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성연-
dc.contributor.author안현선-
dc.creator안현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26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682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5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682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행동억제와 완벽주의 하위차원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행동억제와 완벽주의가 대인불안 및 수행불안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혹은 상호작용하여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또한, 탐색적 수준에서 방향성 차원의 완벽주의(CAPS)와 성격적 차원의 완벽주의(MPS)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여자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373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불안, 행동억제, 완벽주의에 관한 질문지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여고생의 사회불안은 양재원, 양윤란과 오경자(2008)의 K-SAS-A(Korean Social Anxiety Scale for Adolescents)와 문혜신과 오경자(2002)의 한국판 아동·청소년용 사회불안척도를 사용하여 대인불안과 수행불안을 각각 측정하였다. 여고생의 학령기 행동억제는 오경자와 양윤란(2003)이 번역한 Reznick, Hegeman, Kaufman, Wood와 Jacobs(1992)의 RSRI(Retrospective Self-Report of Inhibitio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여고생의 완벽주의는 이재연(2004)이 번안한 Flett, Hewitt, Boucher, Davidson과 Munro(2000)의 CAPS(Child and Adolescent Perfectionism Scale)와 현진원(1992)이 번안한 Frost, Marten, Lahart와 Rosenblate(1990)의 MPS(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를 사용하여 각각 완벽주의의 방향성 차원(자기지향적 완벽주의,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과 성격적 차원(실수에 대한 염려, 개인적 기준, 부모의 기대, 부모의 비난, 수행에 대한 의심, 조직화)을 측정하였다. 연구문제 분석을 위해서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MPS 완벽주의와 CAPS 완벽주의의 하위차원들 간에는 대체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즉, CAPS 중 자기지향적 완벽주의는 부모의 비난을 제외한 MPS의 하위요인인 실수에 대한 염려, 개인적 기준, 부모의 기대, 수행에 대한 의심 및 조직화와 정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CAPS 중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는 MPS의 모든 하위 차원, 즉, 실수에 대한 염려, 개인적 기준, 부모의 기대, 부모의 비난, 수행에 대한 의심 및 조직화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특히, 부모의 기대와 높은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여고생의 학령기 행동억제와 현 시기의 완벽주의 간 정적인 관련성이 나타났다. 즉, 행동억제는 CAPS의 자기지향적 완벽주의 및 MPS의 실수에 대한 염려, 개인적 기준, 부모의 기대, 부모의 비난, 수행에 대한 의심, 조직화의 완벽주의 하위차원들과 정적 상관이 있으며, 특히, 실수에 대한 염려, 부모의 비난, 수행에 대한 의심과 더 높은 정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행동억제와 완벽주의 하위차원이 여고생의 대인불안 및 수행불안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행동억제와 CAPS 완벽주의를 독립변인으로 투입한 회귀식에서는 행동억제가 대인불안 및 수행불안을 가장 잘 예측하고 있었으며, CAPS 완벽주의 중에서는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만이 대인불안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행동억제와 MPS 완벽주의를 독립변인으로 투입한 회귀식에서는 대인불안의 경우 실수에 대한 염려, 행동억제, 수행에 대한 의심, 부모의 비난, 부모의 기대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수행불안의 경우 행동억제, 실수에 대한 염려, 수행에 대한 의심, 개인적 기준, 부모의 기대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실수에 대한 염려, 행동억제, 수행에 대한 의심, 부모의 비난이 높을수록 대인불안이 높은 반면, 부모의 기대가 높을수록 대인불안이 낮았다. 또한, 행동억제, 실수에 대한 염려, 수행에 대한 의심이 높을수록 수행불안이 높은 반면, 개인적 기준과 부모의 기대가 높을수록 수행불안이 낮았다. 한편, 행동억제와 수행불안의 관계에서 MPS의 하위요인인 부모의 비난이 중재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행동억제와 완벽주의는 대인불안 및 수행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실수에 대한 염려는 대인불안을 가장 잘 예측하는 한편, 행동억제는 수행불안을 가장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령기의 행동억제와 완벽주의는 서로 상호작용하여 여고생의 수행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행동억제가 높고 부모로부터 비난받을 것을 두려워하는 완벽주의가 높은 경우 특히 수행불안이 높았다. 본 연구는 행동억제와 다차원적 완벽주의가 여고생의 사회불안을 예측하는 주요변인임을 확인하고, 다차원적 완벽주의의 특정 하위요인이 행동억제와 수행불안의 관계에서 중재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청소년의 사회불안에 대한 지도방향을 제공하였다는 점에 실용적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hood behavioral inhibition,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A total of 373 high school girls(mean age= 16.81)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on behavioral inhibition, perfectionism(CAPS; self-oriented perfectionism,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 MPS; concern over mistakes, personal standards, parental expectations, parental criticism, doubting of actions, organization), anxiety in interpersonal and performance situations.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PS' perfectionism and CAPS' perfectionism was found. That is, CAPS' self-oriented perfectionism was related to MPS' perfectionism except parental criticism. Also, there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APS'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ll MPS' perfectionism factors. Second, childhood behavioral inhibi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That is, childhood behavioral inhibi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all sub-dimensions of perfectionism except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Third, concern over mistakes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predicting interpersonal anxiety, whereas childhood behavioral inhibi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predicting performance anxiety.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al criticism was found in the link between childhood behavioral inhibition and performance anxiety. In other word, high school girls' with higher behavioral inhibition and higher perfectionism regarding parental criticism showed the highest performance anxiety. In conclusion, both behavioral inhibition and perfectionism had significant effects on both interpersonal anxiety and performance anxiety. childhood behavioral inhibition and perfectionism uniquely or additively contributed to high school girls' social anxie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5 A. 사회불안의 개념 및 중요성 = 5 B. 사회불안과 관련된 변인 = 9 1. 행동억제 = 9 가. 행동억제의 개념 = 9 나. 행동억제와 사회불안간의 관계 = 11 2. 완벽주의 = 13 가. 완벽주의의 개념 = 13 나. 완벽주의와 사회불안간의 관계 = 18 C. 행동억제, 완벽주의 및 사회불안간의 관계 = 19 Ⅲ. 연구문제 및 용어정의 = 22 A. 연구문제 = 22 B. 용어정의 = 22 Ⅳ. 연구방법 = 25 A. 연구대상 = 25 B. 측정도구 = 27 C. 조사절차 및 자료분석 = 31 Ⅴ. 연구결과 = 32 A. 기초분석 = 32 B. 완벽주의 하위차원들 간의 관계 = 34 C. 행동억제와 완벽주의간의 관계 = 36 D. 행동억제와 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37 E. 행동억제와 사회불안간의 관계에서 완벽주의의 중재역할 = 42 Ⅵ. 논의 및 결론 = 44 참고문헌 = 53 부록. 측정도구 = 62 ABSTRACT =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528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행동억제와 완벽주의가 여고생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Behavioral Inhibition and Perfectionism on High School Girls' Social Anxiety-
dc.creator.othernameAhn, Hyun Sun-
dc.format.pageⅷ, 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아동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