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8 Download: 0

관악영산회상 중 상령산 해금과 대금 선율 비교 연구

Title
관악영산회상 중 상령산 해금과 대금 선율 비교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the melodies of Haegeum and Daegeum in Sangryeongsan of Wind Music Yeongsan-Hoesang
Authors
안진성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운조
Abstract
By comparing the melodies of Haegeum (Korean fiddle) to those of Daegeum (Korean large flute) in Sangryeongsan which is the first piece of Wind Music Yeongsan-Hoesang, this study sttempted to classify them into identical, similar and different parts to calculate their frequencies, to examine what connection exists between melodies of the two instruments on the basis of the result, and to help good understanding in playing Wind Music Yeongsan-Hoesang. In the first movement of Sangryeongsan, except 14 resting beats (17.5%) of the total 80 beats, the 66 beats where Haegeum and Daegeum are played are composed of 24 beats of identical melodies (30.0%), 20 of similar melodies (25.0%) and 22 of different melodies (27.3%). In the second movement, total 80 beats are composed of 27 beats of identical melodies (33.75%), 28 of similar melodies ( 35.0%) and 25 of different melodies (31.25%). In the third movement, total 60 beats are composed of 21 beats of identical melodies ( 35.0%), 20 of similar melodies (33.33%) and 19 of different melodies (35.67%). In the fourth movement, total 60 beats are composed of 17 beats of identical melodies (28.33%), 18 of similar melodies (30.0%) and 25 of different melodies (41.67%). Collectively, total 280 beats from the first movement to the fourth movement of Sangryeongsan are composed largely of 14 beats (totally 5.0%) where Haegeum and Daegeum are not played and 266 (totally 95%) beats where they are played. They are divided into 89 beats of identical melodies (approx. 31.38%), 86 of similar melodies (approx. 30.31%) and 91 of different melodies (approx. 32.5%). It was found that Haegeum and Daegeum account for tatal 175 beats, 62.5% which consist of identical and similar melodies of 89 beats (31.78%) and 86 beats (30.71%), respectively in playing Sangryeongsan of Wind Music Yeongsan-Hoesang. Consequently, Haeguem and Daegeum showed almost same advancement of melodies with different graces and rhythms. A remarkable feature in Sangryeongsan of Wind Music Yeongsan-Hoesang is that the Im-Mu-Im-Jung (B♭-D♭-B♭-A♭) tune is expressed frequently. In particular, not only the rhythm of Daegeum changes diversely but also its transformed melodies are found. About 75% or more of its melodies in Sangryeongsan has the Im-Mu-Im-Jung (B♭-D♭-B♭-A♭) form. Next, it was found that there is some connection between the two instruments in Sangryeongsan of Wind Music Yeongsan-Hoesang. Which is expressed largely as three features as follows; First, as shown in the graph, once Daegeum expresses a certain melody in advance, Haegeum follows after; reversely, once Haegeum leads another melody, Daegeum is played following it. Such feature is identified in several parts of Sangryeongsan. Although they sometimes play same melodies and rhythm in receiving and repeating melodies, the majaority of parts pursue changes in rhythms or graces. Second, as shown in the graph, it can be identified that when one instrument play melodies, the other acts as a kind of pillar to shoot one tone drawing a straight line. In such way, they help mutually the advancement of melodies. Finally, as another outstanding feature discovered in the preceding graphs after haegeum and Daegeum give and take melodies each other, the two instruments indicate the almost same pattern as given in the graphs. Exclusive of their different graces,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two instruments play the same melodies. After the two graphs cross over, Daegeum plays melodies in Sangcheng(treble) and Haegeum in Hacheong(bass). In conclusion, it is found that in Sangryeongsan of Wind Music Yeongsan-Hoesang, Haegeum and Daegeum are used for the advancement of melodies in Hacheong and Sangcheong, respectively, and the two instruments are played highlighting their respective characteristics, while they advance the almost same melodies assisting each other. ;본 논문에서는 관악영산회상의 첫 번째 곡인 상령산을 해금선율을 중심으로 대금선율과 비교함으로서 동일한 경우와 유사한 경우, 다른 경우 등으로 분류하여 빈도를 산출하고, 이 결과를 토대로 두 악기의 선율에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관악영산회상을 연주함에 있어 올바른 이해를 돕고자 한다. 상련산 제1장 총80박 중 쉬는박 14박(17.5%)을 제외하고 해금과 대금이 연주되는 66박에서 동일선율 24박(30.0%), 유사선율 20박(25.0%), 다른선율 22박(27.5%)이 나타난다. 상령산 제2장 총80박 중 동일선율 27박(33.75%), 유사선율 28박(35.0%), 다른선율 25박(31.25%)이다. 상령산 제3장 총60박 중 동일선율 21박(35.0%), 유사선율 20박(33.33%), 다른선율 19박(35.67%)이다. 상령산 제4장 총60박 중 동일선율 17박(28.33%), 유사선율 18박(30.0%), 다른선율 25박(41.67%)이다. 상령산 초장부터 4장까지 총280박 중 해금과 대금이 쉬는박은 14박으로 전체의 5.0%, 연주되는 부분은 266박으로 전체에서 95% 나타나고 그중 동일선율은 89박 약31.38%, 유사선율은 86박으로 약 30.31%, 다른선율은 91박 32.5%이다. 관악영산회상 상령산을 연주하는데 해금과 대금의 통일선율 89박 31.78%와 유사선율 86박 30.71%을 차지하고 이를 합하면 175박 62.5%를 차지함을 알 수 있다. 이것으로 보아 해금과 대금이 장식음과 리듬의 차이를 보이며 거의 같은 선율진행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관악영산회상 상령산에서 특이한 점은 林無林仲(B♭-D♭-B♭-A♭)의 선율이 많이 나타나는 것이다. 특히 대금은 다양하게 리듬을 변화하며 나타내어지고, 이것의 변형선율도 볼 수 있다. 상령산 대금선율 중 약 75%이상이 林無林仲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관악영산회상 상령산에서 두 악기간의 상호 연관성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크게 세 가지 모습으로 나타난다. 첫 번째 그래프에서도 잘 보여지고있듯 대금이 먼저 어떤 선율을 보이면 그 다음으로 해금이 뒤따라 연주하고 또 해금이 어떤 선율을 제시하면 대금이 뒤따라 반복하여 연주한다. 이런 모습은 상령산 곳곳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선율을 받아서 반복할 때에는 같은 선율과 리듬을 똑같이 받아 연주할 때도 있으나 대부분이 리듬이나 장식음적 변화를 꾀하고있다. 두 번째로 그래프 상에서 볼 때 어떤 한 악기가 선율을 연주할 때 다른 악기가 직선을 그리며 한음을 뻗는 기둥역할을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렇게 서로 선율진행을 돕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세 번째로 앞의 그래프들을 살펴보면 또하나의 특이한 점을 발견할 수 있는데, 해금과 대금이 서로 선율을 주고받은 다음에는 그래프의 모양에서도 보이듯 두 악기가 거의 같은 모양으로 그려지고 있는 것이다. 장식음의 차이를 제외하면 두 악기가 같은 선율을 연주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두 그래프가 교차한 후에는 대금은 상청에서 선율을 진행시키고 해금은 하청에서 선율을 진행한다. 위의 결과를 요약해보면 해금과 대금은 관악영산회산 상령산에서 해금은 하청에서 선율진행이 이루어지고, 대금은 상청에서 진행함을 알 수 있다. 또 이들 두 악기는 각각의 악기 특성을 살리며 연주하다가 다른 악기를 보조하면서 거의 같은 선율을 진행하고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