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영경-
dc.contributor.author이은주-
dc.creator이은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13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13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4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5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429-
dc.description.abstract최근 몇 년 사이 환경문제가 국제적 화두로 등장하면서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그 중 환경을 생각하는 친환경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여러 산업에서 친환경 제품과 친환경 소재 등의 개발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디자인 분야에서도 친환경 디자인이라는 개념이 나타났으며, 친환경 제품의 기능적 요소에 소비자의 소비욕구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디자인 요소를 접목함으로써 친환경 제품의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친환경 디자인 연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색채 중심의 친환경 디자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친환경과 인공에 대한 연상색채에 관한 연구로서 일반인, 전문가, 외국인 집단의 친환경과 인공에 대한 연상색채를 파악하고, 성별, 전문성, 국적에 따른 연상색채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연구 자료들을 통해 색채 연상에 대한 이해와 친환경 색과 인공 색에 대한 개념을 파악하였으며, 색채 중심의 친환경 디자인 연구 사례를 살펴보았다. 둘째, 일반인, 전문가, 외국인 집단의 친환경과 인공에 대한 연상색채를 파악하고 성별, 전문성, 국적에 따른 연상색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후 실험을 통해 도출된 연상색채를 제시하고, 색채를 통해 연상되는 대상물을 조사함으로써 친환경과 인공에 대한 연상색채와 연상물의 관련성을 파악하였다. 셋째, 친환경과 인공에 대한 연상색채 결과를 토대로 연구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인 전문가 외국인의 친환경에 대한 연상색채는 연상색채의 분포 범위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공통적으로 GY, G계열 색상과 중-고채도의 Strong, Deep, Dull영역의 색조에서 집중된 분포가 나타났다. 친환경에 대한 연상색채의 개수는 전문가 44개, 일반인 15개, 외국인 11개로 전문가의 친환경에 대한 연상색채 분포 범위가 가장 넓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반인과 외국인의 친환경에 대한 연상색채는 대부분 일치하였으며, GY, G계열 색상 중심의 분포를 보였다. 반면 전문가의 친환경에 대한 연상색채는 GY, G계열 외에 YR, Y계열 등의 색상에서도 나타났으며, 넓은 색조 분포가 나타났다. 둘째, 일반인, 전문가, 외국인의 인공에 대한 연상색채는 공통적으로 P, RP계열 색상 중심으로 분포하였으며, 집단별 인공에 대한 연상색채의 차이는 Neutral계열 색채에서 나타났다. 인공에 대한 연상색채의 개수는 외국인 47개, 전문가 33개, 일반인 30개로 일반인과 전문가는 비슷하게 나타난 반면 외국인의 인공에 대한 연상색채 분포 범위가 가장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인과 외국인은 대부분의 Neutral계열 색채를 인공에 대한 연상색채로 인식하는 반면 전문가는 Neutral계열 색채를 인공에 대한 연상색채로 인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별 친환경과 인공에 대한 연상색채 특성은 전문성 차이에 따른 일반인과 색채 전문가의 친환경에 대한 연상색채에서 가장 큰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친환경에 대한 연상색채와 자연물의 연상은 관련성을 갖지만, 인공에 대한 연상색채와 인공물의 연상은 관련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친환경에 대한 연상색채를 통해 연상되는 대상물은 대부분 자연물이었으며, 인공에 대한 연상색채를 통해 연상되는 대상물 또한 인공물보다 자연물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친환경에 대한 연상색채를 , 통한 친환경에 대한 형용사 이미지 분석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색 견본 제시여부에 따른 친환경에 대한 연상색채는 대부분 공통된 색상에서 나타났으며, B계열 색상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B계열 색채는 친환경에 대한 연상 색채로 인식되고 있지만, 실제 B계열 색채를 통해서는 친환경을 연상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일반인, 전문가, 외국인 집단의 친환경과 인공에 대한 연상색채를 파악하고 성별, 전문성, 국적에 따른 친환경과 인공에 대한 연상색채의 특성 차이를 알 수 있었다. 또한 친환경 색에만 집중하지 않고 인공 색까지 고려하여 연구함으로서 보다 정확한 친환경과 인공에 대한 연상색채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친환경 디자인뿐만 아니라 인공적 이미지를 표현하려는 디자인에도 적용될 수 있는 색채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As the environmental issue has appeared as an international topics for a few years recently, movements try to solve this have been occurring actively. As consumers' interest in eco-friendly products of considering environments among them, eco-friendly goods and eco-friendly materials etc. in various industries have been developed intensively. A concept of eco-friendly design has appeared in the design area as well, and the competitiveness of eco-friendly products is strengthened by grafting design elements which can touch off the consumers' desires for consumption into functional elements of the eco-friendly products. Although studies on this eco-friendly design are increasing consistently, it is true that studies on the eco-friendly design focused on colors are insufficient. Accordingly, as a study on associated colors eco-friendliness and artificiality,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understand ordinary citizens', experts' and foreigners groups' associated colors with eco-friendliness and artificiality, and to elucidate differences in the associated colors by sex, professionalism, and nationality. The progress proc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existing research data allowed us to understand color association and concepts of eco-friendly colors and artificial colors, and we examined eco-friendly design study cases focused on colors. Second, we understood associated colors with eco-friendliness and artificiality by ordinary citizens, experts, and foreigners groups and analyzed differences in the associated colors depending on sex, specialty, and nationality. And then we provided the associated colors drawn from a test, and understood relations between the associated colors and associates in relation to eco-friendliness and artificiality by investigating objects which are associated through colors. Third, research findings were analyzed based on results of the associated colors with eco-friendliness and artificiality.