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姜泰成-
dc.contributor.author민미례-
dc.creator민미례-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01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01Z-
dc.date.issued1981-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37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46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370-
dc.description.abstractTotem Looks to have been too far away from the actual in both time and space but we find that it is approaching to us directly, and it arouses romantic aspiration of modern artists who would avoid from modern civilization polluted by commercialism. Therefore, this study leads us to the question of the connection between, original and socerial elements of the modern sculpture containing totemism, and the ideal back-ground of the pa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what mental value primitive image that is totem, suggested and meant to the modem sculpture, and how this factor had been expressed. The construct of this study is firstly, by contemplation of primitive totemic sculpture not historicalLy but typically, secondly, through the inside of the sculptures it shows that primitive mythological elements and abrogenetic totemism Ventaining SoceriaL inclination Strongly as sacrifice-ceremonial and Shamanism elements. And in terms of Sociology and culture-anthropology it considered that they had come to worship totem for the unity and the integration as the catalyzer of collective consciouseness among races. Thirdly, based on these ideas several totemic sculptures were compared, analyzed with the mental aspect of the primitive totemism and reached the conclusion that the sculpture is the expression of conception hidden behind. The basic tools of this study are the records and literature, which are compared analyzed in terms of idealism. The selected totems are from the aboriginals who are uneffected from the modern world, espeially the totempoles of American Indian, Australia, milestones of Korea and dolmen, menhir of Europe. And also some modern sculptors those who have Primitive taste in their artistic background. And the selections are either the totemic sculpture in mental aspect or those which are similar to the primitive totemic ones in terms of moulding. The classfication of those materials suggests the theoretical base for both the understanding of primitive thought and the types of totems. Also the modern sculpture includes totemic idea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o. Finally, the conclusion was made that; the modern sculptures containing totemic taste does have mythological primitive ceremoniaL and religeus socerial elements but not the sociological and culture-anthropological elements. Because to modern sculptors art is a matter of individuals neither the social nor the religious matter. But, since many environmental factor, such as culture and social affairs, effect the artists they have certain relations to primitive man's social ceremony. Therefore, it is true that the primitive totem stimulates the depressed artistic activity of 20 century ard this sculptures are the expression of