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金星洙-
dc.contributor.author김완조-
dc.creator김완조-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13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13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68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2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68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oe effect of physical training on cardiovascular struture and fun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 male university basketball pllayers (aged 19-21) as trained group and 7 male university students (aged 19-21) as untrained group. Rest echocardidgraphy was used to calculate left ventricular dimension. wall thickness, volume, mass, arotic dimension at end-diastole, right ventricular dimension, left atrial dimension at end-diastole, stroke volume, cardoiac output, Percent of frectional shortening and ejection fraction, electrocardiography was used to calaulate heart rate at rest, maximum workload and recovery 1, 3, 5min. The amount of different incardiovascular struture and funtion between trained group and untrained group was analyzed by paired t-test. From the paired t-test of the results,the following conclusions may be made. 1. physical training produc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left ventricular dimensions, wall thickness, volum and mass. 2. Physical training does not produce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in aortic dimension at end-diastole, left atrial dimension. 3. Physical training produce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in resting stroke volume. 4. Physical training produce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in resting cardiac output. 5. Physical training produc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s in fractonal shortening, ejection fraction. 6. Physical training produc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maxium exercise capacity and duration of exercise on the bicycle ergometer. 7. Physical training produc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s in heart rate at rest, recovery 3 and 5min. 8. Physical training produce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in mean blood pressure at maximum exercice and recovery 1, 5min.;본 연구의 목적은 심초음파검사(Echocardiography)를 이용하여 선수군과 비선수군의 안정시 심장구조 및 기능을 비교 분석하고, 안정시와 운동부하 후 회복기에 있어서의 심박수와 혈압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운동선수와 비운동선수의 심장구조 및 기능을 비교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피험자는 E여자 대학교 농구선수 8명과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지않는 일반학생 7명을 선수군과 비선수군으로 각각 구성 하였다. 안정시 심장구조및 기능 측정은 심초음파검사(Echocardiography)를 이용하였고, 측정방법은 parasternal window에서 좌심실의 단축상을 구하여 M-mode 심초음파도를 그렸다. 그려진 M-mode 심초음파도에서는 좌심실 내경, 벽두께, 용적, 질량, 대동맥내경, 좌심방내경, 안정시 1회박출량, 안정시 심박출량, 내경단축률, 구혈율 등을 구하였다. 한편, 운동선수와 비운동선수의 운동시와 운동부하 후 회복기의 심장기능을 알아보기 위한 운동부하 도구로는 자전거 에르고메타를 사용하였다. 자전거 에르고메타 운동은 50watts에서 시작하여 매 3분마다 30watts씩 증가시켰다. 이때의 측정항목은 혈압과 심박수로서, 부하전 안정시와 운동시 그리고 회복기 1. 3. 5분에서 각각 측정하여 각 변인들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A. 선수군과 비선수군의 안정시 심장구조 및 기능 1. 확장팔기 좌심실 내경은 선수군이 5.38(0.33)cm으로 비선수군의 4.90(0.07)cm 보다 P<. 05수준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수축기말 좌심실 내경은 P<. 001 유의수준에서 선수군이 3.60(0.09)cm으로 비선수군의 3.12(0.17)cm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2. 좌심실 벽두께로는 확장기말 심실중격 두께가 선수군이 8.62(0.13)mm로 비선수군의 7.34(8.62)mm 다 유의하게(P<.05) 높았고, 수축기말 심실중격 두께도 선수군이 12.76(1.62)mm로 비선수군의 10.69(1.92)mm 보다 유의하게(P<.05) 높았다. 확장기말과 수축기말의 좌심실 후벽두께는 선수군이 8.95(0.44)mm, 15.11(1.36)mm로서, 비선수군의 6.97(0.27)mm, 13.44(1.14)mm 보다 유의수준P<.05 에서 유의하게 컸다. 3. 확장기말과 수축기말 좌실실 용적은 선수군이 140.63(19.87)ml, 54.68(9.62)ml 로비선수군의 113.00(10.44)ml, 38.76(5.09)ml 보다 P<.05 수준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대동맥 내경과 좌심반은 두 집단간 차이가 없었다. 4. 자심실질량은 선수군이 218.48(12.30)gm로서, 비선수군의 143.51(17.31)gm보다 유의수준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5. 안정시 1회 박출량과 심박출량은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내경단축률은 선수군이 33.10(0.93)%로 비선수군의 36.36(0.70)% 보다 유의하게(P<.05) 낮았고, 구혈률은 유의수준 p<.001에서 선수군이 60.20(0.80)%로 비선수군의 65.80(0.90)% 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B. 선수군과 비선수군의 운동시와 회복기의 심장기능 1. 두 집단 간의 자전거 에르고메타 운동능력과 운동지속시간은 선수군이 147.5(4.91)watts, 12.53(0.38)mins로 비선수군의 88.57(5.53)watts, 6.51(0.34)mins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1) 컸다. 2. 심박수는 안정시에 선수군이 57.00(5.45)beats로 비선수군의 71.43(8.96)beats 보다 유의하게(P<.05) 낮았고, 회복기 3분에서는 선수군이 90.00(7.07)beats로 비선수군의 105.00(9.13)beats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5) 낮았다. 회복기 5분에서는 선수군이 81.88(7.04)beats로 비선수군의 102.86(7.56)beats 보다 유의수준 p<.001에서 유의하게 심박수가 낮았다. 3. 선수군과 비선수군간의 평균혈압은 target 심박수 운동부하시에 선수군이 134.17(5.27)mmHg로 비선수군의 95.48(10.83)mmHg 보다 유의하게(P<.05) 높았고, 회복기 1, 5분에서는 선수군이 112.08(10.53)mmHg, 82. 50(9.90)mmHg로서, 비선수군의 95.48(10.83) mmHg, 72 .62(6.67)mmHg 보다 유의수준 P<.05 수준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i 논문 개요 = v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연구 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심장의 구조 = 5 1. 해부학적구조 = 5 2. 운동에 대한 심장의 구조적 적응 = 6 B. 심장의 기능 = 10 1. 일반적 기능 = 10 2. 운동에 대한 심장의 기능적 적응 = 12 C. 운동과 좌심실의 비대형태 = 16 1. 좌심실비대 형태 = 16 2. 등장성운동과 심장 = 17 D. 심초음파검사 (Eechocardiography) = 18 Ⅲ. 연구방법 = 20 A. 연구대상 = 20 B. 실험방법 = 21 1. 측정항목 = 21 2. 측정방법 = 22 3. 자료처리 = 24 Ⅳ. 연구결과 = 28 A. 선수군과 비선수군의 안정시 심장구조 및 기능 = 29 1) 좌심실내경(LVID) = 29 2) 좌심실의 벽두께(LV Thickness) = 31 3) 좌심실용적(LV Volume) = 33 4)좌심실질량(LVM) = 35 5) 대동맥내경, 좌심방 = 37 6) 안정시 심장의 기능 = 38 B. target 심박수 및 회복기에서의 심장기능 = 40 1) 운동지속시간(Exercise Capacity) = 40 2) 심박수(HR) = 41 2) 혈압 = 43 Ⅴ. 논의 = 45 Ⅵ. 결론 = 51 참고문헌 = 53 ABSTRACT =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536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echocardiography-
dc.subjectcardiovascular structure and funtion-
dc.title운동선수와 비운동선수의 심장구조 및 기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Physical Training on Cardiovascular Structure and Funtion-
dc.format.pagevii, 6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학과-
dc.date.awarded199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