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권영걸-
dc.contributor.author은이선-
dc.creator은이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15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15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47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2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477-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는 문화의 시대이다. 정보혁명의 발달과 함께 탈산업사회에서 정보사회로 전환되고 있는 시대에서 지식, 교육, 예술과 같은 문화적 자원이 사회발전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 이는 우리의 자본주의가 하드웨어 자본주의에서 소프트웨어 자본주의로 전환되었음을 의미하며, 이러한 문화적 자원을 연구하고 개발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정보사회가 도래하면서 세계는 하나의 문화권을 형성하게 되었고 문화의 상호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는 선진문화를 여러 매체등을 통해 때로는 여과없이 받아들이기도 하고 우리문화를 세계에 소개하기도 한다. 이렇듯 여러문화의 유입으로 인하여 우리는 문화적 혼동 속에서 살고 있다. 혼동 속에서 우리의 문화적 정체성을 상실해 가고 있는 것이다. 정체성을 상실한 채, 선진문화를 받아들이는 것은 우리문화가 세계선진문화가 되는 기회를 잃어버리게 되는 것이며, 물질적 삶의 기반이 되는 정신적 삶의 뿌리인 문화를 잃어버리는 것이다. 우리 문화의 정체성을 지키고 발전시키는 것이 우리의 삶의 뿌리를 찾는 것이고, 나아가 세계의 문화에 다양성을 줌으로써 세계문화발전에 공헌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문화가 경쟁력이 되는 이 시기에 우리문화의 특성을 연구하여, 발전시켜서 디자인에 적용함으로써, 한국의 수도인 서울에서 문화를 내포하는 공간을 디자인하고자 한다. 서울의 문화적 정체성을 위한 연구로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1. 문화는 의미를 갖고 기의로서 작용하고, 공간은 그 의미를 전달하는 기표로서 작용함을 연구하고, 다시 기표로서의 공간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가 인간에게 전달되어지는 과정을 밝힌다. 따라서 이러한 공간기호학의 체계를 기초로 하여 연구를 진행시키고자 한다. 2. 전통사상에 나타난 환경개념을 알아봄으로써 기의가 되는 문화의 배경을 살펴봄과 동시에 전통적인 공간의 해석 방법과 공간이 내포하는 내용을 알아본다. 3. 한국문화의 특성을 연구자가 의미와 그 의미(기의)가 구현된 작품들회화, 공예, 건축(기표)등을 통해서 7가지를 정의내리고 이를 본 연구의 디자인 개념으로 적용한다. 4. 한국문화에서 연구자는 6가지의 디자인요소를 추출하여, 이에 건축적 원리를 적용하여 본 연구의 디자인에 적용한다. 5. 디자인의 대상지가 되는 도시 속에서 문화는 어떻게 표현되어, 문화의 역할은 무엇인지, 그리고 도시민들은 여가행위를 통해서 어떻게 문화를 읽고 향유하는 지를 연구한다. 6. 앞선 연구를 통해서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는 요인들이 우리문화속에 풍부하게 담겨졌음을 인식하고, 위의 모든 것들을 종합하여 발전시켜서 문화를 내포한 환경디자인을 한다. 이 연구를 통해서 21세기는 근대의 물리적, 물질적 사고에 바탕을 둔 디자인에 중점을 두기 보다는 정신적으로 사유할 수 있고 마음을 통하는 진정한 인간을 위한 디자인에 중점을 두어야 함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동양전통사상과 맥락이 통하는 것이다. 현재 서구사회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제시하는 생태학, 다원주의, 현대물리학등의 배경과 사상이 동양사상에 기초하거나, 연계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우리 전통사상이 우수함을 입증하는 것이며, 우리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것이 새로운 패러다임에 동조하는 것임을 인식한다. 연구자는 한국문화를 연구하여 환경디자인에 적용함으로써 문화적으로 혼동되어 있는 도시, 서울의 문화적 정체성을 강화한다는 것에 조금이나 기여한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Twenty first century is the age of culture, Started with information revolution, cultural resources like knowledge, education, and art have become the driving forces of social advancement in the changing era from industrial society to information society. This means that hardware (industrial assets) based capitalism has been changed to software (information) based capitalism, and cultural resources must be researched and developed in time. Coming over to the information society, the world has come to accomplish. One cultural range, in the mean time actively making the mutual exchange of culture. We often receive the advanced culture through various media sometimes without filtering and introduce our culture to the world. Due to the inflow of various cultures in this way, we are living in the cultural confusion. We would say that we are losing our cultural identity in such a confusion, receiving the advanced culture with such cultural identity remained lost, we are to let our culture lose the opportunity of becoming the worldwide advanced culture, and also lose the culture which is the root of our spiritual life as in the base of the substantial life. It is to find the root of our life that we are to keep and develop the identity of our culture and also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world culture by rendering the variety to the world culture. This research intends to redefine Korean culture and design spaces, where culture is alive, in Seoul in time to keep identity and develop Korean culture. This research for identity of Seould has gone through procedures below. 