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0 Download: 0

영·유아를 위한 대소변 가리기 훈련습성에 관한 통계학적 연구

Title
영·유아를 위한 대소변 가리기 훈련습성에 관한 통계학적 연구
Other Titles
STATISTICAL STUDY ON HABITUAL METHODS OF TOILET TRAINING FOR INFANT AND TODDLER
Authors
崔京子
Issue Date
1973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河英洙
Abstract
영·유아를 위한 대소변 가리기 훈련습성에 관한 본연구는 1973년 3월 1일부터 4월말가지 4개기관(이화여자대학교 부속병원과 모자보건소, 연세의료원, 서울대학교 부속병원)에 내원 혹은 입원한 어머니 300명을 대상으로 대소변 가리기 훈련의 시작시기, 소요기간, 시작시기를 결정한 이유, 훈련방법 및 훈련시 사용한 도구와 특수용어 등의 실태를 파악하여 바람직한 대소변 가리기 훈련의 방법을 보편화시키고 동시에 모아의 심리적 안녕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중 대부분(67.3%)이 30~40세 미만의 어머니였고 또 반수이상(64.7%)이 고졸이상의 학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들 대부분이 중등도의 생활수준을 영위하고 있었다. 2. 직업의 유무를 막론하고 주로 어머니 (85%)들이 대소변 가리기 훈련을 직접하고 있었으며 가장 중요한 훈련의 이유는 「청결을 중요시한 때문에」 이었다.(53.7%) 3. 대부분의 어머니들이 대소변 가리기 훈련의 시기를 임의로 결정하고 있었고(70%) 한편 영·유아의 성장발달을 중심으로해서 그 시기를 선정한 예가 적었음(30%)은 중요시되며 이 방면에 대한 선도대책이 요구된다. 대다수(77.7%)가 소변 가리기 훈련을 먼저 시작하고 있었다. 4. 대소변 가리기 훈련중 영·유아가 잘못하거나 실수했을 때 반수이상(58.3%)의 어머니들이 엄한 훈육방법을 적용하고 있었는데 이렇게 엄한 훈육방법을 적용하면 할수록 대소변 가리기 훈련이 끝난후 영·유아의 성격이 좋지않은 방향으로 변화되었음은 무시할 수 없었다. (P<0.01) 5. 반수이상(대변 : 54.3%, 소변 : 67.7%)이 1년이내에 대소변 가리기 훈련을 시작하고 있었고 또 훈련을 완료한 경우가 12개월이내에 가장 많아 (대변 : 79.3%, 소변 : 72%) 12개월이내에 시작한 경우에는 일찍 (12개월이내) 끝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0.05<P<0.1) 소변의 시작시기와 소요기간별 남녀의 차이는 없었으나 대변의 시작시기는 여아(7~12개월 51.4%로 가장 많음)가 남아 (13~18개월 40.4%로 가장 많음)보다 다소 빠른 경향을 보이었고 또한 소요기간에 있어서도 여아(1~6개월 소요, 40.2%로 가장 많음)가 남아(7~12개월 소요, 41.7%로 가장 많음) 보다 다소 짧은 경향을 보였다. 6. 대소변의 구별없이 영·유아가 봐오던 습관에 따라 일정한 시간을 정해서 규칙적으로 대소변 가리기 훈련을 시키고 있었으며 (대변 : 50.3%, 소변 : 97.7%), 대변훈련에 사용된 도구에는 여러가지가 있었는데 그중 남아인 경우에는 종이 (45.5%)에 여아는 오강 (42.3%)에 보이는 예가 가장 많았다. 또한 소수에 있어서는 「하수구」「마당」(0.7%)에 보이는 등 공중보건상 불합리한 방법으로 훈련하고 있었다. 훈련시 사용된 특수용어는 대변을 「응가」(52.3%), 소변은 「쉬」(95.3) 등 표준어를 사용한 예가 많았다.;This study observed on habitual methods of toilet training for infants and toddlers in Korea thru 300 mothers at four medical institutions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Ewha Maternal and Child Health. Center, Severance Hospital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ith a design to analyze begining time, duration of period, methods employed, motives, equipments used, special terminology used for the subject training.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eneralize the proper methods of toilet training, and also to contribute a better psychological education for the mother and chil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Majority of mothers (67.3%) observed were in the age category between 30 and 40 years, and dominent numbers (64.7%) were housewives with high level of education and from middle class family background. 2. In the most cases (85%), toilet training was carried out by mothers (including wives who had a job) while more than half of mothers (53.7%) maintained their important motive for the training was "due to having high regard for cleanliness". 3. As for the time of "begining toilet training, finding indicated, that starting period, was decided (70%) at inconsiderate descretion of each mother, whereas, only minority group (30%) represents the eases where mother started the training when they consider the child was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ready. Also greater number (77.7%.) started bladder training prior to that of bowel. 4. It is noticeable that in course of training a large number of mothers (48.3%) applied strict training method when the child failed proper toileting, and the more rigid and strict in the training, the more malformation of personality of the infant and toddler were seen after the training period (P 0.01). 5. Over the half of the total cases denoted (bowel,54.3%, bladder 67.7%) starting period before one year and in most cases (bowel 79.3%, bladder 72%) the training was accomplished within 12 month, and therefore it was noted that earlier start Cbefore 1 year) short ened the training period (with 12 mon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fants in both starting period and duration of period in bladder training, however, in bowel training there was a tendency that females started earlier (7-12 months needed, 51.4%) than the males (13-18 months needed, largest number 41.4%), and also in cases of female the period for needed for training were shorter than the cases of male. 6. Many a number (bowel 50.3%, bladder 97.7%) employed the method of continuous toileting at regular interval in accordance wIth that of child's habit formed, before the training. Equipment used were various kinds, however, pieces of paper for males (45.5%) and piss pot or bedpot(42.3%) for females were common, on the other hand,"Eung-ga" for defication (52.3%) and "Shii" for the urination (95.3%) were most standard expression that used during the training perio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