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73 Download: 0

반복에 의한 일상적 체험의 표출

Title
반복에 의한 일상적 체험의 표출
Other Titles
Expression of routin experiences by repetition
Authors
조상은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서양화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류희영
Abstract
인간은 누구나 이상을 추구한다. 그러므로 인간의 모든 활동은 궁극적으로 이상을 지향하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미술 역시 이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그런데 인간의 이상이란 시대마다 조금씩 변한다. 중세에는 절대적인 존재로서 신이 있었고 르네상스 이후 인간의 자유와 자발성이 부각되었다. 그러나 절대적인 정신의 자유는 불가능한 이상이었고 정신이 제외된 원초적인 세계로의 회귀 역시 있을 수 없었다. 양 극단의 추구가 공허해진 지금은 맹목적인 이상이 없는 시대이므로 새로운 규칙과 이상이 필요하다. 이 이상을 찾는 과정과 내용이 본인의 예술을 이야기해주리라 생각한다. 20세기 말 미술은 탈중심화 과정인 다원주의로 특징지워진다. 건축분야에서 비롯된 포스트모더니즘은 이제 건축뿐만 아니라 문화적 상황, 정치적 입장, 경제적 여건, 사회적 배경 등 거의 모든 영역으로까지 그 세력을 확장하게 되었다. 가치 기준이 없어진 이와같은 상태를 부정적으로 보는 견해도 있으나 본인은 모더니즘의 한계를 직시하고 포용적인 태도를 가진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본다. 앞선 형식의 무조건적 거부는 있을 수 없기에 본인의 작품은 모더니즘에서 절제된 추상은 수용하되 그것의 지나친 형식주의는 거부함으로써 포스트모던으로 나아가고자 한다. 개인의 의식구조는 가장 사적인 상황에 놓여있을 때조차도 집단적 사회적 의식에 속하는 내용들에 의해 결정된다는 사실이 명백하다. 그리하여 아놀드 하우저(Arnold Hauser)는 사회로부터 개인을 분리해내는 것은 가상적 문제에 불과하다고 하였다. 오늘날의 허무주의는 장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의 표현을 빌자면 "투명성의 허무주의"이다. 매스미디어가 모든 의미를 삼켜버리고 우리는 무관심의 영역에서 생활하고 있다는 것이다. 본인은 현실에서의 나를 비롯한 인간 삶의 모습들, 그리고 그 속에 담긴 정신적인 문제를 말하고자 한다. 모든 것이 지극히 복잡하지만 반대로 너무나 단순해진다는 사실에 서글픔을 느끼며 유한함과 그에 따른 허무함에 대해 생각하고 붙잡을 수 있는 계기로 예술 작품을 만드는 것이다. 이것들을 하나의 작품에 집약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본인의 대학원 과정 동안의 작품제작에 관해 연구한 것이며, 본인 작품의 사진과 개별적인 해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상 속에서 체험하는 시간의 기록이라는 의미를 지닌 일기와 같은 본인의 작품에 표현방법으로는 '반복'이 사용된다. 미니멀리즘(Minimalism)과 팝 아트(Pop Art)는 본인의 작품과 연관성이 있으므로 이와 비교하여 서술하고자 한다. 즉 미니멀리즘과 형식이 유사하다고 할 수 있고, 팝 아트는 익명의 대중사회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되는 부분이 있다. 본인이 여성이기에 여성에 대한 자각도 늘 함께 하였는데 그것은 인간이라는 테두리내에서이다. 페미니즘(Feminism)은 신체구조가 다른 두 성의 대결 차원을 넘어 온전한 인간 존재의 구현으로 발전하여야 한다고 보며, 따라서 본인은 여성만의 문제를 떠나 양성성을 추구하는 것이다. 결국 본인은 자서전적 내용과 더불어 우리 모두가 소통할 수 있는 일기를 함께 하기를 원한다. 구체적으로 추상적인 형태의 선택과 유동적인 천의 사용, 나아가 그들의 양성성을 지향하는 관계에 대해 살펴 본다. 그리고 포장은 두가지 상징적 의미를 지니는데 신비로움의 탐구와 폐쇄성의 표현으로 나눌 수 있다. 밀봉된 신비로움을 "개인적인 일기"라는 개념을 가지고 절제된 모노크롬과 같이 서술할 것이다. 많은 이야기를 하려고 하지만 설명을 절제, 함축하고 싶다는 바램에서이고 또한 폐쇄성은 본질적인 인간의 자유상실이라는 의미의 '갇힘'과 인간과의 관계에서의 '소외'로 나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인 작품의 여러 요소들은 각각 동등한 가치를 가지면서도 서로 연결되어진 하나라고 말할 수 있다. 석판화 잉크를 이용한 저부조 표현과 고부조라 할 수 있는 캔포장의 두가지 작업 형태가 나타난다.;Whoever is man, he tries to find out an ideal; I dare to say that their activities originally points out ideal. So paintings are not to be out from this category. Their ideal changes little by little as it goes by. In the Middle Ages, there was 'GOD' the Absolute, and therefore their freedom and voluntariness come out since Renaissance. There was no perfect mental freedom-it was indeed only an 'ideal', and no regression to the mental-free fundamental world. So therefore when their quest now in vain, a new rule and ideal are needed to be found because this age has no blind ideal. I think that this searching process and its contents can tell you about my paintings. In the 20th centuries the art was characterized by pluralism the decentralization. Postmodernism based in building has spreaded out to all-round the fields covering the cultural states, political cases, economic requirements, and social backdrops. Some regard this state as absurd; but I think it positive because modernism has a declarative limit, and I have an adoptive attitude. It is impossible to entirely refuse innovative style, so I will accept controlled abstract from modernism while refuse uncontrolled formalism to catch postmodernism. It is clear that personal way of thinking is determined by social collective consciousness, even in his most private cases. Arnold Hauser agreed that it was merely a virtual issue to detach a man from society. Nihilism today is, as Jean Baudrillard said, one of "diaphanousness". It means that mass media has devoured all of the meanings and now we lives in apathy. I want to tell you about the common human lives-including me-in the real world, and about the mental issues of them. All of them is complex, while they become too monotonous. I feel so sad about it that I contemplate about its restrictedness and nihility, and make my paintings to catch at a straw. I will concentrate these findings on a work. This study is about the procedures in my gradute school; the photos of my works and the explanations on each of them included. The 'repetition' technique is used in my work, like a diary including time records in daily life. Minimalism and Pop Art will also be explained in comparison with that, because they have some relations with my works; that is, similar to Minimalism in form, and common with Pop Art in representing anonymous mass society. As for me a woman, I am always aware of woman in a view that she is also within the limit of human. Feminism is to be developed to complete realisation of human being beyond the mind of fight between the two sexes, with different body systems. So I tries to find out unisexuality beyond feminine-only attitude. It means that I want you all to have a diary, which we all can have in common with each other with biographical one; concretely about selection of abstract type things, use of flexible fabrics, relation toward their unisex further. Besides, wrappage has two symbolic meanings-inquiry of mystery, and search for closure. Wrapped mystery will be described like a controlled monochrome with a notion of "personal diary". Originally there was much to say, but I would like to control myself and imply all of the explantions. Hard wrappage can be divided into two notions; one is 'lockage', as a loss of freedom of natural human being, and the other 'alienation' in human relationship. All of these factors in my work can be said to be one by texture linked to each other, and of each having equal values. Basso-relievo expression using lithographic ink, and alto-relievo in canned wrappage arise from the work.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