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도현심-
dc.contributor.author김지현-
dc.creator김지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26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02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5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028-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th of the child-related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pport/control of mothers on the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89 ninth-grade teens from four different middle schools and their mothers in Seoul,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to gather data. The instrument used to find out the child-related stress of the mothers was Han Mi-seon(1992)'s scale based on McCubbin's FILE, Lee Pyeong-sook(1984)'s study and Ok Son-hwa(1991)'s study. Kim Hye-shin(2003)'s inventory was employed to evaluate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which was a modified version of Olson & Barnes(1982)'s Quality of Life and the CES-D of Kim Oh-nam (1998), Lee Son-mi(2001) and Radloff(1977). Barber, Stolz & Olsen (2005)'s revised scale was utilized to assess their support and control. The school adjustment of the teens was checked by a scale that modified Yoo Yoon-hee(1994)'s Child School Adjustment Inventory, Lee Jeong-soon(1993)'s Child School Adjustment Inventory and Won Ho-taek (1987)'s School Life Inventory to suit secondary students.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posed in the study, the correlation of the variables was investigated,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utilized to verify theoretical models for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lated stress of the mothers exercised an influence on the school adjustment of the adolescents through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pport/control. The mothers who were less stressed out about their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their future problem and parent-child relation were more contented with their life and less depressed, which made the teens perceive the parenting behavior of the mothers to be more supportive and characterized by less psychological control and more behavioral control. And the adolescents consequently fitted better into their school life. Second, the child-related stress of the mothers had a secondhand impact on the school adjustment of the adolescents through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The mothers who suffered less child-related stres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life and less depressed, and their children were better adjusted to their school life. Third, the child-related stress of the mothers exerted a secondhand influence on the school adjustment of the teens through their support/control. The mothers who felt less child-related stress backed up their children more and got them in less psychological control and more behavioral control, which served to boost their school adjustment. Finally, the child-related stress of the mothers didn't affect the school adjustment of the teens in a direct path.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path of the influence of child-related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pport/control of the mothers on the school adjustment of the adolescents, and all the child-related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pport/control of the mothers were identified as major factors to affect the school adjustment of the teens. Specifically, their support/control had the largest impact on that, and it was ascertained that the positive parenting behavior of mothers should be bolstered to ensure the smooth school adjustment of teens. At the same time, this study found that the sound child-related stress removal of mothers and the improvement of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re primary factors to concern the sou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Accordingly,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made it clear that parent-education programs should provide intervention for mothers to enhance their emotional regulation skills.;본 연구는 어머니의 자녀관련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및 지지/통제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의 네 군데 중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389명의 청소년들과 그들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어머니의 자녀관련 스트레스는 McCubbin의 FILE(Family Inventory of Life Events and change, 1981), 이평숙(1984), 옥선화(1991)의 연구를 기초로 한미선(1992)이 구성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은 Olson과 Barnes(1982)의 Quality of Life, 김오남(1998), 이선미(2001)와 Radloff(1977)의 CES-D(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를 수정 · 보완하여 사용한 김혜신(2003)의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어머니의 지지/통제는 Barber, Stolz와 Olsen(2005)이 개정한 척도를 번안하여 측정하였으며,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은 유윤희(1994)가 임정순(1993)의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검사지’와 원호택(1987)의 ‘학교생활 검사지’를 참고로 중 · 고등학생에게 적절하게 수정 · 보완하여 구성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 변인들 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각 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자녀관련 스트레스는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지지/통제를 통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쳤다. 즉, 어머니가 자녀관련 학업성적, 진로문제,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스트레스가 적을수록 어머니는 생활만족도가 높고 덜 우울하였으며, 이것은 청소년으로 하여금 어머니가 더욱 지지적이며 심리적 통제는 적게 하고, 행동적 통제는 많이 한다고 지각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은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였다. 둘째, 어머니의 자녀관련 스트레스는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을 통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어머니의 자녀관련 스트레스가 적을수록 어머니의 생활만족도가 높고 우울이 낮았으며, 청소년들은 학교생활적응을 잘하였다. 셋째, 어머니의 자녀관련 스트레스는 어머니의 지지/통제를 통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어머니가 자녀와 관련된 스트레스를 적게 느낄수록 자녀를 지지하고 심리적 통제를 덜 하였으며, 행동적 통제를 많이 하였고, 이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을 높였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자녀관련 스트레스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자녀관련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및 지지/통제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어머니의 자녀관련 스트레스,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어머니의 지지/통제 모두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들 중 특히 어머니의 지지/통제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발견함으로써 청소년의 원만한 학교생활적응을 위해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을 촉진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어머니로 하여금 자녀관련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높은 심리적 안녕감을 갖도록 하는 것이 청소년의 건강한 학교생활적응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요인임을 밝힘으로써 부모교육 프로그램에서 어머니의 정서조절능력을 증진시키는 중재적 노력이 요구됨을 밝혔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7 A. 학교생활적응 = 7 B. 어머니의 자녀관련 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 및 지지/통제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 8 1. 어머니의 자녀관련 스트레스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 8 2.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 10 3. 어머니의 지지/통제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 12 C. 어머니의 자녀관련 스트레스 및 심리적 안녕감과 지지/통제 간의 관계 = 14 1. 어머니의 자녀관련 스트레스와 지지/통제 = 14 2.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지지/통제 = 15 3. 어머니의 자녀관련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 16 D. 어머니의 자녀관련 스트레스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 및 지지/통제의 매개적 역할 = 17 Ⅲ. 연구문제 및 용어 정의 = 20 A. 연구문제 = 20 B. 용어 정의 = 22 Ⅳ. 연구방법 = 24 A. 연구대상 = 24 B. 조사도구 = 26 C. 조사절차 및 자료분석 = 30 Ⅴ. 연구결과 = 32 A. 예비분석 = 32 B. 측정모형 분석 = 33 C. 상관관계 분석 = 34 D. 어머니의 자녀관련 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 및 지지/통제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대한 구조모형 분석 = 37 Ⅵ. 논의 및 결론 = 42 참고문헌 = 49 <부록1> 어머니용 설문지 = 64 <부록2> 청소년용 설문지 = 70 ABSTRACT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954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어머니의 자녀관련 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 및 지지/통제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athways from Child-Related Stress to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pport/Control of Mothers-
dc.creator.othernameKim, Ji Hyun-
dc.format.pageⅶ,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아동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