as a med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behavioral control and a child's aggression. For this, we collected data by using questionnaires at 2 elementary schools in the Kyung-Gi provence, answered by 378 students.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behavioral control was evaluated by adapting and translating the score developed by Barber (1996). The measure of a child's emotion regulation was done by using the parameter developed by Hee-soo Lim (2002) based upon 13 children emotion regulation parameters used by Eisenberg(1993). Childhood aggression was measured by using a parameter developed by Song-Yeun Park (2002), which was modified by Ji-Heun Kang(2004). This parameter was based upon the definition of childhood aggression made by Crick and Grotpeter (1995), and the parameter developed by Schwartz, Chang, & Farver(2000).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of all, the more a child was aware of a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the more aggressiveness a child showed. According to gender, a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 girl's reactive, proactive, and relational aggressiveness. Behavior control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a boy's relational aggressiveness. Second, among a child's emotion regulation, avoidance was the only type that aggravated the proactivity, reactive, and relational aggressiveness. According to gender, the higher a boy's problem- focused coping & support pursuit was, and the lower venting and avoidance was, the lower reactive aggression was. In the relational aggressiveness, avoidance was the only one tha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In girls, the higher the degree of avoidance was, the higher reactive aggressiveness was, and the higher venting and avoidance was, the higher reactive aggression and proactive aggression was. Third, psychological control showe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venting and avoidance. Behavior control showed significant emotional relationship with problem- focused coping & support pursuit. According to gender, in boys, psychological control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venting and avoidance. With girls, psychological control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venting and avoidance, and behavior control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problem- focused coping & support pursuit. Finally, among a child's emotional coping methods, avoidance showed to have a complete mediate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and relational, reactive, and proactive aggressiveness. This implies that a mother's control has an indirect effect upon a child'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rather than a direct effect on a child's aggressiveness. According to gender, with boys, among emotional coping methods, avoidance proved to work as a medium between a mother's control and relational aggressiveness. In girls, avoidance and venting proved to work as a medium between a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and relational, reactive, and proactive aggressiveness. Through this research,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 mother's control and a child's emotion regulation ability and a child's aggressiveness. We learned that a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and dysfunctional emotional regulation increased a child's aggressiveness. On the other hand, a mother's behavior control and functional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reduced a child's aggressiveness. By discov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mother's control and a child's aggressiveness, we came to learn that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is useful in predicting a child's aggressiven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