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5 Download: 0

"Girdle" 生産工程의 作業時間 및 稼動分析에 관한 硏究

Title
"Girdle" 生産工程의 作業時間 및 稼動分析에 관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Working Time and Operation Analysis in the Girdle-production Process
Authors
한명옥
Issue Date
198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宋泰玉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adjust working time and operation analysis in the girdle-making processes, for improving working efficiency and management. For performing effectively this study, working status and conditions were folly examined, and an observational survey was conducted in each of motion elem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correlation between working time and operation analysis shows a considerably high coefficient of 0.99. It seems that a better system of work allotment and improved management would rise the productivity to a certain higher extent. 2. When given a standard time of 38.3 sec., a tentative work allotment increased the production by 19.8%. 3. If it is rational that the wage should be determined depending on production efficiency, performance rating would be crucial to the determination of wage. It is especially desired that No.10 employee's wage should be raised by 151%. 4. The delayed operation rate shows 19.7%, and the fact that preparation rating in sub-classification and operation allowance in classification form a considerable rate requires a careful process control and training for employees. 5. If stand-by or carriage that can be easily improved by a manager was reduced, delayed operation rate could be lessened by 13.4%.;産業의 급진적 발전으로 製品種類가 多樣해지고 生産工程이 複雜해짐에 따라 發展하는 作業硏究의 체계는 기업을 더욱 成長시키고 生産을 높이게 된다. 本 硏究에서는 "Girdle" 生産工程에 時間硏究와 稼動分析을 適用시키어, 作業能率과 管理改善에 대한 問題點을 찾아 보고자 했다. 硏究方法으로는 19명의 작업자들이 작업하는 내용을 충분히 把握하고 要素作業을 구분하여 作業觀測調査를 실시하였다. 時間硏究는 Performance Rating·Allowance Rating을 考慮하여 標準時間을 구하였고, 標準時間으로 生産量推定, 賃金과의 關係를 평가하여 보았다. 그리고 稼動分析에서는 不稼動率을 策定하여 관리개선점을 分析하였다. 그 結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을 수 있었다. 1. 時間硏究와 稼動分析의 관계는 상관계수 0.99의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作業配置와 管理改善을 통하여 각각 生産性을 向上시킬 수 있게 된다. 2. 38.3초의 標準時間으로 작업자에게 작업량을 배분하여 배치하였더니 生産量이 19.8% 增加하였다. 3. 賃金이 生産能率에 따라 決定됨이 옳다면, P, R에 의해서 賃金이 決定되어야 하고, 本 硏究의 결과에 의하면 특히 10번 작업자의 賃金은 151% 올려주어야 함이 妥當하다고 믿어진다. 4. 稼動分析에 의하면 本 硏究對象 工程의 不稼動率은 19.7%이었다. 不稼動率을 소분류와 대분류로 나누어 본 결과에 의하면 소분류에서는 준비작업의 비율이 많았고, 대분류에서는 작업여유의 비율이 많았다. 5. 稼動分析의 분류중에서 "대기"·"운반"의 시간을 줄이면 全 不稼動率을 13.4$ 줄일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