their sincere attitude towards life and thuse of value because it is the expressions of belief in primitive ard socerial idea. Modern Sculptors have discovered that, by finding the metaphysical value of the presence of human being from the primative man's holy primitive thought, we can get over the Psychological wandering and loneliness of modern world. And through the artists nature caused by original elements which are welled up from the Profundity, Modern sculpture must head for the true art which pursues more original one.;Totem은 現實에서 너무나도 먼 거리와 시간을 달리해서 멀어져 간듯 하지만 그것은 우리에게 직접적으로 密着해 오고 있다. 그리고 그것은 商業主義에 汚染된 現代 文明으로부터 도피하고자 하는 현대 미술가들의 낭만적인 동경을 블러 일으키게도 한다. 그러므로 본 硏究는 Totem性이 內包되어 있는 현대조각의 原始的이고 呪術的인 性向이 과거 原始 Totem의 정신적인 背景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하는 문제가 제기된다. 본 연구의 目的은 Totem이라는 原始의 현상이 현대조각에 의미하고 암시하는 정신적인 가치가 무엇이며 그러한 요소들이 어떻게 表象되어 졌는가를 糾明하고자 한다. 본 硏索의 構成內容은 첫째, Totom을 類型別로 考察해 보았으며, 둘째, 그러한 彫刻들의 內面에 흐르고 있는 思想的인 背景을 通해서 太初의 神話的인 要素와 自然發生的인 Totem이 祭儀的이고 Shamanism的인 要素로서 呪術的인 性向을 짙게 內包하고 있음을 찾아 보았으며, 文化人類學的 社會學的인 側面에서는 民族間雲의 集合的인 樣式의 촉매로서 統合과 結束을 위해 Toteme을 崇拜하게 되었음을 考察해 보았다. 셋째, 이러한 理想的인 背景을 토대로 하여 現代彫刻 속에 Totem性을 지닌 여러 作品들을 原始 Totem의 理想的인 側面들과 比較 分析하여 봄으로써 彫刻은 보이는 形態뒤에 숨어 있는 槪念의 表現이라는 重要性을 考察해 보았으며, Totem이 오늘날에 興味를 주고 있음을 살 보았다. 硏究方法의 基本 道具는 文獻과 作品이고 文獻 資料는 理論的 背景을 중심으로 하여 作品을 比較 分析하였다. 標集 方法에서 原始 Totem의 選定은 文明의 惠澤을 입지 않았던 未開人들 가운데 特 히 北America Indian과 Australia등지의 Totem pole과 韓國의 長丞, 유럽의 Dolmenm, menhir들을 擇하였으며, 現代 彫刻家들은 서구 여러 나라의 作家들 中 原始的인 性向에 母胎를 두고 있는 조각가들로서 대체적으로 折衷主義的인 성격을 지니고 있는 作家들을 擇하여 有意 標集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作家들의 作品選定은 image的인 側面에서 Totem性을 內包하는 作品들이거나 도는 造形的嫡인 側面이 原始 Totem性의 彫刻들과 일치하는 作品들을 다루었다. 資料 處理는 文獻을 通하여 原始 Totem의 類型的 展開와 思想的인 背景의 理論的 根據를 提示하였으며 現代彫刻에서 Totem性을 內包하는 作品들을 原始의 Totem과 比較 分析하였다. 그리하여 本 硏究에서 얻어진 結論은 Totem性이 內包된 現代彫刻들은 Totem의 神話的인 原始樣式과 宗敎的인 祭儀性쓱과 呪術性 이 內包되어 있었으며 文化人類學적, 社會學的인 側面과는 거리가 멀었다. 왜냐하면 現代彫刻家들에게 있어서 藝術이란 個人의 問題이지 社會의 偶像이나 宗敎의 對象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作家들이 위치한 時代나 民族性이나 社會狀況의 여러 要素들이 無意識的으로 作家들의 深屬에 反映되기 때문에 原始人들의 社會學的인 樣式과 無關하지는 않다. 결국 原始 Totem이 20世努의 沈滯된 藝術活動에 衝動的인 作風을 提示한 것으로 그 作品들은 그들의 진지한 삶의 表現이며 源初的인 性向과 呪術的인 性向으로서 生活信조의 表現이었기 때문에 價値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現代 彫刻家들은 原始人의 神聖한 源初的 思考속에서 人間 實存에 대한 形而上學的 價値를 發見하게 될 때 現代文明의 精神的인 방황과 소외속에서 헤어나게 될 것임을 發見하게 되었다. 그리고 現代彫刻은 深淵에서 우러나오는 生命의 源泉的인 요소로 인한 作家의 心性을 通해 보다 根源的인 것을 推求하는 참다운 藝術로 指向해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目次 = iii 圖目次 = v 論文槪要 = viii Ⅰ. 序論 = 1 A. 硏究의 目的 = 1 B. 硏究의 內容 = 2 C. 硏究의 方法 = 2 Ⅱ. 原始 Totem에 대한 考察 = 4 A. 類型的 展開 = 4 1. Totem pole = 4 2. 長丞 = 9 3. Dolmen,Menhir = 12 B. 思想的 背景 = 14 1. 神話的인 側面 = 15 2. 宗敎的인 側面 = 17 3. 文化人類學的,社會學的인 側面 = 20 Ⅲ. 現代彫刻의 Totem性에 대한 分析 = 23 A. 神話的인 分析 = 24 B. 宗敎的인 分析 = 37 C. 文化人類學的, 社會學的의 分析 = 52 Ⅳ. 結論 = 54 參考文獻 = 57 圖版 = 59 ABSTRACT =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40914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彫刻에 있어서의 Totem性에 관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n Totem in Sculpture-
dc.format.pagex, 7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순수미술과-
dc.date.awarded198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