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sociated colors with eco-friendliness which are viewed by ordinary people, specialists, and foreigners displayed distinction in a range of the associated colors, and concentrated distribution appeared in colors in the strong, deep, and dull range of the medium and high chroma and GY, G type colors in common. For the number of the associated colors with eco-friendliness, experts were 44, ordinary citizens 15, and foreigners 11, which indicates that the distribution range of the experts' associated colors with eco-friendliness is widest. Most of the associated colors with eco-friendliness between the ordinary citizens and foreigners were the same, and showed distribution focused on GY, G type colors. On the other hand, the experts' associated colors with eco-friendliness appeared in colors of YR, Y types etc. except for GY, G types, and wide distribution of colors was shown. Second, the ordinary citizens', experts', and foreigners' associated colors with artificiality were distributed focused on P, RP type colors in common, and differences in the associated colors with artificiality by each group were shown in the neutral range. It was found while for the number of associated colors with artificiality, foreigners 47, experts 33, and ordinary citizens 30, which demonstrates that the results were similar between the ordinary citizens and experts, the distribution range of foreigners' associated colors with artificiality was widest. It was found while the ordinary citizens and foreigners recognize most of colors in the neutral range as associated colors, the experts do not recognize colors in the neutral range as the associated colors. Third, characteristics of associated colors with eco-friendliness and artificiality by group showed the biggest difference in associated colors with eco-friendliness between ordinary citizens and color experts depending on differences in professionalism. Fourth, it was found that although associated colors with eco-friendliness and association with natural objects are related to each other, the associated colors with artificiality and association with artifacts are less related to each other. It was found objects associated through associated colors with eco-friendliness were natural objects in most cases, and many objects associated through associated colors with artificiality were also natural objects. Fifth, it was found that adjective image analysis of eco-friendliness through associated colors with it is not significant. Sixth, associated colors with eco-friendliness depending on provision of color samples appeared in the same colors in most cases, and differences were found in B type colors. It was found although B type colors are recognized as associated colors with eco-friendliness, it is not associated through B type colors actually. This study allowed us to understand ordinary citizens', experts' and foreigners groups' associated colors with eco-friendliness and artificiality, and to identify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of the associated colors with eco-friendliness and artificiality by sex, professionalism, and nationality.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ssociated colors with eco-friendliness and artificiality more accurately by investigating artificial colors taking them into consideration without being limited to eco-friendly colors only. Hopefully, the present study will be able to be used for basic data of colors which can also be applied to design to try to artificial images as well as eco-friendly desig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Ⅱ. 연구의 이론적 배경 5 A. 색채에 대한 이해 5 1. 색채의 개념 5 2. 색체계 6 3. Hue & Tone System 9 B. 색채 연상에 대한 이해 14 1. 언어와 색채 지각 14 2. 색채 연상 15 C. 친환경 색과 인공 색에 대한 이해 18 1. 친환경 색과 인공 색 18 2. 친환경 디자인에 대한 이해 21 Ⅲ. 친환경에 대한 연상색채 및 연상제품 조사 29 A. 연구 및 분석 방법 29 1. 연구대상 29 2. 측정 도구 및 방법 29 3. 분석 도구 및 방법 30 B. 연구 결과 분석 31 1. 친환경에 대한 연상색채 31 2. 친환경에 대한 연상제품 34 Ⅳ. 친환경과 인공에 대한 연상색채 및 연상물 연구 36 A. 연구 및 분석 방법 36 B. 연구 및 분석 방법 37 1. 연구 대상 37 2. 실험 도구 및 방법 38 3. 분석 도구 및 방법 42 C. 연구 결과 분석 44 1. 친환경에 대한 연상색채 특성 44 2. 인공에 대한 연상색채 특성 50 3. 친환경과 인공에 대한 연상물 특성 56 D. 연구 결과 비교분석 59 1. 집단별 연상색채의 특성 비교분석 59 2. 친환경과 인공에 대한 연상색채의 형용사 이미지 비교분석 66 3. 색채 제시여부에 따른 친환경에 대한 연상색채 비교분석 73 Ⅴ. 결론 및 제언 75 참고문헌 79 부록-1. 예비설문 설문지 82 부록-2. 친환경과 인공에 대한 연상색채 실험 설문지 84 부록-3. 친환경과 인공에 다한 연상물 조사 결과 85 Abstract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05333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친환경과 인공 개념의 언어 연상색채 특성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haracter of eco-friendly and artificial language associated color-
dc.creator.othernameLee, Eun Joo-
dc.format.pagexii, 9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