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92 Download: 0

逸品畵의 再照明

Title
逸品畵의 再照明
Other Titles
Re-illumination of 「i Pin hua」 in the history of Oriental painting
Authors
洪淳珠
Issue Date
1980
Department/Major
대학원 순수미술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金基珠
Abstract
동양회화사를 더듬어 보노라면 서양화에서는 눈데 띄지 않는 특이한 정신성의 표현에 눈이 가게 된다. 그 대표적인 예가 일품 회화라 하겠다. 육조이래로 성숙되기 시작한 회화정신이 당대에 들어서 문인·사대부들에 의해 화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고도의 정신상의 성숙을 표현하기에 애씀으로써 직업 화인에게는 발견할 수 없는 독특한 표현기법이 나타나게 된 것이다. 서양의 경우와는 달리 동양화에서는 유달리도 화법의 발달이 주로 문인이나 사대부 선승들에 의해 주도되고 있음을 본다. 이는 기법의 개발은 모방에 의해 쉽게 전승될 수 있는데 비해 정신상의 표현은 쉽게 전승될 수 없기 때문이다. 동양화에서 남종의 전승이 기법의 전승이 아니라 회화정신의 전승이라는 점이 이것을 대변해 주고 있다. 일품회화는 그러한 정신상의 일을 표현한 회화이고 그러한 정신상의 일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용필상에서도 일을 요구했기 때문에 기법과의 융화 또한 무시할 수 없지만 주로 수묵화에 의한 본질만의 생략된 형태는 기존화법으로는 도저히 표현할 수 없는 고도의 정신성과 그 표현에 적합한 수묵이라는 독특한 기법에 의해서만 발달될 수 있었다. 서양화에서의 소묘(Drawing)와는 바로 이러한 본질만의 정신적인 표현이라든가 단색 표현 기법이라는 면에서 일치하는 바가 있다. 그러므로 이 양자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 본다는 것은 바로 일품회화의 특색의 한면을 밝히는 길이기도 하다. 일품회화가 정신성의 표현이라는 면에서 동양화에 끼친 영향은 크고 일품회화자체 또한 품등면에서 상당한 변화를 하였다. 시대에 따라 품평의 안목이 변화하고 그 변화에 따라 품등이 달라졌으므로 이 품등이 변화를 살펴 본다는 것은 바로 그 영향의 대소와 그 시대의 안목이 어떠했으며 그 시대 회화가 추구하는 것이 무엇이었는가를 살피는 길이 될 것이다. 그 시대의 안목과 추구상은 회화정신면에서 일품회화가 중국의 문인·사대부· 선승들의 어떠한 정신상의 근거를 바탕으로 한 표현인가를 살펴보아야 비로소 밝혀질 것이므로 본고에서는 그들의 정신의 근간을 이루었다고 사려되는 도교 불교를 중심으로 고찰하기로 한다.;When we look back upon the history of Oriental painting, we will seek the particular spirit which is remarkable in the history of Oriental painting. Frankly speaking, the representative example is c. Painting-spirit which had begun to ripe since Six Dynasty, as painting work by a literary painter and a man of noble birth was performed in the Tang period, gave birth to expression-techniques which cannot be discovered by professional painter. Because creation of the techniques could be easily handed down by imitation but spiritual expression could not. The fact that the transmission of Southern Painting in the Orienta1 painting is not that of techniques but that of painting spirit, speaks for the former matter. As 「i Pin hua」is the painting expresses such a spiritual 「i」(effortlessness) and such a spiritual 「i」 also demand. a 「i」 on the brush-method, we can not disregard the harmony with the techniques And in the particular respect that such a high spirit and the abbreviated form of essence only could not expressed by painting-techniques which had been already in existence and shui mo (ink) is rightly suitable for such a expression, 「i Pin hua」is in accord with the drawing in the western painting. We can make clear the characteristics of 「i Pin hua」 through out comparing with the something in common and a difference in the both. As a considerable change in the four levels in the ladder of greatness of the 「i Pin hua」was caused by the change of an appreciative eye in the period, an influence which 「i Pin hua」exerts upon the Oriental painting in the expression will be make clear by observing how the appreciative eye in the period changed and what the pursuit aim of the period-painting was. The appreciative eye and pursuit-aim in the period will be made clear by observing spritual bases of the literary man, a man of noble birth, Zen Priest which gave birth to 「i Pin hua」. In this paper, I will take into consideration centering around Taoism and Zen Buddhism which seemed to be the keynote of their spiri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