1. It is to research that the culture is effected as signified with contents and the space is effected as the signifier conveying such contents, and clarify the course progressing the contents contained at the space as the signifier being conveyed to the human being. Accordingly, it is to progress the research on the base of system of semiologics of space. 2. Tried to find environmental concepts in traditional philosophy and backgrounds of Korean culture, and at the same time, how ancestors interpreted spaces and what they hold in it. 3. Defined some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 from ideals and artifacts, which reflects ideals, and used them as an concept for this research. 4. Extracted design elements from Korean culture, and applied architectural principles to the, and applied them to environmental design of this research. 5. It is to research how the culture is expressed in the city that is the land objected to the design, what the role of culture is and how citizens read and enjoy the culture through the spare time activities. 6. It is to make the environmental design including such culture by generalizing and developing all the things mentioned above, after having recognized through the afor&mentioned research that the factors applicable for the design are abuondantly filled in our culture. It is known to us through such research that we showed put the important to the design for the genuine human being who is spiritually free and open-minded, in the 21st century, rather than putting the importance to the design on the base of modern physical and substantial thought and this is the way of connecting the interrelationships with the oriental traditional thought. It is also known to us that the background and thought of the ecology, pluralism, modern physics and etc. Currently suggested by the Western Society as new paradigm are either on the base of the oriental thought or linked to it. This is evidencing the outstanding of our traditional thought, in the mean time recognizing that the inheritence and development of our culture is meant to follow to the new paradigm. Researcher hereby puts the meaning of this research on the point of contributing even a little bit to the strengthening of cultural dentity of Seoul, the City in the cultural confusion, by researching Korean culture and applying it the environmental desig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i 1.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 2 2. 문화의 기호학적 해석과 전통적인 환경개념 = 3 2.1. 문화의 기호학적 해석 = 3 2.1.1. 문화와 공간 = 3 2.1.2. 공간기호학 = 5 2.2. 전통사상에 나타난 환경개념 = 8 2.2.1. 도교사상 = 8 2.2.2. 유교사상 = 10 2.2.3. 불교사상 = 12 2.2.4. 그외의 사상들 = 14 3. 한국문화의 특성과 디자인 적용가능성의 모색 = 17 3.1. 한국문화에서 도출한 디자인 개념 = 17 3.1.1. 자연성 = 17 3.1.2. 명상성 = 21 3.1.3. 실용성 = 24 3.1.4. 해학성 = 27 3.1.5. 조화 = 31 3.1.6. 중용적 가치 = 33 3.1.7. 무 = 37 3.2 한국문화에서 도출한 디자인 요소 = 41 3.2.1. 곡선과 직선 = 41 3.2.2. 변화성 = 46 3.2.3.유기성 = 52 3.2.4.빛과 그림자 = 58 3.2.5. 공간의 유동성 = 62 3.2.6. 여백의 공간 = 66 4. 도시문화공간과 서울의 도시문화 = 70 4.1.도시문화공간 = 70 4.1.1. 문화공간 = 70 4.1.2. 도시문화와 여가형태 = 73 4.1.3. 도시문화환경 = 74 4.2. 서울의 도시문화 = 76 4.2.1. 서울의 문화 = 76 4.2.2. 서울문화공간 = 79 5. 디자인단계 = 82 5.1. 디자인 개요 및 방법 = 82 5.1.1. 디자인 개요 = 82 5.1.2. 디자인 방법 = 82 5.2. 디자인 연구 = 84 5.2.1. 대상지설정 = 84 5.2.2. 대상지분석 및 문제제기 = 86 5.2.3. 한국문화에서 도출한 디자인 개념의 공간에의 적용과 구성 = 90 5.2.4. 행태에 따른 공간구성 = 91 5.3. 디자인 계획 및 도출단계 = 93 5.3.1. 공간계획 = 93 5.3.2. 공간별 디자인 계획단계 = 96 5.3.3. 디자인 도출과정 = 111 5.4. 디자인 적용단계 = 122 5.5. 디자인 종합 및 평가 = 146 6. 결론 = 148 참고문헌 = 150 ABSTRACT = 15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23581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한국문화의 기호학적 해석과 도시문화공간디자인에의 적용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의 문화적 정체성의 강화를 위하여-
dc.title.translatedResearch On Basic Interpretation of Korean Culture and effect of Spacial design of Urbanculture : for Strengthening cultural identity of Seoul-
dc.format.pagexi, 15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환경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환경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