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趙運朝-
dc.contributor.author車銀姬-
dc.creator車銀姬-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07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07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3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4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352-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lody of Haegeum and Piri in Gilgunak and Giltaryeo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lody of Haegeum and that of Piri by investigating each musical piece and composition of melody, comparing the melody of Haegeum and that of Piri, and calculating the frequency.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lody of Haegeum and that of Piri in Gilgunak and Giltaryeong are as follows: First, Gilgunak is somewhat complicated due to the structure made up of 29 Jangdans and a half Jangdan, which are consisted of chapter 1·chapter 2·chapter3·repeated chapter 1(Doljang 1)·repeated chapter 2(Doljang 2)·chapter 4. However, numerous melodies are repeated, and chapter 4 plays the role of a bridge making modulation. Giltaryeong is consisted of 26 Jangdans with chapter 1, chapter2, chapter3, chapter 4 but has no repeated phrase. Second, the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a melody of Haegeum and Piri in Gilgunak shows 107 of the same beats(Jeonggan), 58 of similar beats(Jeonggan), 45 of different beats(Jeonggan), and 26 of connective melody, which represents 45.3%, 24.6%d, 19.1%, and 11% respectively. These findings prove that about 45.3% of a melody of Haegeum and Piri in Gilgunak flows on the same melody, whereas, 54.7% of them do on either similar or different melody. Third, in case of similar melody, two melodies have either the form of obique motion with the same main tone but different passing tone or the form with the same main tone but different ornament(Sigimsae) and rhythmic shape. Also, the formation of similar motion and contrary motion showed a chord state in collision of two melody colliding with each other in the difference of 2^(nd) degree, 3^(rd) degree, 4^(th) degree, 5^(th) degree, and 7^(th) degree. Forth, as for the melody of Haegeum and that of Piri in Giltaryeong, 56 beats(Daegang) out of 104 beats(Daegang) are the same, 26 beats(Daegang) are similar, and 16 beats(Daegang) are different while 6 beats(Daegang) are connective melodies. Each of these findings represents 53.8%, 25%, 15.4%, and 5.8%. This means that 53.8% of the melody of Haegeum and Piri in Giltaryeong move on the same melody, whereas 46.2% of them move on toatally different melody. Finally,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lody of Haegeum and Piri in Giltaryeong shows that, in case of similar melody, the majority is a form of oblique motion with the same main tone but different passing tone. The further scrutiny witnesses that Haegeum plays horizontal melody more frequently than Piri does, and, this tells us that Haegeum plays the role of main tone while Piri plays the role of adding ornament on the main tone, enriching the entire music. In addition, in case of different melody of Haegeum and Piri, two melodies showed difference in main tone and rhythmic shape, showing the formation of oblique motion with different contrary motion and main tone, causing a chord state in collision with each other in difference of 2^(nd) degree, 3^(rd) degree, and 4^(th) degree. ;본 논문은 길군악과 길타령의 해금과 피리 선율을 비교·분석한 것으로 먼저 각 곡의 악곡과 선율구성을 조사한 다음 해금 선율과 파리 선율만을 비교한 후 두 선율의 진행형과 음정관계를 알아보고 빈도까지 산출함으로서 해금 선율과 피리 선율이 어떻게 다른지를 알아보기 위한 논문이다. 길군악과 길타령의 해금과 피리 선율을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길군악은 총 29장단 반으로 장 구성이 1장·2장·3장·돌장1·돌장2·4장이 이루어져 다소는 복잡하지만 반복되는 선율이 많으며 4장은 장단이 바뀌고 변조가 되면서 길타령으로 넘어가는 가교 역할을 한다. 길타령은 1장·2장·3장·4장의 총 26장단 구성이며 길군악처럼 특별히 반복구는 없다. 둘째, 길군악에서의 해금과 피리 선율을 비교해 보면 전체 236정간 중 동일한 경우는 107정간이고 유사한 경우는 58정간이고 다른 경우는 45정간이고 연음 선율은 26정간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빈도로 나타나면 각각 45.3%, 24.6%, 19.1%, 11.0%이다. 이는 길군악에서의 해금과 피리 선율이 45.3%는 똑같은 선율로 진행되지만 나머지의 54.7%는 유사하거나 전혀 다른 선율로 진행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길군악에서 해금과 피리의 두 선율을 비교했을 때 선율이 유사한 경우에는 두 선율이 주음은 같으나 경과음이 다른 사진행의 형태와 주음은 같지만 시김새나 리듬꼴이 다른 형태의 선율이 대부분이며 해금과 피리의 선율이 다른 경우에는 두 선율이 2도, 3도, 4도, 5도, 7도의 차이로 부딪치면서 화음현상이 일어나며 간혹 유사진행과 반진행의 형태도 볼 수 있었다. 넷째, 길타령에서의 해금과 피리 선율을 비교해 보면 전체 104대강 중 동일한 경우는 56대강이고 유사한 경우는 26대강이고 다른 경우는 16대강이고 연음선율은 6대강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빈도로 나타나면 각각 53.8%, 25.0%, 15.4%, 5.8%이다. 이는 길타령에서의 해금과 피리 선율이 53.8%는 동일하게 진행되지만 나머지의 46.2%는 유사하거나 전혀 다른 선율로 진행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길타령에서 해금과 피리의 두 선율을 비교했을 대 선율이 유사한 경우에는 두 선율이 주음은 같으나 경과음이 다른 사진행의 형태가 대부분이며 이를 상세화 하면 수평 선율이 피리일 때와 해금일 때가 있는데 수평 선율이 해금일 때가 훨씬 많으며 이는 해금선율이 주음만의 역할을 하는 반면 피리는 주음과 잔가락이 더해지는 역할을 함으로서 음악을 풍요롭게 표현할 수 있게 했다. 또한 해금과 피리의 두 선율이 다른 경우에는 대부분이 두 선율이 주음과 리듬꼴의 형태가 다른 경우로 두 선율이 2도, 3도, 4도의 차이로 부딪치는 화음현상이 일어나고 간혹 반진행과 주음이 다른 사진행의 형태도 볼 수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iii 논문개요 = vii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방법과 연구범위 = 2 Ⅱ. 본론 = 3 A. 길군악과 길타령 = 3 B. 장단에 따른 해금과 피리의 선율 비교 분석 = 4 C. 단위박에 따른 해금과 피리의 선율 비교 분석 = 19 Ⅲ. 결론 = 31 參考文獻 = 33 Abstract = 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9469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길군악과 길타령의 해금과 피리 선율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lody of Haegeum and Piri in Gilgunak and Giltaryeong-
dc.format.pageviii, 5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